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느낀점

�� ���� �ʸ� ����ϴ°�?   
-���, �� �� ���� �ӿ� �����ϴ� ���
�� �������κ��� ����� �޴´ٴ� ����   
�� �� �Ȱ��� ������ �䱸���� �����ϰ� ������ ���ݴ� ���̴�.���ʿ� �츮�� �� �䱸 ������ ��뿡�� ���ȴ�.
�츮 ���ο� ������ ���� ���ٸ� �츮�� ������� �ʾ��� ���̴�.�׷��� ����������, ���� ���� ����� �������°� �����ϴ� ���� ���� ����� ���ڴ�.���� ã�� ������ ����ߴµ�,
�츮 �ڽ��� ������ ����ǰ�� �߰��ϰ� �Ǿ����ϱ� ���̴�.��
-�˷� �� ������ ���ϰ� �ִ� ������ũ�����ǡ�

�����ؿ� ����ģ���� ģ���� �Ұ��� �� å�� ���� ���� �ִ�. ���� �ʱ⿡ �Ұ� ���� ����ģ���� ģ���� �츮 Ŀ���� ���� �� å�� �о��� �������ָ鼭 ���ڿ� ���ڰ� �����ϴ� ������ ������ �־ ����� �ܰ谡 �ִٸ� ���������� ���� �ܰ谡 ���� ���� õõ�� ������ ���ΰ� ���θ� �Ƴ���� ���� �� ���� �־���

�� ���� �λ� ������ å ���뵵 �ñ��ؼ� �� �� �� �б� �������� ���� å�� ���ȴ�.

å�� ó�� ���� ��, �� å�� �׷��� ����� å�� ��� �������� �ʾҾ���. ���� ������ �� �޴� �����̳� ������ �ൿ�� ���� ������ ���� ������ħ�� ���� ��̷Ӱ� ����ִ� å ���ٸ� �˾Ҵ�

������ ���� å�� ������ �Ӹ��ӿ� ���� ���� ������ǥ���� ����� �����ϸ鼭 å���� ���� �ѱ� �� �ִ� å�� �ƴ϶�� ������ �����.
��ư� å�� ���� ��, ������� ����ü ����� �ɱ�? �����ϴ١���� ������ �ϸ鼭 ������ å���� ������ ���� �� �����Կ� ������.
�̹� �ϰ� �������� ������ ���� �� ���� å �� ���� ���� �� å�� �����, �̹����� å�� ���Ÿ� �Ͽ���.
���ڴ� ����� ���۵ǰ� ����ǰ� ������ �� ���ο� ����� ���۵Ǵ� ������ �ſ� ö������ �ð����� �����ϰ� �ִ�.
���ڴ� ù ��° é�Ϳ��� ����������п� ���� ���ϰ� �ִ�.

���ΰ��� Ŭ���̸� ���� ù���� ���� ����� ������ �κ��� �����̶�� ��� ������ ���� �����̴�. �츮�� ȣ���� �ִ� ���� �����̶� ����� �κ��� ������ ���츰 õ�������̾ߡ� Ȥ�� ����! ���� �� �����ϰ� �־��µ�, ���� �װ� �����ϴµ�!����� ���� �ϸ鼭 �� ���̸� ������� ��Ե� �����̶� �������������

�̰��� ���ڰ� ���ϴ� ������ ������� ���̴�.

������� �ϸ� �������� �ٺ��� �ȴ�. ����� ���� ������ �ִ�

�̴� ���� ���ϴ� ������� �ϸ� ���� ������� ���δ�. ����� ���� ������ �ǹ��� ���̴�

������ ���ڴ� ����������п� ���� ���۵� ����� �ᱹ ����ũ�����ǿ� ���� ������ �ȴٰ� ���Ѵ�. ��, ���ϴ� ����� ���� ������ָ� �� ����� ���� �ŷ��̻�����ٴ� ������ �ϴ� ���� ����ũ�����Ǵ�   (���� ����)

�ı��ۼ�����ı⸦ �ۼ��Ͻø� �������� 100 point�� ������ �帳�ϴ�.

����� ����������

����ı� (0)

��ϵ� ���䰡 �����ϴ�.

ù��° ���� �Ǿ��ּ���.


독후감

-알랭 드 보통 作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를 읽고-

2018. 8. 9. 13:40

알랭 드 보통의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는 '나'라는 주인공과 클로이라는 여자와의 사랑을 주제로 한 소설이다. 이 책의 특징으로는, 이 책은 등장인물과 갈등이 있는 엄연한 소설이지만, 내용을 보면 알랭 드 보통이 '사랑'에 대해 갖고 있는 생각이 담긴 에세이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는 것이다. 그랬기에 '나'와 클로이의 사랑이 소설의 주된 주제라고 느껴지기 보다는 에세이의 소재라고 느껴졌다. 이 책의 제목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는 읽기 전에는 정말 낭만적인 제목이라고 생각했다. 내용도 로맨틱한 내용일 것으로 예상했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것과 상반되었다. 사랑과 관련된 다양한 감정을 그 자체로 적나라하게 드러내면서 오히려 사랑에 빠지고 싶게 만들지 않닸다. 하지만 이러한 적나라한 사랑에 대한 고찰이 이 책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특히 다양한 철학, 예술 사조와 연관시켜 사랑을 이해한 알랭 드 보통의 지식에 감탄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감명 받은 부분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우리 모두는 불충분한 자료에 기초해서 사랑에 빠지며, 우리의 무지를 욕망으로 보충한다." 이 문장은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무릎을 탁 치게 만든 문장이었다. 생각해보자, 우리가 어떤 사람과 사랑에 빠질 때 그 사람에 대해서 완벽하게 알지 못한 채 사랑에 빠진다. 즉, 그 사람에게 매력을 느낀 어떤 한 면만을 보고 사랑에 빠진다는 것이다. 모든 사람은 허점이 있기 마련이기에 그 사람에 대해 완전히 안다면 사랑에 빠지기 힘들다. 분명히 실망이 되는 부분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어떤 한 면을 보고 사랑에 빠지고 우리가 모르는 부분은 다 욕망과 상상으로 채운다. 예를 들어, 내가 어떤 연인의 아름다운 외모와 깔끔한 성격에 반해 사랑에 빠졌다고 하자. 이렇게 깔끔한 성격이면 분명 지적으로도 성숙한 사람일것이라는 행복한 상상이자 어리석은 욕망을 느낀다. 만약에 이러한 욕망에 반하는 지적 수준을 보이면 나는 분노를 느낀다. '내가 사랑에 빠진 사람은 이런 사람이 아닌데'라는 불평을 한다. 하지만 이 불평은 애초에 불완전한 정보에 의해 사랑에 빠지는 순간 피할 수 없는 운명이라는 것이다. 작가는 이러한 상황을 이렇게 표현한다. '우리가 첫눈에 사랑하게 되는 사람들은 우리 머릿속에 작곡된 심포니처럼 멋지다' 한마디로, 우리가 사랑에 빠질 때는 상대방은 완전한 것으로 느껴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튜닝이나간 바이올린, 늦게들어 오는 플롯'처럼 불완전한 것이 상대방이고, 나이고, 모든 사람이다. 그렇기에 사랑은 불완전한 정보에 의해 시작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내용에 대해 읽고, 곱씹어 생각해보니 스름이 돋았다. 나는 이 사람이 정말 좋아 연애를 했던 대상들도 나중에는 싫증이 나는 현상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내 자신에 대해서도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이 타인에 대해 정확히 판단했다고 생각하고 사랑을 했다는 내 어리석음에 헛웃음을 지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 어리석음은 사랑을 느끼는 인간이라면 지을 수밖에 없는 실수라는 것을 깨달았을 때 위로 아닌 위로를 받았다. 때로는 내 어리석음이 사랑을 느끼게 하는 원동력임을 인정하고 내 어리석음을 너무 자책할 필요도 없음을 느꼈기에 이 책은 나에게 많은 것을 가르쳐 줬다고 생각한다. 나는 인간이기에, 사랑에 빠질 수 밖에 없는 인긴이기에 사랑에 빠진 여자의 빈 부분을 욕망으로 채우는 똑같은 실수를 반복 할 것이다. 그리고 나는 그 실수를 피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독후감' Related Articles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느낀점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알랭 드 보통 서평

한 남녀의 사랑 이야기를 담은 소설. 남자주인공의 시점으로 쓰였고, 남자주인공이 사랑에 대한 본질적인 탐구를 하기 때문에 철학적 성격이 강하다. 딱딱한 소설.

하지만 나는 딱딱하게 느껴지지는 않았다. 뭔가 알랭 드 보통의 사고와 내 사고가 결이 비슷해서인듯 하다.

✒ 사랑의 여러 단면들을 보여준다. 좋은 것도, 나쁜 것도, 구분할 수 없는 것도, 전부 보여준다. 작가님이 사랑의 다양한 면들을 최대한 담으려고 노력한 것 같다. 완벽하지 않은 남녀가 만나 사랑을 한다. 어떻게 모든 것이 순조롭겠는가. 그런데 두 사람의 스킬이 장난 아니다. 갈등들을 꽤 창의적인 방법으로 헤쳐나간다. 그 둘만의 사소한 다툼들이, 투정이 피식, 또 사소한 이해들과 포옹이 피식, 웃음을 자아내서 계속 읽었던 것 같다. 그래서인지(스포려나) 헤어짐을 다루는 마지막부분은 잘 읽히지는 않았다. 그렇게 유치하던 커플이 헤어지는 이유 역시 여자의 유치한 외도라니. 사랑에 관한 책에서 가치판단을 하여 폄하하고 싶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여자주인공이 조금 미운 건 사실이다.

알랭 드 보통의 책을 읽다보면 연애소설이 쓰고 싶어진다.

🔖그러나 사랑은 나비 가운데 드문 색깔을 가진 종과 같아서, 종종 눈에 띄긴 하지만 결코 결정적으로 확인되지는 않았다. -p109

🔖윌은 신중하게도 클로이가 어떤 사람이냐고 묻지 않고, 더 정확하게 내가 그녀에게서 무엇을 보느냐고 물었다. - p122

🔖파스칼은 설사 신이 존재하지 않는 가능성이 높다고 하더라도, 그 작은 가능성이 주는 기쁨이 더 큰 가능성이 주는 혐오를 압도하기 때문에 신에 대한 우리의 신앙은 충분히 정당화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어쩌면 사랑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연인들은 오랫동안 철학자 노릇을 할 수 없다. 연인들은 의심하고 캐물으려는 철학적 충동에 대립되는, 믿고 신앙을 가지려는 종교적 충동에 굴복한다. 연인들은 사랑 없이 의심을 하는 것보다는 틀려도 사랑을 하는 모험을 더 좋아한다. - p129~p 130

✒ 현학적인 표현과 장난스러운 말들을 섞어 글로 보여주는 걸 보면, 알랭 드 보통은 나를 꼬시려는 것이 분명하다.

🔖연인에게도 네 사랑으로 꽉 채워진 이 사람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냐, 아니면 네가 상상한 것에 불과하냐 하는 질문은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한다.- p130

이 책의 커다란 특징이라 하면, 자신만의 용어를 만들어내어 사랑을 설명한다는 것이다.

🏷마르크스주의와 예수콤플렉스

여기서 마르크스주의의 마르크스는 칼 마르크스가 아니라 다른 마르크스다. 아무튼, 마르크스주의는 상대보다 나의 가치가 낮다고 생각하여, 상대가 나를 사랑하면 상대의 가치도 같이 낮아져, 사랑이 식는다는 아이러니를 말한다. 예수콤플렉스는 그 반대다. 나의 가치는 어느 상대보다 높아, 나는 충분히 사랑받을만한 사람이고, 모든 갈등과 헤어짐은 상대방 가치가 낮아서이기 때문이라 생각하는 것이다.
나는 둘 다 불편했다. 나와 상대의 가치를 비교하지 않을 수는 없을까. 그냥 '나와 상대는 잘 맞거나, 안 맞아서, 그래서 이렇게나, 저렇게 되었다'정도로는 안되는 것일까. 유치하게도 우리는 사랑 앞에서 그러기는 힘든 모양이다. 안타깝게도 우린 알고 있다. 좋은 사람은 있고, 매력적인 사람도 있다. 심지어 그 둘을 다 가진 사람도 있다. 다 떠나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과 상대방 모두가 충분히 사랑받을 만한 사람이라는 것을 깨닫는 것 같다.

🏷낭만적 실증주의와 금욕주의

그냥 정~말 간단하게 말해서, 낭만적 실증주의는 사랑을 좋게 보는 것이고, 금욕주의는 안 좋게 보는 것이다. 낭만적 실증주의로 살아갈 때, 우리는 사랑의 여러 단점이나 양상에도 불구하고, 사랑을 함으로서 얻는 것이 많기에, 노력을 한다. 어떻게든 노력으로 사랑의 이상을 이룰 수 있다 믿는 것이다. 반면, 금욕주의로 살아갈 때 우리는 사랑의 안 좋은 점에만 치중해, 부러 시도조차 하지 않으려고 한다. 마지막엔 금욕주의의 한계를 이야기한다. 금욕주의자도 사랑의 좋은 점과 이상을 알고 있기 때문에, 다시금 사랑에 빠지는 일이 바로 그 한계다.
하지만 우리가 책을 통해 배울 수 있는것은, 낭만적 실증주의도, 금욕주의도 아니고 그냥 '사랑이 이렇고 저런 것이니 받아들일 건 받아들이고, 노력해서 앞으로 나아가라'는 낭만적 낙관주의(내가 만든 말임)인 것 같아 참 아이러니다.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nefing.com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느낀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