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자의 사상은 왜 이어지지 못했는다

묵자사상 계통에서 겸애사상은 유가계통의 별사상(別思想)과의 구별에서 뚜렷이 부각된다. 왜냐하면 묵가(墨家)는 겸(兼)을 주장하나 유가는 별을 주장한다고 묵자계통에서 말하기 때문이다.

별을 주장하는 선비는 자신을 위하는 만큼 벗을 위하고, 나의 어버이를 위하는 만큼 벗의 어버이를 위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겸애를 주장하는 선비는 자기 자신을 위하는 만큼 벗을 위하고, 자기 어버이를 위하는 만큼 벗의 어버이를 위한다고 주장한다. 물론 이러한 대비는 묵자계통에서 말한 것이다.

별과 겸의 두 원리 가운데서 묵자는 자신의 겸애설이 진리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자신이 제창하는 겸애설이 국가와 백성의 이익에 더 맞는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렇게 생각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대국의 소국에 대한 침략, 큰 집안의 작은 집안에 대한 교란, 강자가 약자에 가하는 핍박, 다수의 소수에 대한 횡포, 귀한 신분이 천한 신분에게 가하는 멸시 등 이런 일들은 사회의 병폐이다. 이런 병폐는 남을 미워하고 남과 자기에 대해 차이와 구별을 두는 데서 생겼다.

즉, 겸애에서 오는 것이 아니고 별에서 왔다. 모든 사람이 남의 나라를 자기 나라 위하듯이 하면 남의 나라를 공격할 수도 없고, 남의 도성(都城)을 자기 도성처럼 생각하면 남의 도성을 정벌할 수가 없는 일이다.

그런 점에서 상대방을 위한다는 것은 결국 자기를 위하는 일과 같은 것이 된다. 겸애사상을 가지게 되면 국가는 서로 싸우지 않게 되고 사람들은 서로 전쟁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겸애정신은 천하에 해를 끼치는 것이 아니고 천하에 분명히 이익을 가져다준다.

그러한 이익은 남을 내 몸처럼 사랑하고 남을 이롭게 하는 데서 생겨난다고 보아야 한다. 즉, 천하의 모든 이익과 화평은 겸애하는 데서 시발한다고 묵자는 강조하였다.

이처럼 묵자는 공리주의적 논변을 통해 겸애의 사상이 절대적으로 옳다는 것을 논증해 보이려고 하였다. 그래서 천하의 이익을 추구하고 천하의 손해를 제거하며 어진사람[仁人]은 자신과 천하의 모든 사람을 위해 겸애를 행동의 기준으로 세워야 한다고 본다.

묵자는 이 기준에 따라 행동하면 총명한 이목(耳目)은 서로 감응하여 보고 듣고, 팔다리는 강하여 작용할 것이며, 도(道)를 체득한 사람은 싫증내지 않고 남을 일깨워 줄 것이고, 늙어 처자가 없는 사람도 대접과 봉양을 받아 수명을 누릴 것이며, 부모 없는 어린 고아들도 의지할 곳이 생겨 그 몸을 키우게 될 것이라 하였다.

그러므로 묵자는 겸애를 기준으로 삼으면 이익은 결과적으로 따라오게 된다고 이해하는 것이다. 이 겸애설은 묵자의 이상세계로서, 그는 오직 겸애사상에 의해서만 이상세계가 전개된다고 여긴다.

한국철학사에서는 묵자의 사상이 큰 진전을 보지 못했고, 중국에서도 불교나 도교만큼 그렇게 역사적으로 큰 진보를 이루지 못했다. 그 까닭은 유가의 비평처럼 묵가의 겸애설이 실현가능성이 희박한 관념적 이상주의만을 내세웠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유가적인 시각에서 풀이하면 사람이 서로 사랑하는 것은 인(仁)인데, 사람의 사랑이 그냥 추상적인 보편성에 의해 똑같이 겸애가 되는 것이 아니고, 자기 주위와 가까운 데서부터 사랑이 싹터서 점차적으로 확대되어 나간다는 것이다.

그래서 묵자의 겸애설은 지나치게 추상적인 사랑을 주장하기 때문에 인간사회에서 실현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 묵자는 자신의 겸애설이 현실적으로 구현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겸애가 곧 하늘의 뜻이라는 천지사상(天志思想)을 펴면서 유가사상보다 훨씬 강한 종교적 성향을 풍기게 된다.

이런 점에서 그는 천지를 거스르는 자는 천벌을 받고 겸애를 행하는 자에게는 하늘과 귀신도 상을 준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인간의 삶과 윤리 및 사회사상

⑶ 윤리 및 윤리 사상의 의미와 필요성 ① 윤리의 의미와 필요성

의미 인간이 마땅히 지켜야 하는 삶의 도리, 인간다움의 핵심

필요성

•자기 성찰과 자아실현 및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음 •사회적 삶을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음

② 윤리 사상의 의미와 필요성

의미

•어떻게 사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를 논리적으로 체계화한 사유 •옳음과 그름, 덕과 악덕, 의무와 행복 등을 체계화한 사유

필요성

•삶을 성찰하고 도덕적인 판단과 행위를 하게 함 •다양한 도덕규범의 근거와 원리를 탐구하고 파악하게 함 •다양한 도덕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게 함

2 이상 사회 구현과 사회사상 ⑴ 사회사상의 의미와 필요성

의미

사회 현상을 설명하고 해석하여 바람직한 사회의 모습과 그것 의 구현 방법 및 운영 방안을 체계화한 사유 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민주주의, 자본주의 등

필요성

•사회 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게 함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이해하게 함 •사회를 반성적으로 성찰하고 비판하는 기준을 제공함 •이상 사회의 설계나 기획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함

⑵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의 관계 ①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의 특징

윤리 사상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인간의 모습과 삶을 탐구함

사회사상

사회 현상을 설명하고 해석하여 이상 사회와 이상 국가를 탐 구함

1 인간의 삶과 윤리 사상 ⑴ 인간의 본질과 특성 ① 인간과 동물의 공통점과 차이점

공통점

식욕, 성욕, 수면욕 등의 생물학적 욕구가 있고, 쾌락과 고통을 느낌

차이점

동물이 본능에 의해 행동하는 데 비해 인간은 이성의 힘을 활 용하여 자율적으로 행동할 수 있음

② 인간의 특성

이성적 존재 이성적 사유 능력을 통해 자신과 세계를 이해함

사회적 존재 사회 조직과 제도를 갖추고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감

문화적 존재

언어, 문자와 같은 상징체계를 통해서 문화를 창조하고 계 승함

유희적 존재 다양한 놀이를 통해 생활에 활력을 주는 즐거움을 추구함

도구적 존재

칼, 망치 등과 같은 유형의 도구와 언어, 법률 등과 같은 무형의 도구를 만들어 사용함

윤리적 존재

자신의 삶과 행위를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인간다움을 추 구하며, 자유 의지에 따라 자발적으로 가치 있는 행동을 실천함 → 인간을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게 하는 본질적 특성

⑵ 인간 행위에 대한 다양한 윤리적 해석 ① 인간 행위에 대한 윤리적 해석이 다양한 이유 •개인이 가진 윤리관의 차이 •사회가 지향하는 문화나 가치의 차이 •동일한 행위에 대한 사회적 상황의 차이 ② 인간 행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공통점 •올바른 행위와 윤리가 존재한다고 봄 •인간 존엄성이 도덕규범의 근본적 토대라고 봄

인간은 결코 독립적인 존재가 아니다. ‘사람 사이’를 뜻하는 인간(人間)이라는 한자어가 보여주듯이, 인간은 그 탄생부터가 관계(인간 남녀의 만남과 결 합)의 산물이며 그 성장도 철저히 인간관계 속에서만 가능하다. 어린 시절에 경험하는 다정한 손길과 늘 보호받고 있다는 포근한 안도감은 인간이 커서 세상을 신뢰하고 다른 사람과 좋은 관계를 맺는 데 필수적인 정서적 안정감의 원천이 된다. 이와 같이 인간은 인간관계를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 인 간은 처음부터 본질적으로 사회적 존재인 것이다. 어떤 학자는 “이 세상에 단 한 사람이 남는다 하더라도 그가 따라야 하는 윤리 혹은 도덕 법칙이 있 다.”고 말했지만, 그것은 보편타당한 윤리의 최종 원칙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려고 했던 것일 뿐, 윤리가 사람이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규 범 체계임을 부인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이 지닌 다양한 특성 중 하나인 사회성은 윤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윤리(倫理)라는 단어가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지켜야 할 도리를 의미한 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인간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바탕으로 자신의 삶과 행위를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인간다움을 추구하며 자유 의지에 따라 자발적으로 가치 있는 행동을 실천할 수 있다.

인간의 사회성과 ‘윤리’의 의미자료와 친해지기

4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3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에 대한 탐구 ⑴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이 개인에게 끼치는 영향 ① 선과 악, 정의와 부정의에 대한 판단 근거나 기준을 가지게 함 ② 훌륭한 인격을 형성하여 구성원으로서 바람직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게 함

⑵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을 탐구하는 방법의 특성 ①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이 추구하는 지식의 특징

사실에 관한 지식

실제 상황을 설명해 주는 지식 → 사실에 관한 지식에 오류가 없어야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의 주장이 타당성 을 확보할 수 있음

도덕적 가치에 관한 지식

‘좋은 것, 옳은 것, 마땅히 해야 하는 것’에 관한 지식 → 도덕적 실천과 관련해서는 당위에 관한 지식이 특히 중 요함

②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 탐구 방법의 특징

경험적 탐구

사실과 현상을 기술하고 그것들의 원인과 결과를 설명하 고 예측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음 → 윤리 사상과 사 회사상의 탐구에서 부수적으로 활용됨

규범적 탐구

당위를 정당화하고 실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음 →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의 탐구에서 중심이 됨

③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을 탐구할 때의 유의 사항

윤리적 탐구 지향

인간과 사회에 관한 사실을 기술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인 간의 삶과 사회가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

공감 능력과 도덕적 열정 중시

• 공감 능력을 통해 자신의 행위가 타인에게 미칠 영향을 파악해야 함 • 선(善)과 선의 실천에 대한 관심, 정의(正義) 실현에 대 한 의지와 같은 도덕적 열정을 지녀야 함

열린 자세와 토론

• 인간의 오류 가능성을 인정하고 열린 자세로 토론에 임 하여 다른 사람의 비판을 경청하고 타당한 비판을 수용 할 수 있어야 함 •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고 견해 차이를 좁혀 합리적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함

②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의 상호 의존성

플라톤

이상적 인간과 이상 국가의 모습을 서로 닮은 것으로 봄

아리스토텔레스

덕(德)을 갖춘 시민에 의해 정의로운 국가가 형성된다 고 주장함

공자, 맹자

인(仁)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덕치(德治)를 통해 바람 직한 국가가 형성된다고 주장함

⑶ 이상 사회의 구현 ① 이상 사회의 의미: 인간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실현되기를 꿈꾸는 사회 ② 동서양에서 제시된 다양한 이상 사회

유교의 대동 사회

큰 도(道)가 행해져서 현명하고 유능한 사람이 중용되고, 재화가 고르게 분배되어 모두 함께 더불어 사는 사회

도가의 소국과민

작은 영토에서 적은 수의 사람이 분별적 지식과 욕심이 없 이 인간의 본래적 자연성에 따라 소박하게 살아가는 사회

플라톤의 이상 국가

사회 구성원들이 각자 자신의 일에 헌신하고, ‘좋음[善]의 이데아’에 대한 지식을 갖춘 철학자가 다스리는 사회

모어의 유토피아

생산과 소유에 있어서 평등이 실현되고 경제적으로 풍요 로우며 도덕적으로 타락하지 않은 사회

마르크스의 공산 사회

생산 수단이 공유되고 계급과 사유 재산이 없으며 생산력 이 고도로 발전하여 구성원 각자가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받는 평등한 사회

③ 다양한 이상 사회의 공통점: 모든 사람들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사회 ④ 이상 사회의 의의 •부조리한 현실을 비판하고, 현실을 개혁하는 데 필요한 기준과 목표를 제공함 •더 나은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신념과 실천 의지를 지니게 함 •사회 발전과 진보의 원동력이나 추진력으로 작용함

사유 재산이 존재하고 돈이 모든 것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는 사회는 정의롭게 혹은 행복하게 통치될 수 없다. 그곳에서는 재산을 가진 소수들도 항상 마 음이 편한 것은 아니며 다수의 사람들은 전반적으로 비참한 생활을 꾸려 나간다. 사유 재산이 전적으로 폐지되지 않는 한, 재화가 균등하게 분배될 수 없고 인간사에 있어 어떠한 행복도 찾을 수 없다는 것을 나는 완전히 확신한다. 사유 재산이 남아 있는 한, 인류 가운데 가장 수가 많고 가장 훌륭했던 일부가 가난과 걱정이라는 무겁고 피할 수 없는 짐에 의해 압도당할 것이다. - 모어, “유토피아”

영국의 정치가인 모어는 1516년에 “최선의 국가 형태와 새로운 섬 유토피아에 관하여”라는 책을 출판한다. 이상향을 뜻하는 ‘유토피아’라는 용어 는 어원상으로 ‘없다’는 뜻의 그리스어 형용사 ‘ou’와 ‘장소, 곳’을 뜻하는 명사 ‘topos’를 합쳐 만든 ‘어디에도 없는 곳’을 의미하는 복합어이다. 모 어의 ‘유토피아’는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새로운 곳, 신세계를 상징한다. 모어는 이 책에서 재화의 균등한 분배가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에서는 부(富)가 소수에게 집중되기 때문에 모든 사람의 참된 행복을 실현시킬 수 없다는 견해에 주목한다. 사유 재산제가 폐지된 유토피아에서는 모든 사람들이 잉여 생산에 대한 욕망으로 인해 필요 이상의 노동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정신적 자유와 문화를 누리게 되어 진정한 행복을 영위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모어의 유토피아자료와 친해지기

01. 인간의 삶과 윤리 및 사회사상 5

THEME 01

(가) 위대한 도(道)가 행해지고 천하는 모두의 것이다. 현명한 사람을 지도자로 뽑고, 능력 있는 사람에게 관직을 주며, 신의와 화목 을 가르친다. 노인은 편안하게 여생을 보낼 수 있고, 장년은 일할 여건을 보장받으며, 어린이는 길러 주는 사람이 있고, 의지할 곳 없는 사람과 병든 자도 모두 부양받는다. 남녀가 따로 직분이 있고, 재화가 땅에 버려지지도 않지만 사적으로 저장할 필요도 없다. 스스로 일하는 것을 싫어하지 않지만 자신만을 위해서 일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남을 해치려는 음모가 생기지 않고, 도둑 이나 혼란을 일으키는 자들이 생기지도 않아서 집집마다 바깥문을 닫을 필요가 없다. - “예기” - (나) 백성들에게 무기가 있더라도 그것을 사용할 기회가 없으며, 백성들이 있는 그대로의 소박한 삶을 중요하게 여겨 먼 곳으로 이 주하지 않는다. 배와 수레가 있어도 타고 나가는 사람이 없고, 크고 작은 갑옷과 투구가 있더라도 그것을 입고 전쟁을 하는 사 람도 없다. 백성들은 자기 집에 살면서 편안하다고 생각하며 만족해한다. - 노자, “도덕경” -

(가)는 유교에서 추구한 이상 사회인 대동(大同) 사회에 관한 내용이다. 대동 사회에서는 성인(聖人)이 나라를 다스리고 모든 사 람이 서로를 위하여 커다란 가족과 같은 관계를 맺으며 공정한 분배가 실현된다. (나)는 도가에서 추구한 소국과민(小國寡民) 사 회에 관한 내용이다. 소국과민 사회에서는 작은 영토에서 적은 수의 사람이 분별적 지식과 욕심이 없이 인간의 본래적 자연성에 따라 소박하게 살아간다. 유교에서는 사람들이 인의(仁義)와 같은 도덕성을 회복하고 실천할 수 있는 사회를, 도가에서는 인의 (仁義)와 같은 인위적인 규범을 버리고 자연적 본성에 따르는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이상 사회로 제시하였다.

유교와 도가에서 추구한 이상 사회의 특징은 무엇일까?심화 학습 ·테마 1

국가가 훌륭해지는 것은 행운의 소관이 아니라, 지혜와 윤리적 결단의 산물이다. 훌륭한 국가가 되려면 국정에 참여하는 시민들이 훌륭해야 한다. 따라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사람이 훌륭해질 수 있는지 고찰해 보아야 한다. 사람은 세 가지를 통해 선하고 훌륭해 지는데, 그 세 가지는 본능, 습관, 이성이다. 동물들은 대개 본능대로 살고, 그 가운데 소수는 습관에 따라서도 산다. 그러나 사람은 이성에 의해서 살아간다. 사람만이 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훌륭한 사람은 이 세 가지가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사람은 그렇게 하는 것이 더 낫겠다 싶으면, 이성 때문에 습관과 본성에 반(反)하는 행동을 할 때도 많으니 말이다.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

아리스토텔레스는 바람직한 공동체를 탐구하는 정치학을 바람직한 인간을 탐구하는 윤리학의 일부로 보았다. 왜냐하면 인간의 진정한 행복은 훌륭한 국가 공동체 안에서 가능하므로, 국가 공동체의 도덕과 질서를 바로 세우는 것이 시민들의 임무라고 여겼 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훌륭한 국가를 만들기 위해서는 훌륭한 시민이 되어야 하고, 훌륭한 시민이 되기 위해서는 이성, 습관, 본능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훌륭한 국가는 왜 훌륭한 시민을 필요로 할까?심화 학습 ·테마 2

6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정답과 해설 3쪽수능 실전 문제 01 다음 대화의 스승이 강조할 삶의 자세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많은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쌓는다. ② 경건한 태도를 갖기 위해 인위적 규범을 버리고 자연의 흐름을 따른다. ③ 인격을 완성하기 위해 자신을 수양하면서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다한다. ④ 인간의 악한 본성을 교정하기 위하여 외적인 사회 규범을 철저히 준수한다. ⑤ 자신의 도덕성을 함양하는 것보다 타인의 이익을 증진하는 것을 중시한다.

7052-0001

02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가 강조하는 인간의 특성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사람에게 어찌 인의(仁義)의 마음이 없겠는가? 그 양심을 놓아 버리는 것은 마치 도끼로 산에 있는 나무를 날 마다 베어 버리는 것과 같으니, 그렇게 되면 산이 어찌 아름다울 수 있겠는가? …(중략)… 사람들이 인간의 금수(禽獸) 같은 면을 보고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여기는 것은 나무를 다 베어 낸 산을 보고 본래부터 산 에 나무가 없었다고 여기는 것과 같으니, 어찌 금수 같은 성향이 인간의 본성이겠는가?

ㄱ. 생각하거나 배우지 않아도 도덕을 자각하고 실천할 수 있다. ㄴ. 후천적으로 노력하지 않아도 자신의 인격을 완성할 수 있다. ㄷ. 내면적 덕성을 발현시키면 누구나 성인(聖人)이 될 수 있다. ㄹ. 예(禮)를 통해 타고난 본성을 인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보기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7052-0002

스승님께서 추구하시 는 이상적인 인간은 어 떤 사람인가요?

다른 특징은 더 없는 지요?

경건한 마음[敬]으로 자신을 닦아 다른 사람들을 편안하게 해 주기 도 하는 사람이라네.

이익이 눈앞에 보이면 의(義)를 생 각하고, 나라가 위태로운 상황을 보면 목숨을 바치며, 오랫동안 곤 궁하게 지낸다 해도 평소에 하던 말을 잊지 않는 사람이라네.

01. 인간의 삶과 윤리 및 사회사상 7

정답과 해설 3쪽

03 ㉠에 들어갈 진술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언제 어디서나 항상 따라야 하는 도덕규범은 존재합니다. 따라서 인간이라면 누구나 이러한 도덕규범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윤리적으로 살아가야 합니다. 을: 과연 그럴까요? 도덕규범은 시대나 문화 또는 개인의 가치관이나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으므 로 인류 공통의 도덕규범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봅니다. 갑: 제가 보기에 당신은 ㉠

① 도덕과 윤리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절대적 성격을 지닌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② 구체적인 도덕규범은 보편적인 도덕 원리로부터 파생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③ 시대나 문화에 따라 사람들의 도덕적 인식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④ 인간 존중과 같이 누구나 따라야 하는 도덕 원칙이 존재한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⑤ 도덕적 인식 능력은 동물과 구별되는 인간만이 가진 특징이라는 점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7052-0003

04 (가), (나)는 고대 동양 사상에서 제시된 이상 사회이다. 각각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가) 위대한 도(道)가 행해지고 천하가 모두의 것이다. 현명한 사람을 지도자로 뽑고, 능력 있는 사람에게 관직 을 주며, 신의와 화목을 가르친다. 노인은 편안하게 여생을 보낼 수 있고, 장년은 일할 여건을 보장받으 며, 어린이는 길러 주는 사람이 있고, 의지할 곳 없는 사람과 병든 자도 모두 부양받는다. (나) 백성들에게 무기가 있더라도 그것을 사용할 기회가 없으며, 백성들이 있는 그대로의 소박한 삶을 중요하 게 여겨 먼 곳으로 이주하지 않는다. 배와 수레가 있어도 타고 나가는 사람이 없고, 크고 작은 갑옷과 투 구가 있더라도 그것을 입고 전쟁을 하는 사람도 없다. 백성들은 자기 집에 살면서 편안하다고 생각하며 만족해한다.

① (가): 정치적으로 안정되어 있어 어떤 도덕규범도 존재하지 않는다. ② (가): 재화가 공정하게 분배되고 사회적 약자들이 보살핌을 받는다. ③ (나): 사회 질서 유지를 위해 옳고 그름의 절대적 기준을 확립한다. ④ (나): 인의(仁義)의 덕을 갖춘 통치자가 백성을 위한 정치를 실현한다. ⑤ (가), (나): 교육을 통해 구성원들의 타고난 이기적 본성이 교화된다.

7052-0004

8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5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국가가 훌륭해지는 것은 행운의 소관이 아니라, 지혜와 윤리적 결단의 산물이다. 훌륭한 국가가 되려면 국정 에 참여하는 시민들이 훌륭해야 한다. 따라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사람이 훌륭해질 수 있는지 고찰해 보아야 한다. 사람은 세 가지를 통해 선하고 훌륭해지는데, 그 세 가지는 본능, 습관, 이성이다. 동물들은 대개 본능 대로 살고, 그 가운데 소수는 습관에 따라서도 산다. 그러나 사람은 이성에 의해서 살아간다. 사람만이 이성 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훌륭한 사람은 이 세 가지가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사람은 어떤 행동 을 하는 것이 더 낫겠다 싶으면, 이성 때문에 습관과 본능에 반(反)하는 행동을 할 때도 많으니 말이다.

① 국정은 좋은 습관을 가진 시민들에 의해 운영되어야 한다. ② 훌륭한 시민이 되기 위해서 이성으로 본능을 제거해야 한다. ③ 국가 구성원으로서의 삶과 개인의 행복한 삶은 관련이 없다. ④ 지혜를 갖춘 시민이 없어도 국가 공동체는 훌륭해질 수 있다. ⑤ 훌륭한 국가 공동체를 실현하는 데 구성원의 도덕성이 중요하다.

7052-0005

06 (가)의 갑, 을 사상가들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탐구하고자 할 때, A ~ C에 들어갈 질문으로 옳은 것은?

(가)

갑: 이곳에서는 능력에 따라 생산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된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사냥꾼, 어부, 양치기, 비평가라는 직업을 가지지 않더라도 자신이 하고 싶은 대로 아침에는 사냥을 하고 오후에는 물고기를 잡 고 저녁에는 양을 치고 식사 후에는 비평을 할 수 있게 된다. 을: 이곳에서는 모든 것이 공동으로 소유된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공동 창고가 가득 차 있는 한, 가난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누구나 공정한 분배를 받기 때문에 가난한 사람이나 거지가 있을 수 없다. 노동은 매일 6시간으로 제한되고, 8시간 잠자고 남은 시간은 정신적 오락이나 연구에 사용된다.

(나)

윤사01-1

<범 례>

: 판단 내용 : 판단 방향 : 사상가의 입장 : 출발 조건

갑, 을 사상가들의 입장을 탐구한다.

아니요

갑의 입장 을의 입장

A

B

C

① A: 사유 재산제를 폐지함으로써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해야 하는가? ② B: 모든 구성원들의 존엄성이 존중되는 이상 사회를 실현해야 하는가? ③ B: 선(善)에 대한 절대적 지식과 지혜를 갖춘 철학자가 통치해야 하는가? ④ C: 각자의 능력과 성과를 기준으로 사회적 재화를 분배해야 하는가? ⑤ C: 재산의 소유 정도에 따라 사회적 계급을 엄격하게 분류해야 하는가?

7052-0006

01. 인간의 삶과 윤리 및 사회사상 9

정답과 해설 3쪽

07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가 추구한 이상 사회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우리가 통치자를 임명할 때, 그들이 가장 훌륭한 일꾼이 되게끔 만들고 설득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그렇게 할 때 나라 전체에 행복이 생기게 하기보다 자신들에게 최대의 행복이 생기도록 행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사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그렇게 함으로써, 국가를 구성하는 세 계층으 로 하여금 제 각각에 맞는 성향대로 나라 전체의 행복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될 때 나라 전체가 훌 륭해지고 정의로운 국가가 될 수 있다.

① 통치자를 포함한 모든 구성원들이 교대로 통치한다. ② 인격과 지혜를 겸비한 철학자에 의한 통치가 실현된다. ③ 자유롭게 역할을 교환함으로써 계층의 구분이 사라진다. ④ 국가 공동체의 최종 목표인 물질적 풍요로움이 달성된다. ⑤ 구성원들 간의 사회적 분업과 협력의 필요성이 소멸된다.

7052-0007

08 (가), (나)가 공통적으로 지지할 입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우리는 경험을 통해 자신의 잘못을 시정할 수 있다. 하지만 경험만으로는 잘못을 충분하게 시정하기 어 려우므로, 그 경험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결정하기 위해 토론이 필요하다. 토론 과정에서 우리는 지성 을 활용하여 사실에 근거한 논증을 펼침으로써 마음에도 변화가 일어나 잘못된 의견과 행동을 교정해 나 갈 수 있다. (나) 우리의 이성은 다른 사람의 이성에 빚지고 있다. 비판과 비판에 귀를 기울이는 기술을 포함한 논쟁을 통 해서 합리성이 확보될 수 있으므로, 상식적인 차원에서 합리주의는 권위주의와 양립할 수 없다. 이처럼 이성은 상호 비판을 통해 성장한다. 따라서 이성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비판의 자유, 즉 사고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이다.

① 해당 분야에 전문적 권위를 가진 사람이 제시한 의견만을 따라야 한다. ② 사실과 논리적 근거보다 주관적 감정을 바탕으로 토론에 임해야 한다. ③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의 무오류성에 대해 확고한 신념을 가져야 한다. ④ 다수의 견해는 이의 없이 그대로 수용하고 소수의 견해는 배척해야 한다. ⑤ 자신과 다른 시각을 가진 사람의 주장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7052-0008

10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THEME 02 유교 윤리 사상의 연원과 전개

•인간은 누구나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 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이라는 사단(四端)을 지니고 있음 → 사단을 확충하면 인의예지(仁義禮智)라는 사덕(四德)을 실현할 수 있음

측은지심 불쌍하고 가엾게 여기는 마음 ← 인의 단

수오지심 불의를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 ← 의의 단

사양지심 양보하고 공경하는 마음 ← 예의 단

시비지심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마음 ← 지의 단

•인간은 누구나 양지(良知)와 양능(良能)을 지니고 있음

양지 생각하지 않고도 알 수 있는 것 ← 선천적인 도덕 자각 능력

양능 배우지 않고도 할 수 있는 것 ← 선천적인 도덕 실천 능력

② 이상적 인간과 실현 방법 •이상적 인간: 대인(大人), 대장부(大丈夫) → 집의(集義)를 통해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갖추어야 함

집의 옳은 일을 반복적으로 실천함

호연지기 지극히 크고 굳세며 올곧은 도덕적 기개

③ 정치사상 •왕도(王道) 정치를 추구하고 민본주의에 기반을 둔 역성혁명(易 姓革命)을 인정함

왕도 정치 인의(仁義)의 덕으로 다스리는 정치

민본주의

백성을 나라의 근본으로 여기는 정치사상 → “백성이 가장 귀하고 사직(社稷)이 다음이며 군주는 가볍다.”

역성혁명 군주가 군주답지 못하여 사직을 위태롭게 하면 바꿀 수 있음

•군주가 백성들의 생업을 보장해 주어야 함을 강조함 → “일반 백 성들은 항산(恒産, 일정한 생업)이 없으면 항심(恒心, 변치 않는 도덕심)을 지닐 수 없다.”

⑶ 순자 ① 인간 본성론: 성악설(性惡說)

1 유교 사상의 연원: 선진(先秦) 유교 사상 ⑴ 공자 ① 기본 관점 •하·은·주의 문화를 종합·체계화하여 유교 사상 정립 •사회 혼란의 원인: 인간의 도덕적 타락과 잘못된 정치 •혼란 극복 방안: 인(仁)의 회복, 예(禮)의 실천, 정명(正名) 구현, 재화의 고른 분배 → 덕치(德治)의 실현 ② 인과 예

• 인간됨의 본질을 이루는 사랑의 정신이자 사회적 존재로 완성된 인격체의 인간다움 • 존비친소(尊卑親疏)와 시비선악(是非善惡)을 구별하는 사랑 • 기본적 실천 덕목: 효(孝), 제(悌), 충(忠), 서(恕)

• 인의 정신이 외면적으로 표현된 사회 규범 • 인을 실현하기 위한 필수 조건 → 사욕을 극복하고 예를 회복해 야 인이 이루어짐[克己復禮爲仁(극기복례위인)]

③ 정명과 덕치

정명

명분을 바로잡음, 즉 각자가 자신의 신분과 지위에 맞는 역할을 다하게 함 →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부모는 부모답 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

덕치

도덕과 예의에 의한 교화를 추구하는 정치 → 통치자가 먼저 군 자다운 인격을 닦고 남을 다스려야 함[修己安人(수기안인)]

④ 경제 사상: 분배의 형평성(재화의 고른 분배) 강조 → “통치자는 재화의 적음보다 분배가 고르지 못함을 걱정해야 한다.” ⑤ 이상적 인간상과 사회상

군자

•인의 구현과 대동 사회 실현을 목표로 노력하는 사람 •자신을 닦아 남을 편안하게 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하려는 사람

대동 사회

인륜이 구현되고 재화가 고르게 분배되어 모든 사람이 더불어 잘 사는 도덕적인 사회

⑵ 맹자 ① 인간 본성론: 성선설(性善說)

(가) 사람이 사단(四端)을 가지고 있는 것은 그가 팔과 다리를 가지고 있는 것과 같다. 무릇 나에게 있는 사단을 확충할 줄 알면 누구나 충분히 천하를 보 존할 수 있지만, 만일 확충하지 못한다면 자신의 부모조차 섬길 수 없을 것이다. - “맹자” (나) 사람의 본성[性]은 반드시 스승과 법도에 의한 교화가 있은 뒤에야 바르게 된다. 사람들에게 스승과 법도가 없다면 편벽되고 음험하여 바르지 않을 것이며, 예의가 없다면 이치에 어긋나는 어지러운 짓을 해서 다스려지지 않을 것이다. - “순자”

(가)는 맹자의 주장이며, (나)는 순자의 주장이다. 맹자는 인간은 누구나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이라는 사단(四端)을 가지고 태 어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사단을 확충하면 인의예지라는 사덕(四德)을 실현하여 천하를 보존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비해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본성을 따르면 반드시 다투고 이치를 어지럽히게 될 것이라고 보았다. 그래서 그는 반드시 스승과 법도에 의한 교화와 예의를 통한 교도(敎導)가 있어야 사람들이 바르게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맹자와 순자의 인성론자료와 친해지기

02. 유교 윤리 사상의 연원과 전개 11

② 사상 체계

이기론

• 만물은 이(理)와 기(氣)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음 • 이는 만물을 낳는 원리이고 기는 만물을 이루는 재료(기운)임 •

이와 기는 논리적으로는 분명하게 구분되지만[理氣不相雜 (이기불상잡)], 사물에서는 별개로 분리될 수 없음[理氣不相 離(이기불상리)]

심성론

• 인간의 본성[性]은 하늘이 부여한 이치[理]임 → 성즉리(性卽 理) • 성에는 인의예지가 모두 갖추어져 있음 •

성은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으로 구분되 며, 본연지성은 순선하나 기질지성은 기질의 맑고 흐린 정도 에 따라 차이가 있음

수양론

• 다양한 수양을 통해 기질의 변화를 추구함 • 거경궁리(居敬窮理): 항상 경건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사물의 이치를 탐구함 • 격물치지(格物致知):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여 앎을 지극하게 함 • 존양성찰(存養省察): 본성을 보존하고 나쁜 마음이 스며들지 않도록 잘 살핌 •

존천리거인욕(存天理去人欲): 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제거함

경세론

수양을 통해 내면을 닦는 데 그치지 않고 제도, 법률, 경제 등과 관련된 현실적 문제의 해결 방안을 연구함

⑷ 명 대(明代)의 양명학 ① 특징 •주희의 성즉리설, 격물치지설 등을 비판함 •마음[心]과 이치[理], 지(知)와 행(行)이 분리될 수 없음을 강조함 ② 사상 체계

심즉리설 (心卽理說)

• 인간의 마음[心]이 곧 하늘의 이치[理]임 → 인간의 마 음이 도덕 판단의 기준임 •

마음 밖에는 이치가 없고 사물도 없음[心外無理(심외 무리), 心外無物(심외무물)]

치양지설 (致良知說)

사람은 누구나 천리(天理)로서의 양지를 지니고 있으 며, 양지를 자각하고 실천할 수 있음 •

사욕을 극복하고 양지를 적극적으로 발휘하면 이론적 학습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누구나 성인이 될 수 있음

지행합일설 (知行合一說)

• 앎[知]은 행함[行]의 시작이고, 행함은 앎의 완성임 • 인식으로서의 지와 실천으로서의 행은 본래 하나임

•인간은 이기적 욕망을 가지고 태어남 •인간의 타고난 성정(性情)은 악하지만, 노력[僞(위)]을 통해 선하 게 될 수 있음 ② 예(禮)와 예치(禮治)

•고대의 성왕(聖王)이 제정한 외면적인 사회 규범 •

사람들의 성정을 선하게 변화시키기 위한 사회 규범 → 예를 배우고 실천하면 성정을 선하게 변화시킬 수 있음[化性起僞(화 성기위)] • 재화를 차등적으로 공정하게 분배하기 위한 기준

예치

• 고대의 성왕이 제정한 예로써 다스리는 정치 • 덕을 헤아려서 지위를 정하고, 능력을 헤아려서 관직을 맡김

③ 하늘[天]에 대한 관점

공자, 맹자

•인간 본성과 도덕규범의 원천 •인간 삶의 도덕적 표준이자 절대적 기준

순자

•물리적인 자연 현상 • 자연 현상과 인간의 일은 독립적인 것임[天人分二(천인분이)]

2 유교 사상의 전개: 진 대(秦代)에서 청 대(淸代)까지 ⑴ 진(秦)나라 시대: 법가와 병가의 부국강병책이 중시되고, 분서갱 유(焚書坑儒)가 발생함 → 유교의 침체

⑵ 한 대(漢代)의 경학(經學)과 훈고학(訓詁學) ① 유교가 국학으로 인정되고 교육 정책의 중심이 됨 ② 분서갱유로 인해 소실된 경서를 복원하는 경학과, 경서의 내용에 대해 주석을 다는 훈고학이 발달함

⑶ 송 대(宋代)의 성리학 ① 특징 •도가 및 불교 사상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선진 유교를 재해석 하고 체계화함 •인간 본성과 인륜을 이기론(理氣論)에 근거하여 설명하고자 함 •사물의 이치에 대한 탐구와 본성의 함양을 통해 성인(聖人)의 경 지에 이를 것을 강조함

• 마음[心]은 본래 한 사람의 몸을 주재하는 것이지만 허령(虛靈)한 그 체(體)는 천하의 이치[理]를 모두 아우를 수 있다. 이치는 비록 모든 사물에 나누 어져 있지만 미묘한 그 용(用)은 실로 한 사람의 마음 바깥에 있지 않다. - “대학혹문” - • 궁리(窮理)란 이미 아는 바로서 아직 모르는 것에 이르는 것이며, 통달한 바로서 아직 통달하지 못한 것에 미치는 것이다. 사람의 양지(良知)는 본래부 터 있는 것이나 궁리를 하지 않으면 아직 알지 못하고 통달하지 못한 것을 능히 궁구할 수 없게 된다. - “주자어류”

자료는 모두 주희의 주장이다. 주희에 따르면 학문의 주된 대상은 마음[心]과 이치[理]이다. 그리고 이치는 마음과 사물에 모두 품부되어 있다. 그러나 그 이치의 작용[用]은 인간의 마음과 무관할 수 없다. 한편 이치를 탐구하는 것, 즉 궁리는 나의 앎을 극진히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인간 에게는 타고난 앎인 양지(良知)가 있다. 그러나 주희의 입장에서 볼 때 그것은 온전한 앎이 아니다. 궁리를 해야만 앎을 극진히 할 수 있다.

주희의 기본 관점자료와 친해지기

12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산업 혁명 이후 상품 시장 개척을 위한 식민지 쟁탈이 벌어지면 서 유교 사상을 동양 문화 정체의 주된 원인으로 생각하기도 함 ② 20세기 중·후반: 유교 자본주의론 → 높은 교육열, 조직에 대 한 충성심, 근면 정신, 조화로운 인간관계, 가족주의 등과 같은 유교 문화적 특성이 동아시아 국가의 자본주의 성장에 기여했다 고 봄

4 유교 사상의 특징 ⑴ 인본주의 ① 전능한 신(神)이나 초월적 세계보다 현실적 삶을 중시함 ② 인간을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天人合一(천인합일)] 하늘의 도 리를 실현해 가는 주체적 존재로 봄 ③ 인간 사회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초월적인 힘에 의존하기보다는 인간의 힘으로 해결하고자 함

⑵ 도덕 지향 ① 성인(聖人)이 되는 것을 추구하는 위기지학(爲己之學)의 이념을 강조함 ② 도덕적인 인간과 사회의 실현을 위한 수신(修身)을 강조함

⑶ 강한 사회성 ① 사회적 관계와 공동선을 중시하는 윤리를 발전시킴 → 서(恕), 오륜(五倫), 정명(正名) 등 강조 ② 사익보다 공익을 우선시함 → 선공후사(先公後私), 여민동락(與 民同樂) 등 강조

5 유교 사상이 현대 사회에 주는 시사점

유교 사상의 특징 현대 사회에 주는 시사점

인간을 존중하고 주체성을 강조함

인간성 상실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음

도덕적 실천과 자기 수양을 강조함

도덕적 불감증 해소에 기여할 수 있 음

이기심의 극복을 강조하며 공동체 윤리를 중시함

지나친 개인주의의 문제점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음

•지행합일설의 특징: 성리학의 지행병진론(知行竝進論), 즉 지와 행의 선후를 말하라면 지가 우선이지만 양자는 항상 서로 의지하 므로 함께해 나가야 한다는 이론을 비판하면서 제시된 학설임 ③ 성리학과 양명학의 격물치지(格物致知) 해석

성리학 사물에 나아가 그 이치를 탐구함으로써 나의 앎을 극진히 함

양명학 양지를 적극적으로 발휘하여 뜻이 있는 곳의 일을 바로잡음

⑸ 청 대(淸代)의 고증학 ① 등장 배경: 성리학과 양명학의 추상성과 사변성 → 성리학과 양 명학은 구체적인 현실 문제보다 인간의 도덕성 문제에 치우친 경 향이 있음 ② 특징 •세상의 경영과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경세치용(經世致用)의 학 문을 추구함 •실제적인 일에서 옳음을 구하는 실사구시(實事求是)의 방법으로 고전을 연구함 •우리나라 실학의 성립과 발전에 영향을 줌

3 청 대 이후 동서양에서의 유교의 전개 ⑴ 청 대 이후 동양에서의 유교 ① 한국: 공동체와 교육을 강조하는 유교의 가치관이 경제 발전에 기여하였으며, 자유주의적 가치를 숭상하는 현대인들의 가치관 속에서도 여전히 유교적 덕목이 중시되고 있음 ② 중국: 공산당 정권 수립 이후 유교는 봉건사상을 대표한다고 여 겨져 비난을 받았으나, 최근에는 유교 부흥 운동이 활발하게 전 개되고 있음 ③ 일본: 에도 시대에 성리학이 ‘정학(正學)’으로 인정되기도 했으 며, 불교나 신도(神道)의 영향력이 큰 오늘날에도 유교적 덕목이 중시되고 있음

⑵ 서양에서의 유교 ① 17~19세기 •계몽주의 사상가들이 유교를 적극 수용함 → 유교의 도덕 정치 이념을 이상적 정치 철학으로 여기고, 성왕(聖王) 정치를 이상적 정치 체제로 보기도 함

(가) 세상에서 악을 행하고 남을 해치는 자를 겸(兼, 평등)이라고 불러야 하는가, 별(別, 차별)이라고 불러야 하는가? 반드시 별(別, 차별)이라고 불러야 할 것이다. 차별적으로 대하는 사람[交別者(교별자)]이 천하에 큰 해를 끼치는 자이다. 그러므로 겸으로써 별을 바꿔야만 한다[兼以易別(겸이역별)]. - “묵자” (나) 성인(聖人)은 백성들이 두려워하는 것을 제시하여 그들의 사특함을 금지하고 그들이 싫어하는 것을 제정하여 그들의 간사함을 방지한다. 그래서 나 는 인의(仁義)와 은혜와 사랑은 쓸 만하지 못하며 엄한 형(刑)과 무거운 벌(罰)로써만 나라를 다스릴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 “한비자”

(가)는 묵가의 대표자인 묵자의 주장이며, (나)는 법가의 대표자라고 할 수 있는 한비자의 주장이다. 묵자는 유교의 인(仁)을 ‘별애(別愛, 차별적 사랑)’라고 비판하면서 모두를 차별 없이 똑같이 사랑하는 ‘겸애(兼愛)’를 강조하였다. 한비자는 유교의 인의(仁義)를 혼란스러운 시대의 통치 수 단으로는 적절하지 못한 것이라고 비판하면서 엄한 형(刑)과 무거운 벌(罰)을 통치의 주된 수단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유교에 대한 묵가와 법가의 비판 내용자료와 친해지기

02. 유교 윤리 사상의 연원과 전개 13

THEME 02

(가) 백성을 정(政)으로 지도하고 형(刑)으로 가지런히 하려고 한다면 그들은 형벌을 피하고자 할 뿐 부끄러워하는 마음을 갖지 않게 된 다. 덕(德)으로 인도하고 예(禮)로써 가지런히 하려고 하면 백성들은 부끄러워할 줄 알게 될 뿐만 아니라 바르게 된다. …(중략)… 군자(君子)의 덕은 바람과 같고 소인(小人)의 덕은 풀과 같은 것이라서 풀 위로 바람이 지나가면 풀은 반드시 한쪽으로 눕게 될 것이다. - “논어” (나) 힘을 사용하면서 인(仁)을 행하는 양 가장하는 것이 패도(覇道)이다. 패자(覇者)는 반드시 큰 나라를 소유하려고 한다. 덕으로써 인(仁)을 행하는 것은 왕도(王道)이다. 왕도를 실현한 자[王者]는 큰 나라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힘으로 사람을 복종시키려고 하면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오는 복종을 얻을 수 없다. 그러나 덕으로 복종시키면 사람들이 기뻐하며 진심으로 복종한다. - “맹자” (다) 예(禮)라는 것은 나라를 다스리기 위한 규범이고 강하고 굳세지는 근본이며 위세를 떨치는 길이고 공적과 명성을 올리는 요체 이다. 군주가 예를 따르면 천하를 얻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사직(社稷)을 훼손하게 된다. …(중략)… 군주가 예를 높이고 현자(賢者)를 존중하면 왕자(王者)가 되고, 법을 중시하고 백성을 사랑하면 패자(覇者)가 된다. 그리고 이익을 좋아하고 거짓을 일삼으면 위태로워지고, 권모술수를 쓰고 남을 무너뜨리며 음흉한 일을 저지르면 망하게 된다. - “순자”

(가)는 공자의 주장이고, (나)는 맹자의 주장이며, (다)는 순자의 주장이다. 공자는 인(仁)과 예(禮)에 기반을 둔 덕치(德治)를 참 된 정치로 보았다. 맹자는 패도 정치를 반대하고 인의(仁義)의 덕으로써 다스리는 왕도 정치(王道政治)를 추구하였다. 왕도 정치 는 남의 고통과 불행을 차마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 선한 마음[不忍人之心(불인인지심)]을 통치에 적용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순자는 예(禮)와 예치(禮治)를 강조하였다. 예는 고대의 성왕(聖王)이 사람들의 성정(性情)을 교화하고 재화를 차등적으로 공정 하게 분배하기 위해 만든 사회 규범이다. 예치란 이러한 예에 기반을 둔 정치를 가리킨다.

공자, 맹자, 순자는 어떤 정치를 추구하였는가?심화 학습 ·테마 1

(가) 마음[心]은 한 몸을 주재하는 것이고 의(意)는 마음이 발현한 것이며, 정(情)은 마음이 움직인 것이다. 마음을 떠나서는 성(性)을 알 수 없다. 성은 마음의 이(理)이고 정은 성의 작용이며, 마음은 성과 정을 통괄한다. 성이 선하다고 말하는 것은 단지 저 측은 해 하고 사양하고 겸손해 하고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것과 같은 네 가지 선의 단서[四端]를 보고 그 성이 선한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 물이 맑게 흐르는 것을 보면 그 근원이 반드시 맑으리라는 것을 알 수 있는 것과 같다. 네 가지 선의 단서 는 정이며, 성은 이이다. 발동한 것은 정이고 그 근본은 성이다. (정을 통해 성을 안다는 것은) 마치 그림자를 보고 형체를 안다 는 것과 같다. - “주자어류” (나) 몸을 주재하는 것은 다름 아닌 마음[心]이고 마음이 드러난 것이 바로 의(意)이며 의의 본체가 바로 지(知)이고 의가 있는 곳이 곧 물(物)이다. 만약 의가 부모를 섬기는 데 있다면 부모를 섬기는 것이 바로 하나의 물이고, 의가 백성을 사랑하고 사물을 아끼 는 데 있다면 백성을 사랑하고 사물을 아끼는 것이 바로 하나의 물이다. 그래서 나는 마음 밖에는 이(理)가 없고 마음 밖에는 사 물도 없다고 말하는 것이다. 마음의 본체가 성이며 성은 곧 이이다. 그러므로 부모에게 효도하는 마음이 있으면 곧 효의 이치가 있고 효도하는 마음이 없으면 곧 효의 이치가 없다. 임금에게 충성하는 마음이 있으면 곧 충의 이치가 있고 충성하는 마음이 없 으면 충의 이치가 없다. 그러니 이치가 어찌 내 마음을 벗어나서 있다고 하겠는가? - “전습록”

(가)는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희의 주장이며, (나)는 양명학을 정립한 왕수인의 주장이다. 주희에 따르면 성은 마음의 본체이고 정 은 마음의 작용이며, 마음은 성과 정을 통괄한다[心統性情(심통성정)]. 또한 성은 하늘의 이치[性卽理(성즉리)]이고, 사덕(四德) 을 모두 품고 있다. 그리고 사단(四端)은 성에서 발동한 정이다. 그러나 왕수인에 따르면 마음이 곧 이치이며[心卽理(심즉리)],

마음 밖에는 어떠한 이치도 없고[心外無理(심외무리)], 마음 밖에는 사물도 없다[心外無物(심외무물)]. 마음과 이치, 마음과 사물 은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이다. 왕수인에 따르면 효도와 충성은 그 마음의 이치를 구체적으로 발휘한 것이다.

성리학과 양명학의 심성론은 어떻게 다른가?심화 학습 ·테마 2

14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4쪽

[01~02] 대화의 ‘스승’은 고대 중국 사상가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제자: 인(仁)에 대해 여쭙고 싶습니다. 스승: 사욕(私欲)을 이기고 ㉠ 예(禮)로 돌아가는 것이 곧 인이다. 하루만이라도 사욕을 이기고 예로 돌아가면 천하가 모두 인으로 귀결될 것이니, 인을 실현하는 것이 나로 말미암은 것이지 어찌 남에게 달려 있겠 는가? 제자: 좀 더 자세히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스승: 예가 아니면 보지 말고 예가 아니면 듣지 말고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고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도 말아야 한다.

01 대화의 ‘스승’이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효제(孝悌)는 사랑의 정신을 실천하기 위한 기본적인 덕목인가? ㄴ. 시비(是非)를 분별하지 말고 무조건적인 사랑을 실천해야 하는가? ㄷ. 인간다움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충(忠)과 서(恕)를 실천해야 하는가? ㄹ. 친소(親疏)를 구별하지 않고 모든 사람들을 똑같이 사랑해야 하는가?

보기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7052-0009

02 위의 ㉠에 대해 고대 중국 사상가 갑, 을이 제시할 견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사람이 선을 쌓기를 온전하게 하면 성인(聖人)이 되지만, 성(性)과 정(情)에 따라 행동하고 제대로 학문을 하지 못하면 소인(小人)이 된다. 을: 사람이 남을 해치지 않으려는 마음을 확충하면 어질지[仁] 않음이 없게 될 것이며, 도둑질하지 않으려는 마음을 확충하면 의롭지[義] 않음이 없게 될 것이다.

① 갑: 인간의 본성을 이루고 있는 사덕(四德)의 하나이다. ② 갑: 인성(人性)을 교화하기 위해 제정된 인위적인 규범이다. ③ 을: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마음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덕이다. ④ 을: 사단(四端)을 확충하기 위해 필요한 외면적 규범의 하나이다. ⑤ 갑, 을: 인간의 타고난 자연성을 훼손할 수 있는 사회적인 규범이다.

7052-0010

02. 유교 윤리 사상의 연원과 전개 15

정답과 해설 4쪽

03 다음 대화의 을은 고대 중국 사상가이다. 그가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제시할 수 있는 논리적 근거를

<보기>에서 고른 것은?

갑: 신하였던 탕이 걸(桀) 왕을 내쫓고, 역시 신하였던 무(武)가 주(紂) 왕을 정벌하였다고 하는데, 신하가 그 군주를 내쫓거나 죽여도 되는 것입니까? 을: 인(仁)을 해치는 자를 적(賊)이라 하고 의(義)를 해치는 자를 잔(殘)이라고 하며 잔적(殘賊)한 자를 일개 사 내[一夫]라 합니다. 무가 일개 사내에 불과한 주를 베었다는 말은 들었어도 신하가 군주를 죽였다는 말은 듣지 못하였습니다. 군주는 인의의 실현에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ㄱ. 백성이 가장 귀하고 국가가 다음이며 군주는 가볍다. ㄴ.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부모는 부모다워야 한다. ㄷ. 일반 백성의 본성을 선하게 변화시키려면 생업을 보장해야 한다. ㄹ. 사람의 수명은 하늘에 달려 있고 나라의 운명은 예의에 달려 있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011

04 (가)를 주장한 고대 중국 사상가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에 들어갈 진술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굽은 나무는 반드시 교정목을 대고 쪄서 바로잡은 뒤에야 곧아지며, 무딘 쇠는 반드시 숫돌에 간 뒤에라야 날 카로워진다. 사람의 본성[性]은 반드시 스승과 법도에 의한 교화가 있은 뒤에야 바르게 된다. 사람들에게 스 승과 법도가 없다면 편벽되고 음험하여 바르지 않을 것이며, 예의가 없다면 이치에 어긋나는 어지러운 짓을 해서 다스려지지 않을 것이다.

(나)

세상 사람들이 요임금과 군자를 귀 하게 여기는 까닭은 무엇입니까?

① 성(性)을 교화하고 인위(人爲)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라네. ② 타고난 성(性)을 실현하여 도덕적인 삶을 살아가기 때문이라네. ③ 예법을 배우고 익혀서 본성인 인의(仁義)를 실현하기 때문이라네. ④ 사단(四端)을 확충하는 데 있어서 타인의 모범이 되기 때문이라네. ⑤ 모든 사람을 똑같이 사랑하고[兼愛] 세상을 이롭게 하기 때문이라네.

7052-0012

16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5 갑, 을의 입장을 다음 그림과 같이 탐구하고자 할 때, A ~ C에 들어갈 질문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윤사02-1

<범 례>

: 판단 내용 : 판단 방향 : 사상가의 입장 : 출발 조건

갑, 을의 입장을 탐구한다.

아니요

갑의 입장 을의 입장

A

B

C

① A: 군자와 보통 사람의 타고난 본성은 동일한가? ② B: 인간의 본성을 선이나 악으로 규정할 수 있는가? ③ B: 인성(人性)의 실현이 군자의 길이라고 할 수 있는가? ④ C: 도덕적인 인간이 되려면 반드시 인위[僞]가 필요한가? ⑤ C: 군자는 예를 통해 인간 성정(性情)의 교화를 추구하는가?

7052-0013

06 갑, 을이 다음의 질문에 대해 제시할 수 있는 답변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질문> 이상적인 사회를 이루기 위한 기본적인 조건은 무엇입니까?

ㄱ. 갑: 사람들이 타고난 선한 마음[四端]을 확충해야 한다. ㄴ. 을: 예에 따라 사회적 재화를 차등적으로 분배해야 한다. ㄷ. 갑, 을: 통치자가 인의(仁義)의 도덕 실현을 추구해야 한다. ㄹ. 갑, 을: 예의로써 사람들의 본성[性]을 선하게 변화시켜야 한다.

보기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7052-0014

[05~06] 갑, 을은 고대 중국 사상가들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 사람이 그 마음을 다 발휘하면 그 성(性)을 알게 되고, 그 성을 알면 하늘을 알게 된다. • 군자가 보통 사람들과 다른 까닭은 그가 도덕심을 보존하기 때문이다. 군자는 인(仁)이 아니거나 예(禮)가 아니면 행하지 않는다.

• 사람이 성(性)을 따르면 틀림없이 난폭하게 될 것이므로 반드시 스승과 법도에 의한 교화와 예의를 통한 교 도(敎導)가 필요하다. • 군자가 없다면 다스림의 근본인 예의의 법통이 없어지며, 위로는 임금과 스승이 없고 아래로는 아버지와 아들이 없게 될 것이다.

02. 유교 윤리 사상의 연원과 전개 17

정답과 해설 4쪽

07 갑, 을은 고대 중국 사상가들이다. 갑이 을에게 제기할 수 있는 반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힘을 사용하면서 인(仁)을 행하는 양 가장하는 것이 패도(覇道)이다. 패자(覇者)는 반드시 큰 나라를 소유 하려고 한다. 덕으로써 인(仁)을 행하는 것은 왕도(王道)이다. 왕자(王者)는 큰 나라를 필요로 하지 않는 다. 힘으로 사람을 복종시키려고 하면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오는 복종을 얻을 수 없다. 그러나 덕으로 복 종시키면 사람들이 기뻐하며 진심으로 복종한다. 을: 군주가 예(禮)를 높이고 현명한 사람을 존중하면 왕자(王者)가 되고, 법을 중시하고 백성을 사랑하면 패자 (覇者)가 되며, 권모술수를 쓰고 음흉한 일을 저지르면 망하게 된다. 사람은 예가 아니면 살아갈 수 없고, 일은 예가 아니면 이루어질 수 없으며, 국가는 예가 아니면 편안할 수 없다. 왕자는 백성들을 부유하게 해 주고 패자는 선비들을 부유하게 해 준다.

① 예가 인위적인 사회 규범이라는 것을 알지 못하고 있다. ② 덕치의 실현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③ 패도 정치가 법에 의존하는 정치임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④ 인간의 본성이 선하게 변화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⑤ 왕도 정치의 심리적 기반이 타고난 선한 마음임을 모르고 있다.

7052-0015

08 (가)를 주장한 중국 유교 사상가가 (나)의 질문에 대해 제시할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 마음[心]은 본래 한 사람의 몸을 주재하는 것이지만 허령(虛靈)한 그 체(體)는 천하의 이치[理]를 모두 아우 를 수 있다. 이치는 비록 모든 사물에 나누어져 있지만 미묘한 그 용(用)은 실로 한 사람의 마음 바깥에 있 지 않다. • 궁리(窮理)란 이미 아는 바로서 아직 모르는 것에 이르는 것이며, 통달한 바로서 아직 통달하지 못한 것에 미치는 것이다. 사람의 양지(良知)는 본래부터 있는 것이나 궁리를 하지 않으면 아직 알지 못하고 통달하지 못한 것을 능히 탐구하지 못하게 된다.

(나) “대학(大學)”에 실려 있는 ‘치지는 격물에 있다[致知在格物].’는 말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① 천리(天理)를 보존하고 사욕(私欲)을 제거해야 앎이 지극해진다는 것이다. ② 사물의 이치를 깨닫기 위해서는 경(敬)의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③ 마음의 양지(良知)를 적극적으로 발휘하여 일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④ 실제 생활에서 도덕적 행동을 하는 것이 바로 앎[知]의 완성이라는 것이다. ⑤ 앎을 극진히 하려면 사물에 나아가 그 이치[理]를 궁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7052-0016

18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9 위의 주장을 한 사상가가 강조한 바람직한 삶의 자세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본성이 변화될 수 있도록 예법을 배우고 익힌다. ② 시비와 선악을 구별하지 않고 자유롭게 살아간다. ③ 날마다 옳은 일을 함으로써 의로움을 쌓아 나간다. ④ 모든 사람들을 아무 조건 없이 동등하게 사랑한다. ⑤ 양능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선행을 반복해서 실천한다.

7052-0017

10 다음의 갑, 을 사상가들이 위의 ㉠ ~ ㉢에 대해 제시할 수 있는 견해를 <보기>에서 고른 것은?

갑: 마음의 체(體)가 성(性)이요, 성은 곧 이(理)이다. 천하에 어찌 마음 바깥에 성이 있으며 성 바깥에 이가 있 겠는가. 또 어찌 이 밖에 마음이 있겠는가. 을: 마음을 떠나서는 성(性)을 알 수 없고 성을 떠나서는 마음을 알 수 없다. 성은 곧 천리(天理)이며, 만물은 그것을 부여받아서 이(理)를 갖추지 않은 것이 없다.

ㄱ. 갑: ㉠은 모든 사람이 지니고 있는 선한 본성이다. ㄴ. 을: ㉡, ㉢은 모든 사람의 마음에 내재하는 하늘의 이치이다. ㄷ. 갑, 을: ㉠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마음의 본체이자 천리(天理)이다. ㄹ. 갑, 을: ㉡, ㉢은 각각 측은(惻隱), 수오(羞惡)의 마음을 실천한 결과물이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018

[09~10] 다음은 고대 중국 사상가의 주장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 호연지기(浩然之氣)를 함양해야 한다. 호연지기는 지극히 크고 지극히 굳센[至大至剛] 기로서, 아무런 방해 없이 바르게 잘 기른다면 천지 사이에 가득 차게 된다. 그 기는 언제나 의(義), 도(道)와 함께 있는 것으로 서, 이것들이 없으면 그 기는 시들게 된다. • 사람이 배우지 않고서도 할 수 있는 것은 양능(良能)이고, 헤아려 보지 않고도 알 수 있는 것은 ㉠ 양지(良 知)이다. 어린아이로서 그 어버이를 사랑할 줄 모르는 이가 없으며, 자라나서 그 형을 공경할 줄 모르는 이 가 없다. 어버이를 사랑하는 것[親親]은 ㉡ 인(仁)이고 윗사람을 공경하는 것[敬長]은 ㉢ 의(義)이다.

02. 유교 윤리 사상의 연원과 전개 19

정답과 해설 4쪽

11 (가)의 갑, 을 사상가들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표현할 때, A ~ C에 해당하는 적절한 진술만을 <보기>에서 있 는 대로 고른 것은?

(가)

갑: 사람의 마음은 텅 비고 영명(靈明)하여 어둡지 않다. 모든 이치[理]를 갖추고 있고 만사가 거기서 출현한 다. 그럼에도 마음 밖에서 이치를 구하기 때문에 어두워 이르지 못하는 곳이 있게 된다. 을: 사람의 마음은 영명하여 모두 지(知)를 지니고 있고, 천하의 사물은 모두 다 이치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모든 이치를 다 궁구하지 않음이 있기 때문에 우리의 앎이 극진하지 못하게 된다.

(나)

A: 갑만의 입장 B: 갑, 을의 공통 입장 C: 을만의 입장 <범 례>

갑 을 갑 을

A A B B C C

ㄱ. A: 이치를 아는 것과 실천하는 것은 본래 한 가지이다. ㄴ. B: 성인(聖人)이 되려면 사물에 대한 지식을 축적해야 한다. ㄷ. B: 인간의 마음에는 선천적으로 양지(良知)가 부여되어 있다. ㄹ. C: 인간의 마음과 무관하게 존재할 수 있는 이치나 사물은 없다.

보기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7052-0019

12 갑, 을은 중국 유교 사상가들이다. 갑은 긍정, 을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앎[知]의 진실하고 독실한 면이 바로 행위[行]이고, 행위의 밝게 깨닫고 정밀하게 살피는 면이 바로 앎이 다. 앎과 행위의 공부는 본래 떨어질 수 없다. 참된 앎은 곧 행위하는 것이니, 행위하지 않으면 그것을 앎 이라고 하기 어렵다. 을: 앎[知]과 행위[行]는 서로 의지하니, 이는 마치 눈이 있어도 발이 없으면 나아가지 못하고, 발이 있어도 눈 이 없으면 나아갈 길을 볼 수 없는 것과 같다. 굳이 선후(先後)를 따지면 앎이 우선이고, 경중(輕重)을 따지 면 행위가 더 중요하다.

① 도덕적 앎과 도덕적 행위는 본래 하나인 것인가? ② 도덕적 앎과 도덕적 행위의 일치를 추구해야 하는가? ③ 도덕적 앎은 도덕적 행위를 통해서 획득되는 것인가? ④ 도덕적 앎은 사물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통해 얻은 것인가? ⑤ 타고난 참된 앎은 도덕적 행위로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는가?

7052-0020

20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THEME 한국 유교 윤리 사상0 3

⑶ 이이의 사상 ① 이기론(理氣論) •이와 기는 사물에서 오묘하게 어우러져 있음[理氣之妙(이기지 묘)]을 강조함 •이는 형태와 작용이 없고[無形無爲(무형무위)], 기는 형태와 작 용이 있음[有形有爲(유형유위)]을 강조함

이통기국론 (理通氣局論)

형태가 없는 이는 두루 통하고 형태가 있는 기는 국 한됨

기발이승일도설 (氣發理乘一途說)

작용이 없는 이는 발하는 까닭이고 작용이 있는 기는 발하는 것이므로, ‘기가 발하여 이가 기를 탄다.’는 한 가지 길만 있음 → ‘이가 발하여 기가 이를 따른다.’ 는 주장은 옳지 않음

② 사단 칠정론 •이와 기는 서로 떨어질 수 없음[理氣不相離(이기불상리)]을 강조 하면서 사단과 칠정이 분리될 수 없다고 주장함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가 발하여 이가 탄 것’이라고 주장함 •칠정은 사단을 포함한 것[七包四(칠포사)]이며, 사단은 칠정의 선한 측면일 뿐이라고 주장함 ③ 수양론 •이의 본연인 선의 실현을 위해 기질을 바로잡을 것을 강조함 •경(敬)을 통해 하늘의 참된 이치이자 마음의 본체인 성(誠)에 이 를 것을 강조함 ④ 사회 경장(更張)론 •정치, 경제, 교육, 국방 등과 관련된 전반적인 개혁을 주장함 •실학사상의 형성에 영향을 줌

2 조선 후기의 유교 사상 ⑴ 강화학파 ① 17세기에 정제두에 의해 독자적인 조선 양명학 체계가 수립됨 → 강화도 지역에서 학파가 형성됨 ② 왕수인의 심즉리설(心卽理說), 치양지설(致良知說) 등을 계승함 ③ 인간이 도덕적 주체임을 자각하고 사욕을 극복하여 양지를 실천 할 것을 강조함

1 조선 전기의 유교 사상 ⑴ 유교 사상의 수용과 전개

삼국 시대

•선진(先秦) 유교 수용 •정치 원리, 생활 윤리로서 폭넓게 활용됨

고려 말

•중국으로부터 성리학 수용 •조선 왕조 건국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함

조선 초·중기

• 국가의 통치 이념으로 자리 잡음 •

개인의 도덕적 완성과 이상 사회의 실현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공함 • 본체론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 성리학과 달리 심성론과 관 련된 탐구가 심화됨. 사단 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비롯한 다양한 이론적 논쟁이 전개됨

⑵ 이황의 사상 ① 이기론(理氣論)

이귀기천설 (理貴氣賤說)

순선한 이는 존귀하고 선악의 가능성을 함께 지니고 있 는 기는 상대적으로 비천함

이기호발설 (理氣互發說)

이와 기는 모두 발할 수 있음 → 기는 물론이고 이도 운 동성[發]을 지니고 있음

② 사단 칠정론 •이와 기는 서로 섞일 수 없음[理氣不相雜(이기불상잡)]을 강조하 면서 사단과 칠정의 원천이 각기 다르다고 주장함 •사단은 ‘이가 발하여 기가 이를 따른 것[理發而氣隨之(이발이기 수지)]’이며, 칠정은 ‘기가 발하여 이가 기를 탄 것[氣發而理乘之 (기발이리승지)]’이라고 주장함 •사단과 칠정의 연원이 다르다고 보고, 양자를 엄격히 구분함으 로써 도덕적 기준과 욕망이 혼동될 가능성을 없애고자 함 ③ 수양론 •거경(居敬)과 궁리(窮理)의 병행을 강조함 •경(敬)의 주된 실천 방법

주일무적(主一無適) 마음을 한군데에 집중하여 잡념이 들지 않게 함

정제엄숙(整齊嚴肅) 몸가짐을 단정히 하고 엄숙한 태도를 유지함

상성성(常惺惺) 항상 또렷한 정신 상태를 유지함

마음의 이치는 매우 방대하여 잡을 수 없으며, 매우 넓어서 끝을 볼 수 없으니 경(敬)으로 일관하지 않는다면 어찌 성(性)을 보존하여 체(體)를 확립할 수 있겠는가? …(중략)… 군자의 학문은 이 마음이 아직 발하지 않았을 때는 경을 주(主)로 하여 존양(存養) 공부를 하고, 이 마음이 이미 발하였을 때도 또 한 경을 주로 하여 성찰(省察) 공부를 한다. 이것이 경이 학문의 처음과 끝이 되고 체와 용을 관통하는 까닭이다. - “퇴계전서”

자료는 이황의 주장이다. 이황에 따르면 경(敬)은 한 마음[一心]을 주재하는 것이고, 모든 일의 근본이며, 성학(聖學)의 처음과 끝이다. 그러므로 천리(天理)를 보존하고 인욕(人欲)을 막으려면 경을 실천해야 한다. 경으로 마음을 잘 다스린다면 몸의 주재자로서의 마음이 바르게 되어 물욕에 유혹됨이 없이 한결같이 천리를 보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을 실천하는 주된 방법으로는 주일무적, 정제엄숙, 상성성 등을 꼽을 수 있다.

이황의 경 사상자료와 친해지기

03. 한국 유교 윤리 사상 21

www.ebsi.co.kr

③ 대표적인 학자: 이항로, 최익현 등 ④ 의의: 우리의 주체성을 지키고자 하는 의식과 절의(節義)를 강조 하는 선비 정신의 표출로 볼 수 있음 → 훗날 일본의 침략에 저 항하는 의병 운동으로 이어짐

⑸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적 개화사상 ① 동도서기론: 유교적 가치와 질서[東道]를 지키면서 서양의 우수 한 과학 기술과 군사 제도[西器]를 수용하자는 입장 ② 의의: 유교를 중심 사상으로 삼으면서도 근대화된 서양 문물을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려는 의지가 담겨 있 는 사상이라고 볼 수 있음

⑹ 애국 계몽 운동 ① 등장 배경: 일본의 식민 정책이 본격화함에 따라 국권 회복이 당 면 과제로 대두함 ② 박은식의 사상 •유교구신론(儒敎求新論): 양명학에 입각한 유교 개혁을 통해 유 교 문화의 긍정적 요소를 국권 회복 운동에 활용할 것을 강조함 •도덕성 함양을 토대로 서양의 과학과 산업 기술을 배울 필요가 있다고 주장함 ③ 신채호의 사상 •우리 민족의 고유성과 주체성을 토대로 근대 국가를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함 •주자학의 지배 논리와 중국사의 고정화된 정통론을 부정하고 민 중을 역사의 주체로 삼는 새로운 역사관을 제시함

3 한국 유교 사상과 현대 사회 ⑴ 현대 한국 사회의 여러 문제: 지역, 세대, 성별, 빈부 등의 요소에 의한 갈등의 심화, 주체성 상실과 사대주의적 흐름 등

⑵ 한국 유교 사상의 현대적 의의 ① 조화 정신: 조화와 균형을 강조하는 한국 유교 사상은 다양한 갈 등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음 ② 주체 의식: 우리의 현실에 맞게 주체적으로 유교를 수용해 온 한 국 유교는 사대주의적 흐름에 경종을 울릴 수 있음

⑵ 실학 ① 등장 배경 •백성들의 실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학문을 해야 한다는 사회 적 분위기가 대두함 •청나라의 고증학과 서양 문물이 유입됨 ② 주요 경향

경세치용(經世致用) 세상의 경영과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학문 추구

이용후생(利用厚生) 생활의 편리성 증진과 경제 성장 및 복지 추구

실사구시(實事求是)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탐구 태도 강조

⑶ 정약용의 실학사상 ① 심성론 •성기호설(性嗜好說): 인간의 본성은 마음의 기호, 즉 선을 좋아 하고 악을 싫어하는 마음의 성향임

형구(形軀)의 기호

육체적이고 감각적인 것과 관련된 기호 → 인간과 동물 모두가 지니고 있음

영지(靈知)의 기호

도덕적인 것과 관련된 기호, 즉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 어하는 기호 → 인간만이 지니고 있음

•인간의 도덕적 자율성 강조: 인간의 마음에는 선이나 악을 스스 로 선택할 수 있는 자주지권(自主之權)이 부여되어 있음 •인간의 욕구[欲] 긍정: 욕구는 생존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 이며, 도덕적 삶의 추동력이 될 수도 있음 ② 덕론 •인의예지라는 덕은 인간의 본성에 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선을 좋아하는 기호에 따라 행위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임 •인의예지는 타고난 사단을 확충함으로써, 즉 사단을 일상생활에 서 실천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임

⑷ 위정척사(衛正斥邪) 사상과 의병 운동 ① 등장 배경: 19세기 말 서구 열강의 침략과 서양 문물의 유입에 따라 전통적 가치관과 윤리 사상이 상실될 위기에 처함 ② 위정척사의 의미: 올바른 것[유교적 가치 체계와 질서]은 지키고 거짓된 것[서양과 일본의 문물]은 배척해야 함

(가) 대개 지(知)와 능(能) 두 글자는 둘로 갈라서는 안 된다. 스스로 능히 아는 것이 양지(良知)이며, 양지가 곧 양능(良能)이다. 양지의 학문은 마음과 이 치를 하나로 하며 앎과 행함을 합치시킨다. 마음과 이치의 본체가 본래 그러하기 때문이다. - “하곡집” (나) 대개 치양지(致良知)의 학문은 본심을 직접 가리켜서 일반 백성들이 쉽게 성인(聖人)의 길로 들어서게 해 준다. 참된 나[眞我]가 되기 위해서는 양지 로써 주재하여 복잡하고 변화하는 사물들 가운데서 유혹에 이끌리지 않고 부림을 당하지 않으며 그것들에게 명령하고&bsp;모든 것을 제재해야 한다. - “박은식전서” -

(가)는 정제두의 주장이고, (나)는 박은식의 주장이다. 정제두는 왕수인의 심즉리설(心卽理說), 치양지설(致良知說) 등을 계승하여 조선 양명학을 수립하였다. 특히 그는 양지(良知)를 마음에서 생생하게 활동하는 참된 이치로 보았다. 그가 보기에 양지란 어떤 상황에서 가장 옳은 것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다. 한편 박은식은 성리학에 비해 이론이 간결하고 실천을 중시하는 양명학에 입각하여 유교를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에 따르면 치양지(致良知)의 학문은 본심을 직접 가리켜서 일반 백성들이 쉽게 성인(聖人)의 길로 들어서게 해 주며, 지행합일론(知行合一論)은 내면 을 성찰하는 데 긴밀하고 절실하며 현실에 대응하는 데 있어 과감한 힘이 있다.

정제두와 박은식의 양명학자료와 친해지기

22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THEME 03

(가) 주희가 ‘이(理)는 감정과 의지가 없으며 새롭게 만들거나 짓지[造作] 않는다.’고 말한 것은 이의 본연의 체(體)를 말한 것이며, ‘그것이 때에 따라 발현하고 이르지 않는 데가 없다.’고 말한 것은 이의 지극히 신묘한 작용[用]을 말한 것이다. 본체의 무위(無 爲)만을 보고 신묘한 작용이 드러나는 운행을 알지 못하여 이를 죽은 물건으로 인정한다면 이것은 도리와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닌가? - “퇴계집” (나) 사단(四端)은 이가 발(發)하여 기(氣)가 따른 것이고, 칠정(七情)은 기가 발하여 이가 탄 것이다. …(중략)… 사단과 칠정이 비록 같은 정이기는 하지만, 연원이 다르기 때문에 옛날부터 이름을 달리하였던 것이다. 만약 본래부터 연원이 다르지 않았다면 무 엇 때문에 다르게 말했겠는가? …(중략)… 사단의 연원을 이라고 한다면, 칠정의 연원은 기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 “퇴계집” (다) 주희의 ‘이에서 발한다, 기에서 발한다.’라는 말의 본뜻은 ‘사단은 오로지 이만을 말하고 칠정은 기를 겸(兼)하여 말한다.’는 것일 뿐이지 결코 ‘사단은 이가 먼저 발하고 칠정은 기가 먼저 발한다.’는 것은 아니다. ‘사단은 이가 발하여 기가 따른 것이고, 칠정 은 기가 발하여 이가 탄 것이다.’라는 퇴계의 주장 중에서 이른바 기발이승(氣發理乘)은 옳다. 단, 칠정만 그런 것이 아니라 사 단 역시 기발이승이다. - “율곡전서” (라) 정(情)은 하나이지만 사단이다 칠정이다 말하는 것은 오직 이만을 말할 때와 기를 겸하여 말할 때가 같지 않기 때문이다. 사단 은 칠정을 겸할 수 없으나 칠정은 사단을 겸할 수 있다. 전체를 아우른다는 측면에서 볼 때 사단은 칠정만 못하며, 순수성이라 는 측면에서 볼 때 칠정은 사단만 못하다. - “율곡전서” -

(가)와 (나)는 이황의 주장이고, (다)와 (라)는 이이의 주장이다. 이황은 이와 기가 개념상 분명하게 구분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사 단과 칠정을 엄격하게 구분해서 말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르면 사단은 이가 발한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한 것이다. 이황은 이가 발할 수 있다는 주장의 근거를 주희의 이기론에서 찾았다. 이에 비해 이이는 이와 기가 사실상 분리될 수 없다는 점에 주목하였 다. 그래서 그는 이황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비판하고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제시하였다. 발할 수 있는 것은 기뿐이므로 “기가 발하면 이가 기를 탄다.”라는 명제만이 옳다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가 발한 것이며, 칠 정은 사단을 포함한다.

이황과 이이의 사단 칠정론심화 학습 ·테마 1

• 인간의 성(性)이 선(善)을 행하기를 좋아함은 마치 물의 성(性)이 아래로 흘러가기를 좋아하는 것과 같고 불의 성이 위로 올라가기 를 좋아하는 것과 같다. 세상에 태어날 때 하늘이 이 성을 부여하였으니, 비록 온갖 탐욕과 음란과 학살을 행하더라도 이 성만은 그대로 변하지 않는다. 충신과 효자를 보고 선하다고 찬미함은 온 나라 사람이 같고 탐관오리를 보고 악하다고 미워함은 온 나라 사람이 같으니, 이것이 이른바 인간의 성이 선하다는 것이다. •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고 할 때 측은히 여기면서도 가서 구제하지 않는다면 그 마음에 인(仁)이 있다고 말할 수 없으며, 누군 가가 한 그릇의 밥을 멸시하거나 발로 차면서 줄 때 수치스러움을 느끼면서도 그것을 버리지 않는다면 그 마음에 의(義)가 있다고 말할 수 없다. 측은(惻隱), 수오(羞惡), 사양(辭讓), 시비(是非)라는 네 가지 마음은 인성(人性)이 본래 지니고 있는 것이며, 사덕(四 德)은 이 네 가지 마음을 확충한 것이다. 확충하지 못하면 인의예지라는 이름은 끝내 성립할 수 없다. • 시연(始然)이란 불의 시작이고 시달(始達)은 물의 시작이며 측은(惻隱)은 인(仁)의 시작이다. 시연이 확충되어 불꽃이 활활 타오르 면 들불이나 화롯불이 되고, 시달이 확충되어 물길이 도도히 흐르면 강이나 하천이 되며, 측은이 확충되어 자상함의 극치에 이르 면 인이 천하를 뒤덮게 된다. 단(端)은 시작을 뜻할 뿐 안에서 나오는 단서가 아니다. - “여유당전서” -

자료는 모두 정약용의 주장이다. 정약용은 성이 곧 하늘의 이치[性卽理]라는 성리학의 기본 명제를 부정하고 성을 인심(人心)의 기호(嗜好)로 보았다. 그가 말하는 기호란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마음의 경향성을 가리킨다. 그리고 사단(四端)은 타고난 선한 마음[心]으로서, 선을 좋아하는 기호의 구체적인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정약용에 따르면 인의예지라는 사덕(四德)은 하늘 로부터 부여받은 본성이 아니라 본래부터 지니고 있는 사단을 확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그에게 있어서 사단의 ‘단’은 ‘시작 [始]’을 의미한다. 사단은 사덕을 형성하기 위한 시작 또는 출발점이라는 것이다.

정약용의 심성론과 덕론심화 학습 ·테마 2

03. 한국 유교 윤리 사상 23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7쪽 01 갑, 을은 한국 유교 사상가들이다. ㉠에 들어갈 적절한 진술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갑의 주장

을의 반론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이 두 마음이 아니듯이 사단(四端)과 칠정(七情)도 두 정(情)이 아니다. 정의 총칭이 칠정이고, 그 선한 정만을 가리켜 사단이라 하는 것이다. 주희가 “이(理)에서 발하고 기(氣)에서 발한다.”고 한 것은 다만 사단의 이를 주로 하고 칠정의 기를 겸한 것을 가리킨 것이다. 만약 반드시 사단과 칠정을 꼭 두 변으로 나눈다면 인성(人性)의 본연(本然)과 기질(氣質)도 나뉘어 두 성(性)이 될 것이니, 어찌 이러한 이 치가 있겠는가.

ㄱ. 사단은 이가 발한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한 것이다. ㄴ. 칠정은 사단을 겸하지만 사단은 칠정을 겸할 수 없다. ㄷ. 성과 마찬가지로 정도 이와 기로 나누어 말할 수 있다. ㄹ. 기가 아니면 발할 수 없고 이가 아니면 발할 까닭이 없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021

02 다음을 주장한 한국 유교 사상가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 이(理)는 본말(本末)과 선후(先後)가 없으며, 없는 데가 없다. 이것을 일러 이통(理通)이라고 한다. 이에 비 해 기(氣)는 본말이 있고 선후가 있다. 이러한 기가 오르락내리락하고 날아다니며 조금도 쉬지 않으므로 만 가지 변화가 생기는 것이다. •

양(陽)이 움직이면[動] 이(理)가 그 움직임에 타는 것이지 이가 움직이는 것은 아니며, 음(陰)이 고요하면[靜] 이가 그 고요함에 타는 것이지 이가 고요한 것은 아니다. 이는 음이 고요하고 양이 움직이는 까닭[所以]이다.

ㄱ. 사단은 이가 발하여 기가 따른 순수하고 선한 감정인가? ㄴ. 이는 스스로 작용하는 것이므로 음을 낳고 양을 낳는가? ㄷ. 칠정은 사단을 포함하며, 사단은 칠정의 순선한 측면인가? ㄹ. 이는 형태와 작용이 없는 데 비해 기는 형태와 작용이 있는가?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022

24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3 갑, 을의 입장을 그림과 같이 탐구하고자 할 때, A ~ C에 들어갈 질문으로 적절한 것은?

윤사02-1

<범 례>

: 판단 내용 : 판단 방향 : 사상가의 입장 : 출발 조건

갑, 을의 입장을 탐구한다.

아니요

갑의 입장 을의 입장

A

B

C

① A: 사단은 칠정의 순선한 측면을 가리키는 것인가? ② B: 사단은 이가 발한 성이고 칠정은 기가 발한 정인가? ③ B: 마음의 작용은 이의 발현과 기의 발현으로 구분되는가? ④ C: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은 모두 기가 발해서 드러난 것인가? ⑤ C: 사단과 칠정은 기가 발함에 이가 타서 나타난 순선한 성인가?

7052-0023

04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가 위의 갑, 을 모두에게 제기할 수 있는 반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인의예지(仁義禮智)는 꽃이나 열매와 같은 것으로서, 그 근본은 오직 마음에 있다. 측은지심(惻隱之心)과 수 오지심(羞惡之心)이 안에서 발동하여 인의가 밖에서 이루어지고, 사양지심(辭讓之心)과 시비지심(是非之心) 이 안에서 발동하여 예지가 밖에서 이루어진다.

① 사단이 사덕(四德)의 존재를 알 수 있게 해 주는 단서임을 알지 못하고 있다. ② 사단의 확충 이전에는 마음에 사덕(四德)이 있을 수 없음을 알지 못하고 있다. ③ 사단은 감정이라고 할 수는 있지만 본성이라고 할 수 없음을 알지 못하고 있다. ④ 사단은 선을 좋아하는 기호(嗜好)에 따라 행위해야 갖춰짐을 알지 못하고 있다. ⑤ 사단은 순선한 것이지만 칠정은 악으로 흐를 수도 있는 것임을 알지 못하고 있다.

7052-0024

[03~04] 갑, 을은 한국 유교 사상가들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갑: 정(情)에 사단과 칠정의 분별이 있는 것은 성(性)에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의 분별이 있는 것과 같다. 사단 과 칠정이 모두 이기(理氣)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각각의 유래와 관련하여 주되거나 중요한 것 을 가리켜 말한다면 어떤 것은 이라고 하고 어떤 것은 기라고 하는 것이 어찌 불가하겠는가? 을: 정(情)은 하나이지만 사단이다 칠정이다 말하는 것은 이(理)만을 말할 때와 기(氣)를 겸하여 말할 때가 같 지 않기 때문이다. 본연지성은 기질지성을 겸할 수 없지만 기질지성은 본연지성을 겸하듯이 사단은 칠정 을 겸할 수 없으나 칠정은 사단을 겸한다. 그러나 순수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칠정은 사단만 못하다.

03. 한국 유교 윤리 사상 25

정답과 해설 7쪽

05 다음의 입장을 지닌 한국 유교 사상가가 지지할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사물의 이(理)와 내 마음을 안과 밖 또는 이것과 저것으로 나눌 수 없다. 양명(陽明)이 ‘내 마음 안에 있는 만사의 이와 천지만물의 이가 하나일 따름’이라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을 이른 말이다. • 양명은 “마음이 곧 이치다.”라고 말하였다. 이 말은 이치는 마음에서 발(發)하는 것이요, 마음의 조리(條理) 가 곧 이치라는 것이지, 마음과 이치가 두 물건인데 그것을 합치면 하나가 된다는 것이 아니다.

① 인간이 도덕적 판단과 실천의 주체임을 자각해야 한다. ② 인격 완성을 위해 개별 사물의 이치 탐구에 힘써야 한다. ③ 이론적인 탐구를 철저히 한 후에 도덕적 실천을 해야 한다. ④ 양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마음의 이치에 따라 행위해야 한다. ⑤ 나의 마음이 아닌 외부에서 객관적인 판단 기준을 찾아야 한다.

7052-0025

06 다음은 한국 유교 사상가의 입장이다. ㉠에 들어갈 진술로 가장 적절한 것은?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고 할 때, 측은히 여기면서도 가서 구해 주지 않는다면 그 마음에 인(仁)이 있다고 말할 수 없다. 측은히 여기는 마음은 사람이 본래 가지고 있는 것이며, 인은 그 마음을 확충한 것이다. 그런데 어느 선배 유학자는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는 것을 본 연후에야 측은히 여기는 마음이 발하게 된다. 그 아이를 보고서 측은히 여기는 것은 기(氣)이니, 이것이 곧 기가 발한다는 것이요, 측은히 여기는 마음의 근본 은 인(仁)이니, 이것이 곧 이(理)가 탄다는 것이다.”라고 주장하였다. 내가 보기에 이 사상가는 ㉠

① 사단을 실천해야 사덕(四德)이 형성된다는 것을 모르고 있다. ② 사단과 칠정이 모두 기(氣)가 발한 것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 ③ 사단은 단지 선한 감정의 다른 이름일 뿐이라는 것을 부정하고 있다. ④ 사단은 본성이고 칠정은 감정이지만 그 연원이 같다는 것을 모르고 있다. ⑤ 사단은 마음의 작용이고 사덕(四德)은 마음의 본체라는 것을 부정하고 있다.

7052-0026

26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7 갑, 을의 입장을 그림으로 표현할 때, A ~ C에 해당하는 적절한 진술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A: 갑만의 입장 B: 갑, 을의 공통 입장 C: 을만의 입장 <범 례>

갑 을 갑 을

A A B B C C

ㄱ. A: 사단은 마음에 사덕이 내재함을 알게 해 주는 단서이다. ㄴ. A: 인간은 동물과 달리 영지(靈知)의 기호를 가지고 태어난다. ㄷ. B: 타고난 사단을 확충하면 누구나 도덕적인 인간이 될 수 있다. ㄹ. C: 사덕은 마음의 본체[體]로서의 성이고 사단은 성이 표현된 것이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7052-0027

08 다음을 주장한 한국 유교 사상가가 위의 을에게 제기할 수 있는 반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마음에서 생생하게 활동하는 이치[生理]는 능히 밝게 깨달을 수 있으며 만사에 두루 통하여 사단을 모두 행할 수 있다. 이것이 이른바 양지(良知)이며 곧 인(仁)이다. 따라서 사물에서 이치를 찾는 것은 잘못이다.

① 사람의 마음에 이치[理]가 내재해 있음을 모르고 있다. ② 도덕의 기준은 오직 마음[心]에만 있을 뿐임을 모르고 있다. ③ 도덕적 인간이 되려면 본성을 변화시켜야 함을 모르고 있다. ④ 사람에게는 선천적인 도덕 판단 능력이 있음을 모르고 있다. ⑤ 이상적 인간이 되려면 천리(天理)를 보존해야 함을 모르고 있다.

7052-0028

[07~08] 갑은 한국 유교 사상가, 을은 중국 유교 사상가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갑: 사람의 성(性)은 단지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것이다. 선을 좋아함으로 해서 측은(惻隱)과 사양(辭 讓)의 마음이 있게 되며, 악을 싫어함으로 해서 수오(羞惡)와 시비(是非)의 마음이 있게 되며, 그 네 가지 마음이 있음으로 해서 인의예지의 덕을 이룰 수가 있다. 을: 사람의 성이 선하다고 말하는 것은 측은, 수오, 사양, 시비라는 네 가지 선의 단서를 보고 그 성이 선한 것 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 물이 맑게 흐르는 것을 보면 그 근원이 맑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과 같다. 네 가지 선의 단서는 정(情)이며, 성은 이(理)이다.

03. 한국 유교 윤리 사상 27

정답과 해설 7쪽

09 갑, 을은 한국 유교 사상가들이다. 이들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갑: 대개 지(知)와 능(能) 두 글자는 둘로 갈라서는 안 된다. 스스로 능히 아는 것이 양지(良知)이며, 양지가 곧 양능(良能)이다. 양지의 학문은 마음과 이치를 하나로 하며 앎과 행함을 합치시킨다. 사사로운 지혜[私智] 로써 그렇게 한 것이 아니라, 마음과 이치의 본체가 본시 그러하기 때문이다. 을: 대개 치양지(致良知)의 학문은 본심을 직접 가리켜서 일반 백성들이 쉽게 성인(聖人)의 길로 들어서게 해 준다. 참된 나[眞我]가 되기 위해서는 양지로써 주재하여 복잡하고 변화하는 사물들 가운데서 유혹에 이 끌리지 않고 부림을 당하지 않으며 그것들에게 명령하고 모든 것을 제재해야 한다.

① 갑은 객관적인 도덕규범에 의하여 옳고 그름을 판단할 것을 강조하였다. ② 갑은 국권 회복을 위해 양명학에 입각한 유교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③ 을은 참된 나가 되기 위해 주체적으로 양지를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④ 을은 유교 개혁을 위해 전통적인 문화와 학문을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⑤ 갑, 을은 양명학에 입각하여 전통 사상과 서양 문물을 조화시킬 것을 강조하였다.

7052-0029

10 갑, 을은 한국 유교 사상가들이다. 갑은 긍정, 을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도(道)는 바뀔 수 없는 것이지만 기(器)는 수시로 바뀌어 고정적일 수 없는 것이다. 삼강(三綱), 오상(五常) 등은 도이고, 예악(禮樂), 형정(刑政) 등은 기이다. 우리의 도를 행하는 것은 정덕(正德)을 위한 것이요, 저 들의 기를 본받는 것은 이용후생(利用厚生)을 위한 것이다. 을: 도(道)와 기(器) 그리고 의(義)와 이(利)를 분별하여 무엇이 크고 중요하며 무엇이 작고 가벼운 것인지를 결정한다면, 난세를 극복하는 일이 매우 쉽게 될 것이다. 지극히 올바른 우리의 도를 담고 있는 정학(正 學)을 밝힘으로써 이단을 물리치는 일에 무엇보다 먼저 힘써야 한다.

① 모든 서양 문물에 대해 비판적인 자세를 취해야 하는가? ② 유교적 가치 체계와 인륜 도덕을 보존하고 지켜야 하는가? ③ 서양 문물을 수용하여 전통적 가치관을 변화시켜야 하는가? ④ 서양의 발달된 과학 기술과 군사 제도를 받아들여야 하는가? ⑤ 고유 사상을 활용하여 유교 사상을 새롭게 체계화해야 하는가?

7052-0030

28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THEME 불교 윤리 사상0 4

③ 한국과 일본의 불교 •한국 불교: 삼국 시대에 유입되었으며, 다양한 불교 종파를 통섭 하여 독자적인 한국 불교 체계를 정립함 •일본 불교: 생활 불교와 장례 불교적 성격을 띠면서 민간 속에 뿌리를 내렸으며, 일본 종래의 신도(神道)와 절충함

2 불교 사상의 특징 ⑴ 연기적 세계관 ① 연기설(緣起說): 모든 존재와 현상은 다양한 원인[因]과 조건[緣] 에 의해 생겨난다는 이론 •연기의 법을 올바르게 이해할 때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나 해탈 에 이를 수 있음 •모든 존재가 서로 관계를 맺고 상호 의존적으로 존재한다는 사 실을 일깨워 줌 •자비(慈悲): 남을 사랑하고 남의 고통을 연민하는 마음으로, 연 기에 대한 자각에서 자연스럽게 우러나오게 됨 ② 사성제(四聖諦)와 팔정도(八正道) •사성제: 석가모니가 깨달은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고제 (苦諦)

•인간의 삶 그 자체가 고통임 •생로병사(生老病死)가 대표적임

집제 (集諦)

•무명(無明)과 애욕(愛慾)으로 인해 고통을 겪게 됨 • 무명과 애욕은 모든 중생을 끊임없이 윤회하게 만드는 요 인임

멸제 (滅諦)

무명과 애욕을 없애면 더 이상 고통이 없는 열반에 이르게 됨

도제 (道諦)

열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여덟 가지 올바른 길[八正道]’을 닦아야 함

•팔정도: 깨달음을 얻기 위해 실천해야 하는 여덟 가지 올바른 수 행 방법. 정견[正見, 바른 견해], 정사[正思, 바른 생각], 정어[正 語, 바른 말], 정업[正業, 바른 행동], 정명[正命, 바른 생활], 정 정진[正精進, 바른 노력]. 정념[正念, 바른 관찰], 정정[正定, 바른 명상]

1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⑴ 불교의 성립과 전개 ① 불교의 성립: 기원전 6세기경 고타마 싯다르타[석가모니]가 자신 의 깨달음[法]을 펴기 시작하면서 불교 교단이 형성됨 ② 원시 불교의 가르침 •계(戒), 정(定), 혜(慧)의 삼학(三學)을 실천하는 체계적인 수행을 강조함. 연기설, 사성제 등의 이론을 제시함 •출가자에게는 열반(涅槃)에 이르는 수행을 권고하였고, 재가 신 도들에게는 도덕적 삶을 통해 좋은 과보(果報)를 얻도록 선행을 권장함

⑵ 불교의 아시아 지역 전파와 그 특징 ① 부파(소승) 불교와 대승 불교의 성립 •석가모니 입멸 후 제자들은 결집(結集)을 통하여 교법(敎法)을 정리하는 데 착수함 •불교의 교리를 체계적으로 정립하는 과정에서 계율과 경전의 해 석을 둘러싸고 여러 교파로 분열됨(부파 불교)

부파 불교 (소승 불교)

• 석가모니 가르침의 이론적 체계화를 통하여 경전 체계 를 확립함 • 엄격한 종교성과 자기 해탈을 중시하였으나, 점차 대중 의 지지 기반을 상실함

대승 불교

• 대중과 멀어진 부파 불교를 소승 불교로 규정하고, 깨달 음과 중생의 제도를 함께 실현해 가는 보살(菩薩)을 이 상적인 인간으로 내세움 • 용수(龍樹)에 의해 공(空) 사상이 확립됨 • 사유가 심화되고 교리 해석이 다양화되면서 철학적·이 론적인 경향으로 흐름

② 중국 불교 •후한 때 전래되어 위·진 남북조 시대를 거치면서 뿌리내리기 시작함 •초기에는 노장사상의 개념을 활용하여 불교를 해석하고 이해하 였으며[격의(格義) 불교], 이후 수·당 시대를 거치면서 중국인 들에게 맞는 형식과 내용으로 재해석되면서 다양한 종파로 나뉨

이를테면 여기에 갈대 묶음이 있다고 하자. 그 갈대 묶음은 서로 의지하고 있을 때는 서 있을 수가 있다. 즉 이것이 있기 때문에 그것이 있는 것이며, 그 것이 있기 때문에 이것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두 개의 갈대 묶음에서 어느 하나를 제거한다면 다른 갈대도 넘어질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것이 없 으면 그것도 없는 것이며, 그것이 없으면 이것도 없는 것이다. - “상응부경”

불교의 연기설은,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저것이 있으므로 이것이 있다. 이것이 없으므로 저것이 없고, 저것이 없으므로 이것이 없다.”로 표현된다. 이것과 저것이 원인과 결과의 무수한 고리로 연결되어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즉 모든 존재와 현상은 다양한 원인[因]과 조건[緣]에 의해 생겨나는 것이기 때문에 홀로 존재하는 것은 없으며, 세상의 모든 것은 상의성(相依性)을 지니고 있음을 강조한 것이 연기설이다.

연기설의 이해자료와 친해지기

04. 불교 윤리 사상 29

www.ebsi.co.kr

•사성제, 팔정도, 십이연기 등과 같은 교리의 체득을 강조하며, 교리에 대한 깊은 이해와 계율의 실천을 중시함 ② 원효의 사상 •화쟁(和諍) 사상: 대립·갈등하는 불교 종파들의 주장을 높은 차 원에서 하나로 아우르려는 사상 •일심(一心): 깨끗함과 더러움, 참과 거짓, 나와 너 등 일체의 이 원적 대립을 초월하는 절대불이(絶對不二)한 것 •일심으로 돌아가면 모든 생명을 이롭게 할 수 있음

⑵ 선종(禪宗) ① 선종의 특징 •선종: 모든 사람의 마음속에 불성(佛性)이 있다고 보고 스스로의 수행을 통한 주체적인 해탈을 강조함 •자신의 마음을 직접 보고 자신의 본성이 곧 불성임을 깨달으면 부처가 될 수 있음[見性成佛(견성성불)]을 강조함 •경전에 얽매이는 것을 비판[不立文字(불립문자)]하면서, 문자 밖 에서 깨닫는 것[敎外別傳(교외별전)]을 중시함 •스승과 제자 사이에 마음으로 주고받는 가르침이 중요하다고 생 각함[以心傳心(이심전심)] ② 의천과 지눌의 사상

의천

• 교종을 중심으로 선종과의 조화 추구 • 교관겸수(敎觀兼修): 경전을 읽는 것과 참선 수행을 함께해야 함 • 내외겸전(內外兼全): 내적인 공부[선종]와 외적인 공부[교종]를 모두 해야 함

지눌

• 선종을 중심으로 교종과의 조화 추구 • 돈오점수(頓悟漸修): 단번에 진리를 깨친 뒤 나쁜 습기(習氣)를 차차 소멸시켜 나가야 함 • 정혜쌍수(定慧雙修): 점수의 구체적 실천 내용으로 선정(禪定)과 지혜(智慧)를 함께 닦아 나가야 함 • 교종과 선종의 오랜 갈등과 대립을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함

⑶ 한국 불교의 특징 ① 원융회통적 경향: 다른 종파를 배타적으로 대하지 않고 아우름 ② 호국 불교: 민족과 국가를 수호하고자 함 ③ 불국토 사상: 현세의 국토를 이상 세계로 만들고자 함

③ 삼법인설(三法印說) 또는 사법인설(四法印說): 인간과 세상의 실 상은 무상(無常), 무아(無我), 고(苦)라는 것. 여기에 ‘열반적정’을 더하여 ‘사법인설’로 부르기도 함

제행무상 (諸行無常)

세상의 모든 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생성되고 소멸하는 변화를 거듭함

제법무아 (諸法無我)

‘나’라고 주장할 만한 고정된 실체는 존재하지 않음

일체개고 (一切皆苦)

끊임없이 변화하는 모든 것은 고통[苦]일 수밖에 없음

열반적정 (涅槃寂靜)

깨달음을 통해 이르게 되는 열반은 지극히 고요한 경지임

⑵ 주체적 인간관 ① 인간의 삶에서 나타나는 모든 현상을 스스로 행한 업(業)의 결과 로 보고 도덕적 행동을 하도록 강조함 ② 중도(中道) 사상: 쾌락과 고행의 양극단을 넘어서는 올바른 수행 을 통해 깨달음을 얻을 수 있음 ③ 보살: 대승 불교에서 제시하는 이상적 인간상으로, 위로는 깨달 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하는 인간

⑶ 평등적 세계관 ① 계급을 따지지 않고 누구나 불교 공동체의 일원이 되어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을 수 있도록 함 ② 불성(佛性): 인간을 포함한 살아 움직이는 모든 존재는 부처가 될 가능성[佛性]을 가지고 있음. 이런 면에서 보면 모두가 평등함 ③ 연기 사상: 모든 존재는 서로 의존적인 관계를 맺기 때문에 나 자신을 포함한 모든 존재가 소중하다는 사고로 전환되며, 생명에 대한 경외감을 일깨워 줌 ④ 자비심(慈悲心): 사랑[慈]과 연민[悲]을 모든 중생에게로 확장시 켜 나아감

3 한국의 불교 사상 ⑴ 교종(敎宗) ① 교종의 특징 •교종: 부처의 말씀인 경전을 근본 종지(宗旨)로 함

깨닫지 못하면 부처와 중생(衆生)의 구분이 있고, 깨달으면 중생이 곧 부처이다. 어리석으면 부처와 중생이 있고, 지혜(智慧)가 있으면 중생이 곧 부처이 다. 마음에 번뇌가 있으면 부처와 중생이 있고, 마음이 평등하면 중생이 곧 부처이다. 만약 마음에 번뇌가 생(生)하면 부처는 중생 속에 있고, 마음이 평 등해지면 중생은 스스로 부처가 된다. 내 마음에 스스로 부처가 있다. 만약 스스로에 부처가 없다면 어디에서 부처를 구할 것인가. - “육조단경”

선종은 모든 사람의 마음속에 깨달을 수 있는 주체인 불성이 있으며, 깨달음은 바로 자기 마음속에서 오는 것일 뿐 다른 곳에 있지 않다고 강조하 며 주체적인 자아의 완성과 해탈을 주장하였다. 특히, 선종은 교종이 깨달음을 얻는 도구에 지나지 않는 경전에 지나치게 얽매이는 점을 비판하 며 경전에 집착하지 않고도 깨달을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선종과 돈오자료와 친해지기

30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THEME 04

• 어리석고 무지한 범부들은 오온[色·受·想·行·識]에 대해 그것이 항상 존재한다고 생각하며, 그것이 나요 나의 것이라고 생각 하여 오온을 보호하고 아낀다. 그러다가 최후에는 오온이라는 원수에게 해를 당하는 것이 마치 거짓으로 친한 척한 원수에게 해 를 당하기까지 그것을 깨닫지 못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지혜로운 자들은 오온에 대해 그것이 병과 같고 종기와 같고 무상하고 공 (空)이고 나도 아니고 나의 것도 아니라는 것을 관찰한다. 그래서 오온에 집착하지도 않고 받아들이지도 않는다. 받아들이지 않으 므로 집착하지 않고, 집착하지 않으므로 열반(涅槃)을 자각한다. 그래서 나의 생은 이미 다하였고, 해야 할 바를 이미 하였으며, 후 생(後生)을 받지 않음을 스스로 알게 된다. - “잡아함경” •

무명(無明)을 조건으로 의도적 행위[行(행)]들이 일어나고, 의도적 행위들을 조건으로 앎[識(식)]이 일어나고, 앎을 조건으로 정 신·물질[名色(명색)]이 일어나고, 정신·물질을 조건으로 여섯 감각 기관[六入(육입)]이 일어나고, 여섯 감각 기관을 조건으로 감 각 접촉[觸(촉)]이 일어나고, 감각 접촉을 조건으로 느낌[受(수)]이 일어나고, 느낌을 조건으로 갈애[愛(애)]가 일어나고, 갈애를 조 건으로 집착[取(취)]이 일어나고, 집착을 조건으로 존재[有(유)]가 일어나고, 존재를 조건으로 태어남[生(생)]이 일어나고, 태어남을 조건으로 늙음과 죽음[老死(노사)], 근심과 걱정,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 절망이 일어난다. 이와 같이 전체 괴로움의 덩어리 [五蘊(오온)]가 일어난다. - “상응부경” -

불교의 오온설은 무아(無我)를 풀어 밝힌 것으로 범부에 의해 집착된 자아는 실체가 아니라 색수상행식 즉, 오온의 일시적 화합 에 의한 현상일 뿐임을 밝힌 것이다. 오온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세상을 보면 오온은 모두 무상(無常)하게 보인다. 나의 육체와 마음은 잠시도 정지하지 않고 변한다. 오온의 어느 것도 나의 자유에 의해 지배되는 것은 없다. 그러므로 오온의 어느 것도 나라 고 할 수 있는 것은 없다. 오온이 나인 것도 아니고 내가 오온을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다. 내 속에 오온이 있는 것도 아니고 오 온 속에 내가 있는 것도 아니다. 즉 오온설은 어떤 것도 나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없다는 무아(無我)를 밝히기 위해 제시된 것이 며, 실재하지 않는 나에 집착하지 말라는 것을 깨우치기 위한 것이다.

오온(五蘊)과 무아(無我)의 관계는 무엇일까?심화 학습 ·테마 1

• 불교의 모든 법문들이 다 이치가 있으며, 다 이치가 있으므로 모두 허락되지 않음이 없고, 허락되지 않음이 없기 때문에 통하지 않는 것이 없다. - 원효, “이장의(二障義)” • 뭇 경전의 부분을 통합하여 온갖 흐름의 한 맛으로 돌아가게 하고, 부처 뜻을 잘 분별하여 다양한 학파의 다른 주장들을 어울리게 한다. - 원효, “열반종요” • 각 학파의 교리는 저 눈 먼 사람이 각기 코끼리에 대한 설명을 하는 것과 같아서, 비록 코끼리의 모든 모습을 얻지 못하였지만, 그 렇다고 코끼리를 설명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불성을 말하는 것도 이와 같다. - 원효, “열반종요” • 생멸하지 않는 마음 전체가 움직이기 때문에 마음이 생멸상(生滅相)을 잃어버리지 않고, 생멸상을 잃어버리지 않기 때문에 더불 어 화합한다고 하는 것이다. - 원효, “대승기신론소”

우리나라의 불교는 원효에 이르러 중국 불교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사상 체계를 수립한다고 할 수 있다. 중국 불교는 다양한 경 전을 구분하고, 각자가 중시하는 한 경전을 가지고 다른 경전을 해석하였다. 하지만 원효는 이런 방식을 거부하고 다양한 경전 의 내용과 석가모니의 사상을 통합적으로 해석하여 독창적인 불교 이론을 정립하였다. 그래서 원효는 ‘모든 종파와 사상을 고집 하지 말고, 보다 높은 차원에서 하나로 종합해야 한다.’는 원융회통(圓融會通) 사상을 정립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모든 논쟁을 조 화시키고자 했던 화쟁(和爭) 사상이다.

원효의 원융회통(圓融會通)과 화쟁(和諍)의 의미는 무엇일까?심화 학습 ·테마 2

04. 불교 윤리 사상 31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10쪽 01 ㉠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 의 길로 들어선 자는 마땅히 다음과 같은 마음을 가져야 한다. 존재하는 일체 모든 중생의 종류, 즉 알에서 태어나는 것, 모태에서 태어나는 것, 습기(習氣)에서 태어나는 것, 형상이 있는 것, 형상이 없는 것, 생각이 있는 것, 생각이 없는 것, 생각이 있는 것도 아니고 생각이 없는 것도 아닌 것들을 아무것도 남지 않는 열반[無餘涅槃]의 세계로 인도하여 완전한 멸도(滅度)에 들게 하리라.

ㄱ. 출가수행을 통해야만 도달할 수 있는 인간상이다. ㄴ. 어떤 것도 불변하는 실체는 없음을 아는 존재이다. ㄷ. 타인의 고통 구제와 자신의 해탈을 함께 추구한다. ㄹ. 모든 존재가 고통에서 벗어나고 영원히 살기를 기원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031

02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올바른 반야(般若)를 일으켜 관조할 경우 찰나 간에 망념은 모조리 없어지며, 자성(自性)을 인식하여 한 번 깨달으면 곧장 부처의 경지에 이른다. • 깨닫지 못하면 부처와 중생이 있고, 깨달으면 중생이 곧 부처이다. 어리석으면 부처와 중생이 있고, 지혜가 있으면 중생이 곧 부처이다. 마음에 번뇌가 있으면 부처와 중생이 있고, 마음이 평등하면 중생이 곧 부처 이다.

① 점진적 수행을 거쳐야만 깨달을 수 있다. ② 경전과 교리를 알지 못해도 부처가 될 수 있다. ③ 깨달음 이후에도 수행을 반복해야 완전한 부처가 된다. ④ 부처가 되기 위해서는 불상(佛像)을 극진하게 공경해야 한다. ⑤ 불성(佛性)을 깨달았다고 해서 중생이 부처가 되는 것은 아니다.

7052-0032

32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4 갑의 입장에서 을에게 제기할 수 있는 반론으로 옳은 것은?

① 모든 정신은 신체의 작용으로 생기는 것이다. ② 신체와 마찬가지로 정신도 물리적 현상일 뿐이다. ③ 정신이든 물질이든 모두 고정불변의 실체가 아니다. ④ 신체는 유일한 실체인 정신으로부터 파생되는 것이다. ⑤ 신체로부터 해방되어야 온전한 정신을 발휘할 수 있다.

7052-0034

[03~04] 갑은 고대 동양 사상가, 을은 근대 서양 사상가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갑: 세간(世間)이 생하는 것을 바로 알게 되면 세간이 없다고 말할 수 없게 되고, 세간이 멸함을 바로 알게 되 면 세간이 있다고 말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이 바로 두 극단을 떠나 중도(中道)에서 설(說)하는 것이다. 즉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기므로 저것이 생긴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무명(無明)을 연(緣) 하여 행(行)이 있고 결국 고(苦)가 쌓이며, 무명이 멸(滅)하므로 행이 멸하고 결국 고가 멸한다. 을: 신체는 본질적으로 언제나 분할될 수 있지만 정신은 어떤 경우에도 분할될 수 없다는 점에서 신체와 정신 사이에는 큰 차이가 존재한다. 실제로 정신, 즉 사유하는 실체로서의 나 자신을 고찰할 때 나는 내 안에서 어떤 부분도 구분할 수 없으며, 나 자신을 전체적이고 통일적인 대상으로 인식한다. 정신과 몸이 하나로 합쳐져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나의 발이 절단될 때에도 나의 정신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나는 인식한다.

03 갑의 입장으로 옳은 것은?

① 원인과 조건에 따라 모든 것이 생성되고 소멸된다. ② 삼라만상의 생멸과 변화를 주관하는 유일신이 있다. ③ 만물은 모두 다른 것과 섞이지 않는 독립적 존재이다. ④ 개인의 운명은 우주의 이법에 의해 이미 결정되어 있다. ⑤ 모든 사건은 인과 법칙의 산물이 아니라 우연의 산물이다.

7052-0033

04. 불교 윤리 사상 33

정답과 해설 10쪽

05 위의 주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괴로움의 발생 원인과 소멸 방법을 밝힌 것이다. ② 이론적 측면과 수행의 측면을 함께 지니고 있다. ③ 연기(緣起)의 진리를 실천적으로 체계화한 것이다. ④ 무명(無明)과 애욕(愛慾)이 고통의 원인이라고 본다. ⑤ 괴로움이 멸할 때 비로소 연기의 법칙에 편입된다고 본다.

7052-0035

06 위의 밑줄 친 ㉠ ~ ㉤과 A, B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A 태어남, 늙음, 병듦, 죽음, 사랑하는 것과의 이별, 미워하는 것과의 만남, 구하고자 하나 얻지 못하는 것 등

B 바른 말, 바른 행동, 바른 생활, 바른 노력, 바른 관찰, 바른 명상, 바른 견해, 바른 생각의 수행

㉠ ㉡ ㉢ ㉣ ㉤

① A B

② A B

③ A B

④ B A

⑤ B A

7052-0036

[05~06]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고집멸도(苦集滅道)의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가 있다. 첫째는 ㉠ 고통이요, 둘째는 ㉡ 고통의 원인이며, 셋째 는 ㉢ 고통이 없어진 것이고, 넷째는 ㉣ 고통이 없어지게 하는 길에 관한 진리이다. 이 진리를 성취하면 ㉤ 의 왕(醫王)이라 불리게 된다.

34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7 (가)를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에 들어갈 진술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무명(無明)을 조건으로 의도적 행위[行]들이 일어나고, 의도적 행위들을 조건으로 앎[識]이 일어난다. 앎은 정 신·물질[名色], 정신·물질은 여섯 감각 기관[六入], 여섯 감각 기관은 감각 접촉[觸], 감각 접촉은 느낌[受], 느낌은 갈애[愛], 갈애는 집착[取], 집착은 존재[有], 존재는 태어남[生]을 일으킨다. 태어남을 조건으로 늙음과 죽음[老死], 근심과 걱정,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 절망이 일어난다. 이와 같이 전체 괴로움의 덩어리[五蘊] 가 일어난다.

(나) ㉠ 그러면 번뇌로부터 해탈할 수 있을 것이다.

① 쾌락을 멀리하고 고행을 실천하라. ② 만물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보아라. ③ 마음을 비우고 자연과 하나가 되어라. ④ 헛된 나를 버리고 불변의 나를 찾아라. ⑤ 물질적 욕망을 버리고 정신적 쾌락을 추구하라.

7052-0037

08 다음을 주장한 한국 사상가의 관점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불도(佛道)는 넓고 탕탕하여 걸림이 없고 범주가 없다. 이 때문에 일체의 교의가 모두 다 부처의 뜻이요, 백가 (百家)의 설이 옳지 않음이 없으며, 팔만(八萬)의 법문이 모두 이치에 들어간다. 그런데 자기가 조금 들은 바 좁은 견해만을 내세워, 그 견해에 동조하면 좋다고 하고 그 견해에 반대하면 잘못이라고 하는 사람이 있다. 마치 갈대 구멍으로 하늘을 보는 사람이, 갈대 구멍으로 하늘을 보지 않는 사람은 모두 하늘을 보지 못하는 자라고 하는 것과도 같아, 이런 것을 일컬어 식견이 적은데도 많다고 믿어서 식견이 많은 사람을 도리어 헐뜯 는 어리석음이라고 한다.

ㄱ. 모든 경론은 하나의 진리를 달리 표현했을 뿐이다. ㄴ. 서로 다르게 보이는 주장도 근본적으로는 차이가 없다. ㄷ. 종파의 특수성과 상대성을 인정하면 전체적인 조화를 이룰 수 없다. ㄹ. 있음[有]에 집착하지 말고 없음[無]에 의지해야만 진리를 깨우칠 수 있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038

04. 불교 윤리 사상 35

정답과 해설 10쪽

09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의 ㉠, ㉡에 대한 입장으로 옳은 것은?

㉠ 은/는 사대(四大)*를 몸이라 하고 망상(妄想)을 마음이라 하여 제 성품이 법신(法身)임을 알지 못 하다가 바른길에 들어가 한 생각에 빛을 돌이켜 제 본성을 보아 스스로가 본래부터 모든 부처님과 털끝만큼도 다르지 않음을 아는 것이다. ㉡ 은/는 본래의 성품이 부처와 다르지 않음을 알았으나 오랫동안의 습기(習氣)는 갑자기 버리기 어 려우므로 차츰 익혀 공(功)을 쌓아 성인(聖人)의 태(胎)를 길러 오랫동안에 걸쳐 성인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사대(四大): 만물을 낳는 흙, 물, 불, 바람의 네 가지 원소

① ㉠은 타고난 불성을 직관하여 참다운 나를 보는 것이다. ② ㉠을 위해 선정(禪定)과 지혜(智慧)를 함께 닦아야 한다. ③ ㉡은 경전에 의존하지 않고 마음을 곧바로 깨닫는 것이다. ④ ㉠과 ㉡을 동시에 수행해야만 범부가 성인이 될 수 있다. ⑤ ㉡은 ㉠에 이르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

7052-0039

10 한국 사상가 갑, 을, 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바람 때문에 바다에 파도가 일어나지만 파도와 바다는 둘이 아니다. 우리의 일심 (一心)에도 진여(眞如)와 무 명(無明)이 동시에 있을 수 있으나 그 역시 둘이 아니라 하나이다.

부처의 말씀과 조사(祖師)들이 깨달은 마음이 서로 다른 것이 아닌데 어찌 마음을 찾지 않 고서 수행하는 것에 안주하면서 논쟁을 일으 켜 불성을 죽이는가. 내가 곧 부처라는 사실 을 깨닫고[頓悟], 점진적으로 닦아[漸修] 깨 달은 대로 행해야 온전한 부처가 될 수 있다.

교(敎)를 배우는 이는 문자와 경계에 얽매여 자성(自性)을 밝히는 공부에 소홀하니 마치 토끼의 뿔이 긴가 짧은가를 다투는 것일 뿐이 다. 선(禪)을 익히는 이는 일체를 잊고 마음 밝히기에만 전념하니 마치 헛것으로 보이는 꽃이 짙은가 옅은가를 헤아리는 것과 같다.

갑 을 병

① 갑은 교종과 선종의 대립과 갈등을 화해시키고자 노력하였다. ② 을은 경전을 부정해야 근본 성품인 불성을 형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③ 병은 염불만 외면 누구나 불도(佛道)를 이룰 수 있다고 사람들에게 가르쳤다. ④ 갑은 병과 달리 출가수행을 통해서만 깨달을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⑤ 갑, 을, 병은 여러 종파를 조화하려는 원융회통적 경향을 갖고 있다.

7052-0040

36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THEME 도가·도교 윤리 사상0 5

편재성(遍在性)을 지님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성격을 지님 ③ 도의 경지와 세속적인 관점의 구분

도의 경지 세속적인 관점

• 보편적이고 절대적임 • 가치의 측면에서 만물이 똑같이 평등하고 소중함: 제물(齊物)

• 상대적·분별적임 • 가치의 측면에서 만물에 분별과 차별이 있음

④ 이상적인 삶과 이상적 인간상 •이상적 경지: 주위 환경에 의해 본심을 어지럽히지 않고 도(道) 와 일치하는 삶을 추구함

소요(逍遙) 어떠한 외물에도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살아감

만물제동(萬物齊同) 만물이 가치의 측면에서 똑같이 평등하고 소중함

물아일체(物我一體) 자연과 나의 구분이 없어져 하나가 되는 경지

•수양 방법

좌망(坐忘) 조용히 앉아서 우리를 구속하는 일체의 것들을 잊어버림

심재(心齋) 욕심으로 물든 성향을 씻어 내어 마음을 비우고 깨끗이 함

•이상적 인간상: 수양을 통해 절대적 자유의 경지에 오른 인간 → 지인(至人), 진인(眞人), 천인(天人), 신인(神人)

2 도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⑴ 도가와 도교

도가 도교

• 노자와 장자의 가르침을 따르는 철학 사상 • 소박하고 순수한 자연의 덕을 회 복할 것을 강조함

• 도가 사상에 민간 신앙적 요소를 받아들여 형성된 종교 • 불로장생하는 것과 신선이 되는 것을 중시함

• 공통점: 자연의 원리인 도(道)를 따르는 삶 강조

⑵ 도교 사상의 전개 ① 도교 사상의 형성에 영향을 준 요소 •무속 신앙: 도교의 의식(儀式)에 영향을 줌

1 도가 사상의 연원과 전개 ⑴ 도가 사상의 연원: 은둔하는 현자들의 사상 → 생명 보존을 중시 하고 타인의 삶에 대한 간섭의 최소화를 강조하며 기존의 인위적 사회 질서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 제시

⑵ 노자의 윤리 사상 ① 사회 혼란의 원인과 극복 방안

사회 혼란의 원인

• 인의(仁義)나 예악(禮樂)과 같은 인위적인 규범과 제도 • 인간의 그릇된 인식과 가치관

극복 방안

• 도(道)에 따라 살아감 •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실현

② 도(道)의 의미와 특징

의미 우주 만물의 근원이자 만물의 운행 원리

특징

•형체가 없고 인간의 감각 경험을 넘어섬 •인간의 언어로 표현할 수 없고 이름 지을 수도 없음

③ 수양 방법: 마음을 비우고 고요히 하는 허정(虛靜), 억지로 함이 없는 무위(無爲)를 실천함 ④ 이상적인 삶과 이상 사회 •이상적 삶의 원리

무위자연 (無爲自然)

사람의 힘이 더해지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상태에 따름

상선약수 (上善若水)

낮은 곳에 머물면서 [謙虛(겸허)] 만물을 이롭게 하고, 남들 과 다투지 않음 [不爭(부쟁)]

•이상적인 정치: 인위적인 다스림이 없는 무위의 다스림[無爲之 治(무위지치)]으로 백성들 스스로 자신의 일을 해 나갈 수 있도 록 함 •이상 사회의 모습: 영토가 작고 인구가 적은 나라인 소국과민(小 國寡民)

⑶ 장자의 윤리 사상 ① 특징: 노자보다 개인의 내적 깨달음과 정신적 자유를 더 강조함 ② 도(道) •문자나 말로 전할 수 없는 모든 존재의 근원이며, 어디에나 있는

강과 바다가 모든 골짜기의 왕이 될 수 있는 것은 낮은 곳에 잘 처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백성 위에 서려면 반드시 말을 겸허(謙虛)하게 낮추고, 백성 앞에 서려면 반드시 자신을 백성보다 뒤에 있게 해야 한다. 그러므로 성인이 위에 있어도 백성은 부담을 느끼지 않고, 앞에 있어도 백성은 방해라고 생 각하지 않으며, 천하의 백성들이 즐거이 그를 받들고 싫어하지 않는다. 그는 다투지 않기 때문에 천하의 아무도 그와 다투려 하지 않는다. - “노자” -

노자의 무위 정치는 통치자의 겸허한 태도를 전제로 한다. 통치자가 겸손하게 사람을 대할 때에만 비로소 사람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다. 어디서 든 겸허하게 사람을 대해야만 다른 사람과 경쟁을 벌이거나 다투지 않게 된다. 또 그럴 때 사람들도 그와 서로 다투지 않게 된다. 이것이 성인의 덕이며, 아무것도 하는 바가 없으면서 안 되는 것이 없는 무위 정치이다.

노자의 겸허와 무위 정치자료와 친해지기

05. 도가·도교 윤리 사상 37

www.ebsi.co.kr

4 한국의 도가·도교 사상 ⑴ 도교의 국가적 수용과 과의(科儀) 도교 ① 도교의 원류를 찾을 수 있는 한국 고유 사상: 산신 사상, 최치원 의 ‘난랑비서(鸞郞碑序)’에 기록된 풍류도(風流道) 등 ② 과의 도교의 발달: 각종 의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도교. 국가 차원에서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빌기 위해 하늘에 제사를 올리는 재초(齋醮)가 중심이 됨

⑵ 한국의 도가·도교와 의학 ① 수련 도교의 수용: 신선 사상의 영향에 따라 수련 도교의 전통이 자리 잡았음 → 마음의 수련과 기의 단련을 함께 수행하고자 함 ② 의학의 발전: 도교의 양생법은 의학의 사상적 기반으로 작용함 → 조선 시대에 간행된 “의방유취(醫方類聚)”, 허준이 저술한 “동 의보감(東醫寶鑑)” 등은 수련 도교의 영향을 받음

⑶ 도가·도교와 다른 사상과의 융합 ① 민간 신앙에서의 도교 수용: 옥황상제, 성황, 칠성, 조왕 등 여러 신을 숭배함 ② 유교·불교 사상 흡수: 유교의 인의(仁義)나 충효(忠孝) 사상, 불 교의 인과응보 사상을 수용함 ③ 풍수지리(風水地理) 사상 수용: 땅이 지닌 생기를 찾아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을 정함으로써 자연과 조화를 이루려 함 ④ 나쁜 신이나 기운을 물리치기 위한 도교적 풍속인 부적(符籍)이 유행함 ⑤ 팔관회: 민간 신앙, 불교 및 도교가 결합된 국가적 행사

5 도가·도교 사상의 현대적 의의 ⑴ 진정한 행복의 의미 제시: 부, 명예, 아름다움 등 세속적 가치는 상대적이며, 그것에 얽매이면 불행해질 수 있음 → 세속적 가치 에 얽매이지 말고 몸과 마음을 수련하여 자유로운 삶을 살 것을 강조함

⑵ 환경 오염과 생태계 파괴 문제 해결에 시사점 제공: 도가·도교의 관점 →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고 그 질서에 순응해서 살아가는 존재로 봄

•신선 사상: 신선이 되고자 하는 이론과 방법을 제공함 •도가 사상: 도교 사상의 형성에 사상적인 토대를 제공함 ② 도교 사상의 전개

황로학파

황제(黃帝)와 노자(老子)를 숭상하고, 무위(無爲)로써 다스리 는 제왕의 통치술을 주장한 사상

교단 종교

• 태평도(太平道): 천하태평의 이상 사회를 현실에 실현시키 려 한 종교적·정치적 운동 • 오두미교(五斗米敎): 도덕경을 암송하고 삼관수서(三官手 書)를 중시한 교단 종교

현학

노장 사상과 “주역(周易)”을 새롭게 해석하고 청담(淸談)을 중시한 사상 → 도가 사상을 철학적으로 계승함

3 도가·도교 사상의 특징 ⑴ 상대주의적 세계관과 평등적 세계관 ① 노자와 장자의 사상에 드러나 있는 상대주의적 세계관 •귀천, 선악, 미추, 시비, 우열 등은 도(道)의 입장에서 보면 절대 적이지 않고 상대적인 것에 불과함 •유교에서 강조하는 도덕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일 뿐임 ② 노자와 장자 사상에 드러나 있는 평등주의 •존재하는 모든 것은 도 앞에서 평등한 가치를 지님 •천지가 만물을 양육할 때 모든 사물을 평등하게 대함[天生平等 (천생평등)] ③ 도교의 평등주의: 신분의 귀천을 가리지 않았고, 누구나 신선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함

⑵ 개인주의, 신비주의 및 예술 정신

개인주의

위·진 시대의 죽림칠현은 자아의 해방과 개성적인 표현의 자유를 옹호하면서 현실을 멀리하고 은둔적 삶을 살아감

신비주의

불로장생(不老長生)하는 신선(神仙)을 추구하며, 이를 위해 외단(外丹)과 내단(內丹)을 수련하는 등 양생(養生)을 중시함

예술 정신

• 위·진 시대 이후 문인과 화가의 자유로운 예술 정신에 많 은 영향을 주면서 동양의 예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침 → 묵 색(墨色), 여백의 미, 소박미를 중시하는 경향에 영향을 미침 • 정신적 자유를 누리고자 하는 장자의 인생 태도와 사상이 문예 창작과 미학 사상에 수용됨

• 형체를 잊고, 마음을 잊고, 감성적 지각과 이성적 분별을 버린다면 도(道)와 한 몸을 이루어 두루 통하게 된다. 이것을 좌망(坐忘)이라고 한다. • 너의 뜻을 하나로 통일하여 귀로만 듣지 말고 마음으로 들어라. 마음으로만 듣지 말고 기(氣)로 들어라. 귀는 듣는 것에서 그치고, 마음은 바깥 사물과 부합하는 데서 그치지만, 기는 텅 비움으로써 바깥 사물을 있는 그대로 맞아들인다. 도(道)는 오로지 텅 비우는 곳에 모이는 법이다. 이처럼 텅 비우는 경지에 이르는 것을 심재(心齋)라고 한다. - “장자”

정신적으로 자유로운 소요(逍遙)의 경지나 세상 만물을 차별하지 않고 한결같이 보는 제물(齊物)의 경지는 모두 장자가 추구한 도(道)를 따르는 이상적인 상태이다. 장자는 이런 경지에 이르기 위한 수양 방법으로 좌망과 심재를 제시한다. 좌망은 조용히 앉아서 우리를 구속하는 일체의 것 을 잊는 것이고, 심재는 잡념을 없애고 마음을 통일하여 깨끗이 하는 것이다.

장자의 수양법자료와 친해지기

38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THEME 05

• 모장과 여희는 사람들이 미인이라고 하나 물고기가 그들을 보면 깊이 숨어 버리고, 새가 그들을 보면 높이 날아가 버리고, 순록과 사슴이 그들을 보면 뒤도 돌아보지 않고 도망친다. 이 넷 가운데 어느 것이 천하의 바른 모습을 아는 것일까? • 옛날에 어떤 바닷새가 노나라 교외에 날아왔다. 노나라 임금이 그 새를 맞아 묘당에서 연회를 열어 사람들이 좋다고 여기는 음악 을 연주하고 사람들이 맛있다고 하는 성찬을 베풀어 환대하였다. 그러나 그 바닷새는 도리어 눈이 어지럽고 마음이 슬퍼서 고기 한 점 먹지 못하고 물 한 모금 마시지 못한 채 사흘 만에 죽고 말았다. 이것은 자기를 기르는 방식으로 새를 기른 것이지, 새를 기 르는 방법으로 새를 기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 도(道)를 통해서 사물을 보면 사물 사이에 귀한 것과 천한 것이 없으나, 자신의 입장에서 보면 자기를 귀하다고 보고 상대방을 천 하다고 한다. • 사물은 저것 아닌 것이 없고, 이것 아닌 것이 없다. 그러나 저것으로부터는 보지 못하고, 스스로 아는 것만 안다. 그러므로 저것은 이것 때문에 생겨나고, 이것은 저것 때문에 생겨난다. 곧 이것과 저것은 상대적으로 생겨나는 것이다. 생(生)에 대하여 사(死)가 있 고 사에 대하여 생이 있으며, 가(可)에 대하여 불가(不可)가 있고 불가에 대하여 가가 있으며, 시(是)에 기인하여 비(非)가 있고 비 에 기인하여 시가 있다. 그러므로 성인은 상대적 입장에 서지 않고 천(天)의 입장에서 바라본다. - “장자”

사람과 물고기와 새와 사슴은 각기 보는 시각이 같지 않다. 따라서 인간의 관점에서 그들을 보고 가치를 평가해서는 안 된다. 마 찬가지로 새를 기르는 데 인간이 좋아하는 방식으로 기르면 오히려 새를 죽이게 된다. 자기를 절대적인 판단 기준으로 삼으면 폐단이 생기는 것이다. 자기의 입장, 즉 이쪽에서 보면 저쪽이 남이지만, 저쪽에서 보면 이쪽이 남이다. 그러나 도(道), 천(天)의 관점에서 보면 이쪽과 저쪽은 상대적일 뿐이다. 만물을 단편적으로 보지 않고 전체적으로 보는 것이 바로 장자의 도의 관점인 것이다.

도(道)의 관점에서 만물을 본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일까?심화 학습 ·테마 1

“노자” “노자상이주”

도(道)는 형상이 없는 형상이며, 물(物) 없는 모양이다.

도는 지극히 존귀하고 미미하며 형상이 없다. 단지, 도계(道戒)*를 통 해 알 수 있는 것이지 보아서는 알 수 없는 것이다.

도는 자연(自然)을 본받는다.

자연이란 도와 이름이 같고 형체를 달리하는 것으로, 서로서로 본받게 하여 모두가 도를 본받게 하는 것이다.

성인은 그 몸을 뒤로하기에 그 몸이 앞선다.

신선의 수명을 얻으면 속인들에 앞서 복을 얻게 되니, 이것이 바로 몸 이 앞서는 것이다.

대도(大道)가 없어지자 인의(仁義)가 생겼고, 육친(六親)이 화합하지 않 아 효자(孝慈)가 있게 되었으며, 국가가 혼란하니 충신(忠臣)이 있게 되 었다.

상고 시대 도가 쓰일 때에는 사람들이 모두 인의를 행했다. 도가 쓰일 때는 집집마다 효도하였다. 도가 쓰일 때에는 신하가 충성스럽고 자식 이 효성스러워 나라가 쉽게 다스려졌다.

*도계: 태상노군(노자)이 알려준 계율

“노자”는 노자의 저작으로 알려진 도가의 대표적 경전이다. “노자상이주(老子想爾注)”는 도교의 일파인 오두미교의 경전이다. 오 두미교에서는 “노자”를 학습하는 전통이 있었으며 “노자”에 대한 해석과 설명이 지속되어 합쳐진 것이 “노자상이주”이다. “노자 상이주”는 철학서인 “노자”를 종교적 입장에서 해석한 책이다. 이것은 도교가 도가의 저작을 개조하고 이용하는 전통을 연 책이 며, 노자의 사상에 장생과 민간 신선술이 결합된 대표 저작이다.

도교(道敎)는 도가(道家)를 어떻게 수용했을까?심화 학습 ·테마 2

05. 도가·도교 윤리 사상 39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11쪽 01 갑, 을의 입장에서 볼 때 ㉠, ㉡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갑: 새, 짐승과는 함께 모여 살 수 없으니 내가 세상 사람들과 더불어 살지 않으면 누구와 더불어 살겠는가. 인 (仁)은 나에게서 말미암는 것이니, 덕(德)으로 인도하고 ㉠ 예(禮)로 다스려야 사람들이 염치를 알게 된다. 을: 도구가 있더라도 쓰지 않으며 배와 수레가 있어도 타지 않으며 갑옷과 무기가 있어도 펼치지 않고, 백성들 이 다시 새끼를 묶어 사용토록 한다. 도(道)가 사라지자 덕(德)이 생기고 덕이 사라지자 인이 생겼으며, 인 이 사라지자 ㉡ 예(禮)가 생긴 것이다.

ㄱ. 갑: ㉠은 인(仁)의 정신을 지닌 규범이다. ㄴ. 갑: ㉠은 본성 변화를 위해 성인(聖人)이 제정한 것이다. ㄷ. 을: ㉡보다 무욕(無欲)이 근원적인 덕이다. ㄹ. 을: ㉡은 인간의 노력과 의도가 개입된 인위적 규범이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7052-0041

02 (가)의 관점을 지닌 스승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에 들어갈 답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말하여진 도(道)는 언제나 변함없는 참다운 도가 아니며, 이름 지어 부를 수 있는 이름은 언제나 변함없는 참 다운 이름이 아니다. 이름 없음 [無名]이 천지(天地)의 시작이고, 이름 있음 [有名]이 만물의 어미이다.

(나)

스승님, 도(道)를 체득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① 널리 묻고 깊게 연구하여 사물에 대한 지식을 쌓아 나가야 한다네. ② 양심을 보존하여 사덕(四德)을 함양하고 인욕을 제거해야 한다네. ③ 마음을 비우고 고요히 하여 억지로 하는 것이 없도록 해야 한다네. ④ 모든 존재와 현상은 원인과 조건에 의해 생겨남을 깨달아야 한다네. ⑤ 욕심을 적게 가져 선천적인 사단(四端)을 온전하게 확충해야 한다네.

7052-0042

40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3 갑의 입장으로 옳은 것은?

① 군주가 상과 벌을 직접 관장해야 사회 질서가 잡힌다. ② 통치자의 조작이 없어야 백성들이 본성대로 살아갈 수 있다. ③ 국가가 직접 생산을 통제하여 백성들에게 이익을 주어야 한다. ④ 덕의 유무에 따라 사회적 지위를 정하는 제도가 확립되어야 한다. ⑤ 지도자부터 도덕규범을 지켜야 백성들이 지도자의 명령을 따르게 된다.

7052-0043

04 갑, 을 사상가의 입장을 그림으로 표현할 때, A ~ C에 해당하는 옳은 진술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A: 갑만의 입장 B: 갑, 을의 공통 입장 C: 을만의 입장 <범 례>

갑 을 갑 을

A A B B C C

ㄱ. A: 모든 존재의 근원인 도는 문자나 말로 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ㄴ. B: 통치자가 덕을 갖추면 백성들이 다스려진다. ㄷ. B: 인위적 문명을 버리고 자연 상태로 돌아가야 한다. ㄹ. C: 좌망(坐忘)을 통해 만물제동(萬物齊同)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044

[03~04] 갑, 을은 고대 동양 사상가들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갑: 도(道)는 낳아 주고 덕(德)은 길러 주며 자라게 해 주고 크게 해 주고 성숙하게 해 주고 완성시켜 주고 보 양해 주고 보호해 준다. 낳아 주되 소유하지 않으며, 함이 있되 공을 내세우지 않으며, 자라게 해 주되 지 배하지 않는다. 그래서 사람들은 현묘(玄妙)하다고 말한다. 을: 도에 뜻을 두고 덕에 근거하고, 인(仁)에 의지해야 한다. 사욕을 이기고 예(禮)로 돌아가는 것이 곧 인이 다. 하루만이라도 사욕을 이기고 예로 돌아가면 천하가 모두 인으로 귀결될 것이니, 인을 실현하는 것이 나에게 있는 것이지 어찌 남에게 달려 있겠는가.

05. 도가·도교 윤리 사상 41

정답과 해설 11쪽

05 그림은 서술형 평가 문제와 학생 답안이다. 학생 답안의 ㉠ ~ ㉤ 중 옳지 않은 것은?

서술형 평가

◎ 문제: 동양 사상가 갑, 을의 입장을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갑: 성인(聖人)은 백성들의 마음을 텅 비우고 배를 채워 주며, 그들의 의지를 약하게 하고 뼈를 강 하게 해 준다. 백성들로 하여금 분별적 지식과 욕심을 갖지 않게 하며, 지자(知者)들이 감히 나 서지 못하게 한다. 을: 참된 사람[眞人]은 적은 일에도 거스르지 않고 성공을 뽐내지 않으며 일을 꾀하지 않는다. 삶을 기뻐하지도 않고 죽음을 싫어하지도 않는다. 편안히 행동하는 것이 모가 난 듯하지만 고집하는 일이 없다.

◎ 학생 답안

갑은 ㉠ 무위(無爲)의 다스림을 주장하였고, ㉡ 도(道)의 작용을 되돌아감[反]으로 설명하였다. 을은 ㉢ 개인의 수양과 내적 깨달음을 중시하였고, ㉣ 갑과 달리 인간의 편협한 관점에서 옳음과 그름을 분별 하는 것을 반대하였다. 한편 ㉤ 갑과 을은 모두 인위적인 예악(禮樂)을 비판적으로 보았다.

① ㉠ ② ㉡ ③ ㉢ ④ ㉣ ⑤ ㉤

7052-0045

06 다음과 같은 수양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경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 너의 뜻을 하나로 통일하여 귀로만 듣지 말고 마음으로 들어라. 마음으로만 듣지 말고 기(氣)로 들어라. 귀 는 듣는 것에서 그치고, 마음은 바깥 사물과 부합하는 데서 그치지만 기는 텅 비움으로써 바깥 사물을 있는 그대로 맞아들인다. •형체를 잊고, 마음을 잊고, 감성적 지각과 이성적 분별을 버린다면 도(道)와 한 몸을 이루어 두루 통하게 된다.

① 인간의 본질인 인(仁)의 실현 ② 외물의 속박에서 벗어난 절대 자유 ③ 예법(禮法)을 제정하는 능력의 획득 ④ 하고 싶은 대로 해도 도덕규범에 합치 ⑤ 생로병사와 같은 번뇌의 굴레에서 해탈

7052-0046

42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7 (가)의 갑, 을 사상가들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탐구하고자 할 때, A ~ C에 들어갈 질문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갑: 도(道)에 들어가 멈추지 않으면 선인(仙人)이 될 것이다. 선인으로 멈추지 않으면 참된 경지에 이를 것이 고, 그래도 멈추지 않으면 입신(入神)의 경지에 이르고, 입신에서도 멈추지 않으면 하늘[皇天]과 같이 될 것이다. 을: 도(道)의 입장에서 볼 때 무엇을 귀하게 여기고, 무엇을 천하게 여기겠는가? 도의 입장에서 볼 때 무엇을 적다 하고 무엇을 많다 하겠는가? 만물은 한결같이 평등한 것이니, 어느 것이 못하고 어느 것이 더 나은 것이 있겠는가?

(나)

윤사01-1

<범 례>

: 판단 내용 : 판단 방향 : 사상가의 입장 : 출발 조건

갑, 을 사상가들의 입장을 탐구한다.

아니요

갑의 입장 을의 입장

A

B

C

① A: 도덕적 본성을 회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해야 하는가? ② B: 늙지 않고 오래 사는 것이 삶의 궁극적 목적인가? ③ B: 종교적 구원을 위해 도의 흐름에 따라 살아야 하는가? ④ C: 분별 의식에서 벗어나 타고난 덕에 따라야 하는가? ⑤ C: 인간을 포함하여 만물은 도의 경지에서 볼 때 평등한가?

7052-0047

08 (가)를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퍼즐 속 세로 낱말 (B)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이름 붙일 수 없는 그 무엇[無名]이 천지의 근원이고, 이름 붙일 수 있는 것[有名]은 만물의 어머니이다. 욕심 없음[無欲]으로 그 오묘함을 보고, 욕심 있음[有欲]으로 그 드러남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둘 다 근원은 같으며 명칭만 다를 뿐이니 함께 묶어서 현(玄)이라고 한다.

(나)

(A) (B)

(C)

[가로 열쇠] (A): 만물의 근원이 되는 항상 변하지 않는 구성 요소. 고대 그리스에서는 흙, 공기, 물, 불을 만물의 ‘사’라 고 하였다. (C): 왕의 이름(명칭)이 거서간인 신라의 시조

[세로 열쇠] (B): …… 개념

① 꾸미지 않은 자연스러움 그 자체이다. ② 자신의 욕구를 다스리는 인위적 규범이다. ③ 문명을 거부하고 자연스럽게 살아가는 이상 사회이다. ④ 인간 세계를 떠나 자연 속에서 산다는 상상의 존재이다. ⑤ 무엇이 옳은 것인지 생각하지 않고도 알 수 있는 능력이다.

7052-0048

05. 도가·도교 윤리 사상 43

THEME 한국 고유 윤리 사상과 동양 및 한국 사상의 특징과 의의0 6

⑶ 근대의 신흥 종교 사상 ① 대표적 신흥 종교

구분 특징 주요 사상

동학

• 최제우가 제창한 민족 종 교로, 경천사상을 바탕으로 유·불·도 사상을 융합함 • 보국안민(輔國安民)을 주장 함 • 인간 존중 및 평등 정신을 담고 있음

• 인내천(人乃天): 사람이 곧 하늘임 • 오심즉여심(吾心卽汝心): 내 마음이 곧 네 마음임 • 사인여천(事人如天): 사람 대하기를 하늘 섬기듯 해야 함

증산교

• 강일순에 의하여 만들어진 민족 종교임 • 고유 사상을 바탕으로 무속 과 유·불·도 사상을 재해 석하여 현세의 지상 낙원 실현을 주장함

• 해원(解寃): 고통받는 사람 들의 맺힌 원한을 풀어 줌 • 상생(相生): 다른 사람과 더 불어 살아감 • 보은(報恩): 은혜를 갚음

원불교

• 박중빈이 창립한 민족 종교 로, 일상생활 속에서의 수 행 방법을 제시함 • 종교적 수행과 사회적 실천 을 통합하여 교리를 체계 화함

• 일원상(一圓相)의 진리: 우 주의 근본 원리인 일원상을 진리로 믿고 수행함 • 영육쌍전(靈肉雙全): 정신 과 육체를 균형 있게 발전 시킴

② 신흥 종교의 등장 배경 •대내적 배경: 신분 차별, 지배 계층의 수탈, 유교 사상의 지배력 상실, 내부적 모순의 심화 •대외적 배경: 서학(천주교)의 확산, 열강들의 통상 요구로 인한 위기 의식의 고조 ③ 신흥 종교의 공통점 •우리 겨레의 고유 사상을 바탕으로 유·불·도 사상을 주체적으 로 수용함 •민족 주체 의식과 인본주의 및 평등사상을 지향함 •사회 변혁을 주장하며 혼란을 극복하고 새로운 세계를 열고자 함(후천 개벽 사상)

1 한국 고유 사상의 연원과 전개 ⑴ 신화에 나타난 고유 사상 ① 한국의 건국 신화: 단군 신화, 주몽 신화, 혁거세 신화 등 ② 단군 신화에 나타난 사상적 특징

인본주의

• 환웅이 인간 세상에 살기를 원함[貪求人世(탐구인세)] • 곰과 호랑이가 인간이 되기를 원함[願化爲人(원화위인)] • 널리 인간 세상을 이롭게 하려는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정신

조화의 정신

환웅[天]과 웅녀[地]의 화합으로 단군[人]이 태어남: 천지 조화, 천인합일(天人合一), 신과 인간, 동물들이 함께 어울 려 살아감

자연 친화와 생명 존중

신화 속 동물들이 인간과 함께 공동체의 일원으로 간주됨

평화 애호 사상

평화로운 인간 세상에 대한 염원

⑵ 무속 신앙 및 화랑도 ① 무속 신앙

의미

무당[巫]을 통해 초자연적 존재와 교류함으로써 복을 얻고 나쁜 일을 막고자 하는 믿음 체계

특징

•무당이 굿을 통해 신과 인간의 중재 역할을 수행함 •산 자와 죽은 자의 한을 풀어 주는 정화 기능을 수행함 • 풍성한 수확과 공동체의 평안을 기원하면서 공동체의 결속을 다지는 역할을 함 • 현실에서 오는 불안과 공포를 이겨 내고, 삶에 대한 의지를 북 돋우는 역할을 함

② 화랑도(花郞徒)와 풍류도(風流道) •화랑도(花郞徒): 풍류도(風流道)를 바탕으로 수련을 하는 신라의 청소년 단체 •풍류도(風流道): 유·불·도가 전래되기 이전에 유·불·도의 정신을 포함하고 있던 우리의 고유 사상

미모의 남자를 모아 그들을 꾸며 주어 화랑(花郞)으로 받드니 그들을 따르는 무리가 구름처럼 모여들었다. 혹은 도의(道義)를 연마하고, 혹은 노래와 음 악으로 서로 즐기며, 산과 강을 찾아 노닐어 멀리까지 이르지 않는 곳이 없었다. 이로부터 그 사람됨의 옳고 그름을 가려내어 그 가운데 훌륭한 이를 조 정(朝廷)에 추천하였다. 그러므로 김대문은 “어진 재상과 충성스러운 신하가 이 화랑도로부터 나왔고, 훌륭한 장수와 용맹한 병사 또한 여기에서 나왔 다.”고 하였다. - “삼국사기”

화랑도는 신라의 민간 청소년 단체로서 풍월도, 국선도, 풍류도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으며, 신라 진흥왕 때에 국가적인 인재 양성 기구로 전환되 면서 그 존재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화랑도는 유·불·도의 가르침을 포함하는 우리의 독특한 사상인 풍류도(風流道)를 바탕으로 집단적인 수련 을 통해 신라 청소년들에게 강력한 공동체 의식을 심어 주었다. 도의로써 서로 연마하고 춤과 노래로써 즐기며, 전국의 이름 있는 산과 강을 순례 하면서 몸과 마음을 단련하고 수양하였다. 이런 화랑도의 정신에는 우리의 고유 사상이 지닌 평화 애호와 자연 친화 및 조화 정신이 깃들어 있다.

화랑도(花郞徒)의 특징자료와 친해지기

44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④ 사회관

유교 인간 중심의 도덕 사회인 대동 사회(大同社會)를 추구함

불교

타인에 대한 베풂[布施(보시)]을 중시하고, 윤회의 고통에 서 벗어날 것을 강조함

도가

대규모의 정치 조직이나 사회 체제를 부정하면서 소국과 민(小國寡民)의 사회를 추구함

⑵ 동양 윤리 사상의 의의 ① 유교 사상의 의의 •인간의 가치를 존중하며, 인격 수양과 도덕적 실천을 강조함으 로써 도덕 사회의 실현에 시사점을 제공함 •덕치(德治)와 예치(禮治)를 강조함으로써 도덕적 정치에 기여함 ② 불교 사상의 의의 •계·정·혜를 실천하여 고통이 없는 열반을 추구할 수 있게 함 •대승 불교가 등장하여 대중 구제에 대한 관심과 실천, 공(空) 사 상의 체계화를 통하여 대중과 함께하는 불교를 추구함 ③ 도가·도교 사상의 의의: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삶을 강조함으 로써 자연 질서에 순응하며 살아갈 수 있게 함

⑶ 한국 윤리 사상의 특징과 의의 ① 한국 윤리 사상의 특징 •고유 사상: 우리 고유성과 정체성 형성, 외래 사상의 주체적 수 용의 토대가 됨 •유교: 민본 사상에 근거한 위민 정치 도모 •불교: 통일 신라 이후 고려 때까지 윤리 사상 주도 → 원효의 화 쟁 사상, 의천의 교관겸수, 지눌의 돈오점수와 정혜쌍수 등 조화 를 강조함 •도교: 삼국 시대에 신선 사상이 전래되었으며 풍수지리 사상 및 신흥 종교의 형성에 영향을 줌 ② 한국 윤리 사상의 의의 •가족주의적 공동체 의식에 기반을 두어 도덕적 신장과 개인 및 집단 간 화해에 기여함 •인간과 자연의 조화, 물질 만능주의의 경계, 인류의 공영을 지향 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함

2 한국 고유 사상의 특징 ⑴ 평화 애호와 인본주의 ① 홍익인간: 평화로운 세상을 이 땅에 실현하고자 함 ② 근대의 신흥 종교: 인간을 중심에 두고 차별과 대립이 없는 평화 로운 세상을 추구함

⑵ 조화로운 세계관 ① 환웅과 웅녀의 만남과 단군의 탄생: 천(天)·지(地)·인(人)의 합일 을 상징함 ② 무속[巫]의 원리: 하늘과 인간의 소통과 조화를 추구함

⑶ 공동체 의식 ① 제천 행사, 무속 신앙에서의 집단 굿 등에 잘 드러나 있음 ② 오늘날의 동제(洞祭), 풍어제(豊漁祭) 등의 전통으로 남아 있음

3 동양과 한국 사상의 특징과 의의 ⑴ 동양 윤리 사상의 특징 ① 유기체적 세계관 •세계를 분리된 부분들의 집합체가 아니라 통합된 전체로 여김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여 인간과 자연의 하나 됨을 이상으로 삼음 ② 인간관

유교

• 하늘로부터 선한 도덕적 본성을 부여받은 존재 • 선한 본성의 확충을 위해 도덕적 수양과 실천 강조

불교

• 다섯 가지 집착의 무더기[五蘊(오온)]로 구성된 존재 • 청정한 불성(佛性)을 지닌 존재

도가

• 자연과 분리될 수 없는 존재 • 자연에 순응하여 자연의 흐름에 따라 살아야 함

③ 생사관

유교

사후 세계에 대한 관심보다 현실 세계에서의 도덕 실천을 강조함

불교

해탈하여 열반에 도달하기 전에는 ‘육도(六道, 자신이 지 은 업보에 따라 태어나는 여섯 가지의 세계)’로 끊임없이 윤회하게 됨

도가

삶과 죽음을 기(氣)가 모이고 흩어지는 자연 현상으로 인 식함 →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날 것을 강조

• 자기의 마음을 간직하고 본성을 기르는 것이 바로 하늘을 섬기는 것이다. • 군자가 보통 사람과 다른 것은 자신의 마음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군자는 인(仁)으로써 마음을 보존한다. • 몸에는 귀한 것과 천한 것이 있으며, 큰 것과 작은 것이 있다. 작은 것으로써 큰 것을 해치지 말고, 천한 것으로써 귀한 것을 해치지 말아야 한다. 작은 것을 기르면 소인(小人)이 되고, 큰 것을 기르면 대인(大人)이 된다. - “맹자”

맹자가 말하는 ‘마음’은 이른바 사단(四端)이다. 맹자에 의하면 사람은 누구나 측은(惻隱), 수오(羞惡), 사양(辭讓), 시비(是非)의 마음을 갖고 태 어나는데, 측은의 마음은 인(仁), 수오의 마음은 의(義), 사양의 마음은 예(禮), 시비의 마음은 지(智)의 단이다. 즉 인의예지는 밖에서부터 나에 게 오는 것이 아니라 내가 본래부터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도덕적 욕구뿐만 아니라 생리적 욕구도 있다. 도덕적 마음을 버리고 생리적 욕 구만을 기르는 것이 소인이라면, 대인은 생리적 욕구를 무시하지 않으면서도 도덕적 마음을 지키고 본성을 기르는 사람인 것이다. 소인과 대인은 정해진 것이 아니라, 스스로가 무엇을 기를 것인가에 달린 것이다.

맹자의 이상적 인간자료와 친해지기

06. 한국 고유 윤리 사상과 동양 및 한국 사상의 특징과 의의 45

THEME 06

옛날에 환인(桓因)의 여러 아들 가운데 환웅(桓雄)이 있었는데 자주 하늘 아래에 뜻을 두어 인간 세상 구하기를 원하였다. 아버지가 아들의 뜻을 알고 아래로 삼위태백을 내려 보니 “널리 인간 세상을 이롭게 할 만하였다[弘益人間(홍익인간)].” 이에 천부인 세 개를 주어 다스리라고 보냈다. 환웅이 무리 3천을 거느리고 태백산 꼭대기 신단수 아래에 내려와 신시(神市)라 이르니 이가 곧 환웅천왕 이다. 풍백, 우사, 운사 그리고 주곡, 주명, 주병, 주형, 주선악을 거느렸고 무릇 인간의 360여 가지 일을 주관하며 “세상을 이치로 다 스렸다[在世理化(재세이화)].” 그때 곰과 호랑이가 같은 굴에서 살았는데 항상 환웅에게 기도하여 “사람이 되기를 원하였다[願化爲 人(원화위인)].” 영험한 쑥 한 움큼과 마늘 20개를 주며 너희가 이것을 먹고 햇빛을 100일간 보지 않으면 사람의 형상을 얻을 것이 라고 했다. 곰과 호랑이가 그것을 먹으면서 금기하기를 삼칠일 되는 날에 곰은 여자의 몸을 얻었으나 호랑이는 금기하지 못하여 사 람의 몸을 얻지 못했다. 곰 여인[熊女(웅녀)]은 더불어 혼인할 자가 없는 까닭에 신단수 아래에서 아기 갖기를 빌고 빌었다. 이에 환 웅이 잠깐 인간의 몸으로 변하여 그녀와 혼인하여 아들을 낳으니 그가 단군왕검이다. - “삼국유사”

첫째는 인본주의의 이상이다. 단군 신화의 이야기 전개 순서는 하늘[환인, 환웅], 땅[곰, 호랑이], 인간[단군]으로 되어 있다. 그 런데 하늘은 인간 세상을 원하고, 땅은 인간의 몸이 되기를 원하였다는 것에서 그 초점은 단군으로 상징되는 인간에 관한 이야 기로 볼 수 있다. 위로는 하늘, 아래로는 땅이 인간을 접점으로 균형을 이루게 되는 것, 즉 우주는 ‘하늘 - 인간 - 땅’의 구조적 관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인간은 하늘과 땅을 떠나지 못하는 의존적 존재이지만, 또 한편으로는 하늘과 땅을 통일적으로 조화시킨 새로운 차원의 존재이다. 즉 하늘과 땅은 인간을 통해야만 그 의지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세계의 축은 인 간으로 자리 옮김을 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는 조화의 세계관이다. 단군 신화에는 갈등적 요소가 거의 없다. 이것은 우리 민족 이 꿈꾸는 세계가 갈등과 대립이 아니라 조화와 균형에 있다는 의식의 반영이다. 실제로 단군 신화에는 세계의 세 축, 곧 하늘· 땅·인간이 모두 등장하면서도 각각에 있어 갈등이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불균형도 보이지 않는다.

단군 신화에서 어떤 사상적 특징을 찾을 수 있을까?심화 학습 ·테마 1

(가) 나는 또한 동방에서 태어나 동방에서 도(道)를 받았다. 도는 비록 천도(天道)이지만 학은 동학(東學)이다. 하물며 땅은 동서로 나 뉘어 있으니, 서가 어찌 동이 되고 동이 어찌 서가 되겠는가? 공자는 노(魯)나라에서 태어나 추(鄒)에서 교화를 베풀었는바, 추 로의 풍(風)이 이 세상에 전해진 것이다. 나의 도는 여기에서 받고 여기에서 베푸는 것이니, 어찌 서학(西學)으로 이름 지을 수 있겠는가. - “용담유사” (나) 선천(先天)에는 상극(相剋)의 이치가 만물을 맡았으므로 모든 인사(人事)가 도의(道義)에 어긋나 그 원한이 맺히고 쌓여 모든 참 혹한 재앙을 일으키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에 천지의 운행을 뜯어고치며 신도(神道)를 바로잡아 만고의 한을 풀고[解寃(해원)] 상생(相生)의 도로써 세상을 고치리라. - “대순전경” (다) 사람은 만물의 주인이요, 만물은 사람이 사용할 바이며, 인도(人道)는 인의(仁義)가 주체요 권모술수는 그 끝이다. 허나 근래에 그 주체가 위(位)를 잃고 권모술수가 세상에 횡행하여 대도가 크게 어지러운지라. 안으로 정신문명을 촉진하여 도학(道學)을 발 전시키고, 밖으로 물질문명을 촉진하여 과학(科學)을 발전시켜야 영육(靈肉)이 쌍전(雙全)하고 내외(內外)가 겸전(兼全)하여 결 함 없는 평화 안락의 세계가 될 것이니라. - “대종경”

(가)는 동학으로서, “용담유사(龍潭遺詞)”는 최제우가 한글로 지은 포교 가사집이다. (나)는 증산교로서, “대순전경(大巡典經)”은 강일순의 행적과 가르침을 정리하여 편찬한 것이다. (다)는 원불교로서, “대종경(大宗經)”은 박중빈의 법문과 행적을 모아 놓은 언행록이다. 근대의 신흥 종교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첫째, 민족 주체 의식의 고취이다. 최제우가 서학에 대항하여 동학 을 표방한 것 자체가 이미 민족 주체 의식의 표현이다. 근대 신흥 종교는 단군 신앙, 풍류도 또는 무속(巫俗) 등 우리 민족의 고 유 사상과 접맥되고 있다. 둘째, 인본 사상과 평등사상이다. 동학은 인내천(人乃天)을 표방한 바, 이것은 인간 존엄성을 고취한 인본 사상이다. 증산교에서도 ‘이제는 인존 시대(人尊時代)’라고 선언하였고, 원불교에서도 ‘사람은 천지의 주인이요, 만물의 영 장’이라고 선언한 것 등이 모두 인본 사상의 표현이다. 그리고 이때의 사람은 특수 계층인 양반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을 가리키는 것이기에 평등사상을 담고 있다. 셋째, 후천 개벽(後天開闢) 사상이다. 차별과 억압이 횡행하는 부정의한 선천 의 시대는 가고, 억압과 차별이 일소되고 사랑과 정의가 넘쳐흐르는 후천의 시대가 온다는 것이다. 이것은 당시 사람들이 역사 적 상황 속에서 고난과 역경을 딛고 진취적인 희망을 품을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근대 신흥 종교의 사상적 특징은 무엇일까?심화 학습 ·테마 2

46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13쪽 01 (가), (나), (다)는 건국 신화의 일부이다. 이들에서 공통으로 추론할 수 있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환인(桓因)의 아들 환웅(桓雄)이 있어 늘 하늘 아래 뜻을 두어 인간 세상의 일을 탐구했다. 아버지가 아들 의 뜻을 알고 가서 다스리라고 했다. …(중략)… 웅녀(熊女)는 아이를 잉태하기를 빌었다. 이에 환웅이 그 와 혼인하여 아들을 낳으니 단군왕검이라고 하였다. (나) 옛날 시조 추모왕이 나라를 세웠는데, 추모왕은 천제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하백의 딸이며, 알을 깨고 세 상에 나왔다. (다) 나정(蘿井) 곁에 이상한 기운이 번개처럼 땅에 드리우더니 흰말 한 마리가 꿇어 절하고 있었다. 살펴보니 자주색 알이 있었는데 말은 사람을 보고 하늘로 올라갔다. 그 알을 쪼개니 사내아이가 나왔는데 모양이 단정하고 아름다웠다. 그를 혁거세왕이라 했다.

① 민족과 국가의 기원을 하늘과 연관시킴으로써 자주성을 강조하고 있다. ② 천지를 창조한 유일신의 섭리에 순응하는 것이 국가 이념임을 밝히고 있다. ③ 인간의 행복은 내세에 천국에서 다시 태어나는 것에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④ 상대방을 무력으로 물리치기 위해 강력한 군사력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⑤ 하늘을 상징하는 부모에 반하여 땅을 다스리고자 하는 열망을 드러내고 있다.

7052-0049

02 밑줄 친 ‘이 신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 신앙은 동북아시아와 시베리아 지역을 중심으로 퍼져 있던 종교 현상의 하나로, 우리 민족이 이 땅의 자연 환경과 생활 조건에 적응하면서 형성해 온 믿음 체계이다. 이 신앙의 이해를 위해 주술사를 뜻하는 글자 ㉠ 을/를 분석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ㅡ =

하늘 신령계

땅 인간계

중개 연결

사람들

+ + + ㅡ ㅣ 人人

① 하늘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다. ② 초자연적인 힘이나 신성한 대상을 숭배한다. ③ 산 자와 죽은 자의 맺힌 한을 풀어 주고자 한다. ④ 치병, 예언, 점복을 수행하는 ㉠와/과 같은 존재를 인정한다. ⑤ ㉠에게 먼저 군자다운 인격을 닦은 후에 백성을 다스릴 것을 요구한다.

7052-0050

06. 한국 고유 윤리 사상과 동양 및 한국 사상의 특징과 의의 47

정답과 해설 13쪽

03 다음 사상가의 입장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나도 또한 오장(五臟)이 있으므로 어찌 육욕(肉慾)을 모르겠느냐마는 내가 이를 하지 않음은 한울님을 기르기 위해서이다. 한울님이 내 마음속에 있음은 마치 종자(種子)의 생명이 종자 속에 있음과 같으니, 종자를 땅에 심어 그 생명을 기르는 것과 같이 사람의 마음은 도(道)에 의하여 한울님을 기르게 되는 것이다.

ㄱ. 모든 사람은 한울님을 모시고 있다는 면에서 존엄한 존재라고 본다. ㄴ. 도가 이루어지고 덕(德)이 세워지는 길은 성(誠)에 있다고 본다. ㄷ. 시비선악의 분별을 거부하고 자연의 순리에 따르고자 한다. ㄹ. 만민이 평등한 세상이 반드시 도래할 것이라고 본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7052-0051

04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나라에 현묘한 도(道)가 있음에 이를 ㉠ (이)라고 한다. 그 가르침의 근원에 대해서는 선사(仙史) 에 상세하게 실려 있는데, 삼교(三敎)를 포함한 것으로서 많은 사람들을 교화하였다. 집에서는 효를 행하 고 나라에 충성하라는 것은 공자의 가르침과 같고, 무위로 일을 처리하고 말 없는 가르침을 행하는 것은 노자의 가르침과 같으며, 악한 행동을 아니 하고 착한 행실만을 받들라는 것은 석가의 가르침과 같다. (나) 불계(佛戒)에 열 조목의 보살계가 있으나 그대들이 남의 신하와 자식이 되었으니 이를 감당하지 못할 것 이다. 지금 ㉡ 이/가 있으니, 임금을 충성으로 모시고, 어버이를 효로써 섬기며, 벗을 믿음으로 사귀고, 싸움에 임해서는 물러서지 않으며, 산 것을 죽임에는 가림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① ㉠은 유·불·도의 가르침을 담고 있는 고유 사상이다. ② ㉡에는 불교적 계율과 유교의 실천 윤리가 함께 제시되어 있다. ③ ㉠은 ㉡을 지침으로 삼은 화랑들의 사상적 기초이다. ④ ㉡은 ㉠과 달리 외래 사상의 수용에 대해 부정적이다. ⑤ ㉠, ㉡을 통해 신라 시대 화랑들의 삶의 지침을 유추할 수 있다.

7052-0052

48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5 근대 한국 사상가 갑, 을의 입장에서 모두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옳은 것은?

갑: 그대는 어찌 부처의 동상에게는 불공을 드리면서 산부처에게 불공할 줄을 모르는가. 그대의 집에 있는 자 녀들이 곧 산부처이니 그들에게 먼저 공을 들여 봄이 어떠하겠는가. 그대가 불공할 비용으로 자녀를 부처 님 모시듯 공경하듯 위해 주어 보라. 그리하면 그대의 정성만큼 효험이 나타나리라. 을: 이제 묻노니 부모나 스승이 죽은 뒤에 정령이 어디로 가는가? 부모의 정령은 자손에게 전하여 오며, 스승 의 정령은 제자에게 강림되는 것이다. 그러니 부모를 위하거나 스승을 위하여 제사를 지낼 때는 그 위패 를 나를 향하여 설치해야 하는 것이다. 각자의 마음속에 있는 한울님을 잘 길러 나가는 것[養天主]이 한울 님을 모시는 것이다.

① 정신이 아니라 육체의 수양을 해야 하는가? ② 제사는 근거 없는 미신이니 폐지되어야 하는가? ③ 사람을 소중히 여기는 것이 참된 종교 생활인가? ④ 불공이나 제사는 육체가 영원히 살기 위한 의례인가? ⑤ 현실의 인간관계에서 초탈해야 신과 만날 수 있는가?

7052-0053

06 그림은 서술형 평가 문제와 학생 답안이다. 학생 답안의 ㉠ ~ ㉤ 중 옳지 않은 것은?

◎ 학생 답안

갑은 ㉠ 무속 신앙을 독자적으로 해석하였고, ㉡ 아무리 하찮은 신세를 지더라도 반드시 그 은혜를 갚을 것을 주장하였다. 을은 ㉢ 종교적 수행과 사회적 실천을 통합하고자 했으며, ㉣ 기존의 사상에서 강조되 던 궁극적 진리는 모두 창조주 유일신의 다른 표현이라고 주장하였다. 한편 ㉤ 갑과 을은 모두 과거의 잘못된 사회 구조가 미래에는 바로잡힐 것이라고 보았다.

서술형 평가

◎ 문제: 한국 근대 사상가 갑, 을에 대하여 비교·서술하시오.

갑: 선천에는 상극(相剋)으로 인간과 만물을 길러 내므로 모든 일이 도의에 어그러져 원한이 맺히 고 쌓여 왔다. 내가 이제 상극 질서를 바로잡아 해원(解寃)의 도로써 새 세상을 열 것이다. 새 세상에서 너희는 남을 잘되게 하라. 남을 잘되게 하는 것이 우리의 공부이다. 을: 정신 수양,&p;사리 연구(事理硏究), 작업 취사(作業取捨)의 삼학(三學)으로써 의식주를 얻고, 의식 주와 삼학으로써 진리를 얻어 정신과 육체를 균형 있게 발전시켜[靈肉雙全] 나가야 한다.

① ㉠ ② ㉡ ③ ㉢ ④ ㉣ ⑤ ㉤

7052-0054

06. 한국 고유 윤리 사상과 동양 및 한국 사상의 특징과 의의 49

정답과 해설 13쪽

07 (가)의 갑, 을, 병 사상가들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탐구하고자 할 때, A ~ D에 들어갈 질문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갑: 온갖 문명의 이기(利器)가 있어도 사용되지 않고, 백성들이 생명을 소중히 여겨 멀리 옮겨 살지 않으며, 배 와 수레가 있어도 그것을 탈 일이 없고 갑옷과 군대가 있어도 펼칠 일이 없다. 을: 어진 덕이 있는 자가 다스리며 믿음을 가르치고 화목함을 닦는다. 사람들은 자기의 어버이만을 친애하거 나 자기의 자식만을 친애하지 않게 된다. 어린이는 안전하게 자랄 수 있고, 홀아비, 과부, 고아, 자식 없는 외로운 사람들이 보살핌을 받을 수 있다. 병: 천하의 혼란은 자신과 자가(自家)와 자국(自國)의 이익만 강조하고 타인과 타가와 타국을 홀대하기 때문 이다. 남의 몸을 자신의 몸처럼 아낀다면 남도 나를 존중할 것이다. 이렇듯 서로 사랑하고 이로움을 나누 어야 천하가 태평해질 것이다.

(나)

윤사06-1

<범 례>

: 판단 내용 : 판단 방향 : 사상가의 입장 : 출발 조건

갑, 을, 병의 입장을 탐구한다.

아니요

아니요

을의 입장갑의 입장 병의 입장

예예

B

A

C D

① A: 도덕규범이 사회 안정과 질서를 저해하는가? ② B: 모두를 가족처럼 여기는 공동체를 이루어야 하는가? ③ C: 이상적인 정치는 백성을 덕(德)으로 교화하는 것인가? ④ C: 분배가 고르지 못하면 재화가 많아도 사회가 불안하게 되는가? ⑤ D: 모든 사람을 친소(親疎)의 구분 없이 똑같이 사랑해야 하는가?

7052-0055

08 밑줄 친 ‘저’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중생들이 병을 앓기에 저의 병이 생긴 것입니다. 중생들이 병고에서 벗어나면 저의 병도 나을 것입니다. 마치 아들이 병을 얻으면 그 부모도 아프고, 아들의 병이 나으면 부모도 아프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중생에 대한 저의 사랑은 자식을 사랑하는 부모와 같아 중생이 아프면 저도 아프고, 중생의 병이 나으면 저의 아픔도 낫습 니다. 그래서 저는 저의 해탈뿐만 아니라 중생 구제도 함께 추구합니다.

ㄱ. 아파하는 타인이 있는 한, 자신의 아픔만 낫기를 바라지 않는다. ㄴ. 현세에서의 고뇌에서 벗어나 내세에서의 즐거움을 얻고자 한다. ㄷ. 인위적인 노력과 집착을 버리고 자연의 흐름에 따라 살고자 한다. ㄹ. 지혜를 통한 자신의 깨달음과 자비를 통한 타인의 깨달음을 함께 추구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056

50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9 (가)의 갑, 을 사상가들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표현할 때, A ~ C에 들어갈 적절한 내용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가)

갑: 죽고 사는 것은 명(命)에 있는 것이다. 아침에 도(道)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뜻있는 선비와 어진 사 람은 자신의 생명 보존을 위해 인(仁)을 해치지 않으며, 몸을 죽여서라도 인을 이룬다. 을: 이 세상에 태어난 것은 올 때를 만났기 때문이고 죽는 것은 떠날 순서가 되었기 때문이다. 세상에 오면 편 안히 머물고 죽을 때 순리를 따른다면 슬픔과 기쁨이 끼어들 틈이 없다. 무엇을 이루려고 억지로 할 필요 가 없다.

(나)

A: 갑만의 입장 B: 갑, 을의 공통 입장 C: 을만의 입장 <범 례>

갑 을 갑 을

A A B B C C

ㄱ. A: 사후에 대한 관심보다 현실에서의 도덕성 실현이 더 중요하다. ㄴ. B: 자연 질서의 일부인 죽음은 슬픔의 대상이 아니다. ㄷ. B: 삶과 죽음의 순환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삶의 목적이다. ㄹ. C: 삶은 기쁨, 죽음은 애도의 대상으로 대응시키는 것은 어리석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057

10 (가), (나) 사상의 공통된 자연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물건마다 한울이요, 일마다 한울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다른 물건을 먹는 것은 곧 ‘한울이 한울을 먹는 것[以天食天]’이다. 그러니 하나의 생물이라도 무고히 해하지 말아야 한다. 물물(物物)이 또한 나의 동포 이며 물물이 또한 한울의 표현이니 물을 공경함은 한울을 공경함이요 한울을 양(養)하는 것이다. (나) 하늘을 아버지라 하고 땅을 어머니라고 한다. 나는 그 가운데 혼연히 서 있다. 천지에 가득 찬 기운은 나 의 몸이요, 천지가 운용되는 원리는 나의 본성이 된다. 사람들과 나는 한 몸에서 나왔고, 만물은 나와 더 불어 한 형제이다.

① 자연의 모든 존재는 유기적 관계로 연결되어 있다고 본다. ② 자연 보존을 위해 인간의 어떤 활동도 허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 ③ 본성 실현에 도움이 될 때만 인간은 자연을 보호할 책임이 있다고 본다. ④ 식물은 동물을 위해, 동물은 인간의 생존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고 본다. ⑤ 인간은 창조주의 섭리에 따라 자연을 지배할 권한과 의무를 지닌다고 본다.

7052-0058

06. 한국 고유 윤리 사상과 동양 및 한국 사상의 특징과 의의 51

THEME 상대주의·보편주의 윤리와 이상주의·현실주의 윤리0 7

•감각적 쾌락, 성공과 출세, 유용성 등 세속적 가치를 추구하는 삶을 중시함 •세속적 가치를 얻는 데 필요한 처세술, 변론술을 가르침 ② 의의 •철학적 관심을 자연과 우주의 질서에서 인간에 대한 탐구로 전 환시키는 데 기여함 •경험주의, 쾌락주의, 실용주의, 상대주의 윤리 사상의 연원이 됨 ③ 대표적 사상가

프로타고라스

•상대주의적 진리관 및 윤리관 주장 •“인간은 만물의 척도이다.”

트라시마코스

•경험에 근거한 세속적 정의관 주장 •“정의는 강자의 이익이다.”

고르기아스

•회의주의적 진리관 주장 •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존재하더라도 알 수 없다. 알 수 있더라도 전달할 수 없다.”

⑵ 소크라테스의 보편주의 윤리 사상 ① 특징 •

소피스트의 상대주의 윤리를 반대하면서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윤리가 존재한다고 주장함 •이성적 사유와 삶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중시함 •절대주의적 진리관 및 윤리관: 보편타당한 진리가 존재하며, 선 악에 대한 보편적인 판단 기준이 있다고 주장함 •정신적 가치를 추구하는 삶을 중시함 •대화법과 산파술: 대화를 통해 상대방을 논박함으로써 스스로 무지를 자각하게 하고 진리를 찾도록 도와줌 •주지주의(主知主義): 선이 무엇인지 알면서 악을 행하는 사람은 결코 없음

1 서양 윤리 사상의 배경과 흐름 ⑴ 서양 윤리 사상의 문화적 배경

인간 중심의 고대 그리스 문화

민주주의의 발달, 활발한 문화 교류, 왕성한 학문적 논의 → 자유, 평등, 이성, 개인을 중심으로 하는 윤리 사상 형성

신 중심의 그리스도교 문화

유일신을 믿는 종교 문화 발달 → 신에 대한 믿음과 사랑을 중시하는 윤리 사상 형성

⑵ 서양 윤리 사상의 흐름

이성 중시 사상

소크라테스·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 → 스토아학파 → 이 성주의(데카르트·스피노자) → 칸트

경험 중시 사상

소피스트 → 에피쿠로스학파 → 경험주의(베이컨·홉스·흄) → 공리주의(벤담·밀) → 실용주의(퍼스, 제임스, 듀이)

⑶ 현대 윤리 사상

실용주의 삶에서의 실제적 유용성과 실천의 중요성 강조

실존주의 개별적인 인간의 실제 삶의 의미 강조

덕 윤리 행위자의 덕성과 품성에 주목

배려 윤리 감성에 근거한 배려의 윤리적 의의에 주목

2 고대 그리스의 상대주의와 보편주의 윤리 사상 ⑴ 소피스트의 상대주의 윤리 사상 ① 특징 •학문의 주제를 자연에서 인간과 사회로 전환함 •진리 및 가치 판단: 감각적 경험과 현실적 유용성을 중시함 •상대주의적 진리관 및 윤리관: 모든 진리는 상대적이며, 선악에 대한 판단도 주관적임

당신이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다면, 당신의 주장에 따라 그것은 당신에게는 참이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이 그것에 반대되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면 당신 의 견해는 그들에게는 거짓이다. 당신은 모든 사람의 견해가 참이라고 했으니, 당신의 견해가 거짓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견해를 참이라고 인정해야 한다. 당신의 견해가 거짓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견해도 참이라는 것을 당신이 인정한다면, 결국 자신의 견해가 거짓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아 닌가? 결국 당신의 진리는 당신 자신에게도 참이 되지 못한다. 우리는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대화를 통해 모든 인간에게 타당하고 바람직한 삶의 방식을 찾아야 한다. - 플라톤, “프로타고라스”

자료는 프로타고라스의 입장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반론이다. 제시문의 당신은 ‘프로타고라스’이다. 소크라테스는 “인간은 만물의 척도이다.”라는 진술을 통해 진리의 상대성을 강조한 프로타고라스의 주장이 논리적으로 참되지 않다고 비판하면서, 진리는 절대적이며 보편타당하다는 점을 강 조하였다.

소크라테스의 절대주의적 진리관자료와 친해지기

52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② 목적론적 세계관 •세상의 모든 사물은 고유한 목적을 지니고 있으며 각기 고유한 기능을 잘 발휘할 때 그 목적이 달성됨 •인간의 모든 행위는 ‘좋은 것[善]’을 목적으로 하며, 궁극적 목적 인 최고선(最高善)은 행복임 •행복은 인간의 고유 기능인 이성을 잘 발휘할 때 달성될 수 있음 ③ 덕론 •덕: 인간이 고유한 기능인 이성을 잘 발휘한 상태로, 행복을 위 한 필수 조건임

지성적 덕 (지적 덕)

•영혼의 이성적 기능이 탁월하게 작용할 때 얻어지는 덕 •주로 교육에 의해 생겨나고 성장함 •세계에 대한 관조를 가능하게 함 •실천적 지혜, 철학적 지혜 등

품성적 덕 (도덕적 덕)

• 영혼의 감각과 욕구의 기능이 이성의 명령에 따를 때 얻 어지는 덕 •

실천적 지혜를 토대로 중용에 부합되는 올바른 행동을 선택하는 의지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실천함으로써 형 성됨 •일상생활에서 올바른 행위를 가능하게 함 •용기, 절제, 긍지, 친절 등

④ 중용 •감정이나 행위와 관련하여 ‘마땅함’에 중용의 특성이 있음 •지나침과 모자람의 중간 상태로 산술적 평균의 의미는 아님 •파렴치함, 시기, 절도, 살인 등은 그 자체로 나쁜 것이기 때문에 중용이 존재하지 않음 ⑤ 실천적 지혜 •중용에 대한 앎으로써, 지성적 덕의 하나임 •품성적 덕의 형성에 필수적으로 요구됨 ⑥ 의지의 나약함과 습관 •의지의 나약함은 실천적 지혜에 따라 행동하지 못하게 하는 원 인임 •의지가 나약한 사람은 좋은 것인 줄 알면서도 그것을 행하지 않 거나, 나쁜 것인 줄 알면서도 그것을 행함 •덕 있는 행위가 습관화되면 실천을 방해하는 의지의 나약함이 줄어들기 때문에 덕 있는 행위를 자연스럽게 할 수 있음

•지덕복합일설(知德福合一說): 참된 앎은 덕이고 덕은 곧 행복이 므로 참된 앎과 덕이 있는 사람이 진정한 행복을 누릴 수 있음 ② 의의 •철학의 주된 방향을 자연 철학에서 인간의 삶에 관한 철학으로 전환시킴 •이성주의, 객관주의, 보편주의 윤리 사상의 연원이 됨

3 고대 그리스의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윤리 사상 ⑴ 플라톤의 이상주의 윤리 사상 ① 이원론적 세계관과 이상주의 •세계는 이성으로 파악되는 이데아의 세계와 감각으로 경험되는 현상의 세계로 나뉘어져 있음 •현상계는 참된 세계인 이데아계를 모방한 불완전한 세계임 ② 이데아론 •이데아: 현상의 완전한 원형이자 본질로서 영원하고 불변하며 이성으로 파악됨 •현상: 이데아의 불완전한 모상으로 일시적이고 변화하며 감각으 로 경험됨 •각 사물마다 그 사물의 이데아가 있고, 최고 이데아는 선(善)의 이데아임 •이상적인 삶: 선의 이데아를 인식하고 이를 실현하는 삶 ③ 이상적인 인간과 국가 •이상적인 인간: 영혼의 세 부분인 이성, 기개, 욕망이 각각의 본 분에 맞는 탁월성을 발휘하여 조화를 이룬 인간으로, 이성이 기 개와 욕망을 통제함 •이상적인 국가: 국가의 세 계층인 통치자, 방위자(군인), 생산자 가 각각의 본분에 맞는 탁월성을 발휘하여 조화를 이룬 국가로, 통치자로서의 탁월성인 지혜를 갖춘 철학자가 통치함

⑵ 아리스토텔레스의 현실주의 윤리 사상 ① 일원론적 세계관과 현실주의 •현실 세계만이 실재하며, 사물의 본질은 현실의 사물에 내재함 •이상적·초월적 선보다 성취 가능한 ‘인간에게 좋은 것[善]’을 탐 구함

• 철학자가 배워야 할 가장 중요한 것은 좋음의 이데아이다. 이것 덕분에 정의나 그 밖의 다른 것들도 유용한 것이 된다. 이데아는 인식과 진리의 원인 이지만 인식되는 것이기도 하다. • 철학자들은 좋음 자체를 본으로 삼고 번갈아 가며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 그리고 또 다른 세대들을 자신들과 같이 교육시켜 나라의 수호자가 되게 한 후에 ‘축복받은 자들의 섬’으로 가서 살게 된다. - 플라톤, “국가”

플라톤에 따르면 좋음[善]의 이데아는 모든 것들의 원인이고 모든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인 최고의 이데아이다. 플라톤은 철학자들이 좋음 의 이데아를 인식하고, 그것을 본으로 삼아 통치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보았다. 즉, 철학자가 통치자가 되어 모든 것에서 ‘좋음’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해야 이상 국가가 실현된다고 보았다.

플라톤이 강조한 철학자의 역할자료와 친해지기

07. 상대주의·보편주의 윤리와 이상주의·현실주의 윤리 53

THEME 07

• 만약 덕이 영혼의 내면에 있는 어떤 것이고 또 반드시 유익한 것이라면, 그것은 지식의 일종이어야 할 것이네. 왜냐하면 모든 영 혼의 자질들은 그 자체로 볼 때 유익하지도 해롭지도 않은 것이지만 실천적 지혜나 무지가 함께 작용하게 될 때 비로소 유익하게 되거나 해롭게 되기 때문일세. 이러한 추론에 따르면 덕이란 지식의 일종이라야만 할 것이네. 왜냐하면 그것은 결국 유익한 것이 기 때문이네. • 이 나라에는 현재도 과거에도 나라를 다스리는 일에 관한 한 능력 있는(유능한) 사람들이 많이 있다고 생각하네. 그러나 그들이 자신의 덕을 남에게 가르치는 일에 있어서도 과연 훌륭한 것일까? 문제는 바로 이 점일세. 우리는 아까부터 이 나라에 덕이 있는 인물이 있느냐 없느냐 또는 과거에 있었느냐 없었느냐 하는 것을 문제로 삼은 것이 아니라, 덕이 가르쳐질 수 있는가에 대해서 고 찰하고 있었던 것일세. 그리고 이 문제는 이런 성찰을 요구한다네. 현재의 사람이든 과거의 사람이든 간에 훌륭한 인물들은 자신 의 탁월한 덕을 남에게 가르치는 법도 알고 있을까? 아니면 덕이란 원래부터 가르칠 수도 없고 전수받을 수도 없는 것일까? 바로 이것이 나와 메논이 함께 논의하고 있었던 문제일세. …(중략)… 덕은 결국 신의 선물로 우연히 주어지는 것 같네. 그렇지만 우리 가 ‘덕은 인간에게 어떤 방식으로 우연히 주어지는가?’라는 문제에 앞서 먼저 ‘덕 그 자체는 도대체 어떤 것이냐?’라는 문제를 탐 구하기 시작할 때, 비로소 우리는 덕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될 것이네. - 플라톤, “메논”

자료는 플라톤의 “메논”의 일부 내용으로, 소크라테스가 메논과의 대화를 통해 덕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부분이 다. 비록 소크라테스는 메논에게 덕이 무엇인지를 상기시키는 데 실패했지만 덕이 무엇인지에 대한 성찰의 중요성과 덕에 대한 교육의 가능성과 필연성을 보여 주었다. 덕이 있는 사람 또는 삶에 대한 관심은 덕이 있는 사람 되기(학습)에 대한 관심으로 이 어지고, 덕의 교육은 덕의 본질, 즉 인간적인 선(善)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게 된다.

소크라테스에게 덕이란 무엇인가?심화 학습 ·테마 1

• 행복은 완전한 덕을 따르는 정신적 활동이므로 우리는 덕의 본성을 고찰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행복의 본성을 더 욱 잘 알 수 있게 된다. …(중략)… 덕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지성적 덕이고, 다른 하나는 품성적 덕이다. 철학적 지혜, 이해 력, 실천적 지혜는 지성적 덕이고, 관대함이나 절제는 품성적 덕이다. 어떤 사람의 성격에 관해서 말할 때 우리는 그가 현명하다 거나 이해력을 가지고 있다고는 말하지 않고, 성품이 온화하다거나 절제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우리는 또한 현명한 사람의 정신 상태에 관해서도 칭찬한다. 우리는 칭찬 받을 만한 정신 상태를 덕이라 부른다. • 지성적 덕은 대체로 교육에 의해서 생겨나기도 하고 성장하기도 한다. 따라서 경험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품성적 덕은 습관의 결 과로 생겨난다. …(중략)… 품성적 덕에 속하는 것은 그 어떤 것이든 본성에 의하여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분명하다. 본성 에 의하여 생기는 것은 그 본성의 방향에 반하여 습관을 들인다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중략)… 품성적 덕은 본성에 의 해서 생기는 것도 아니고, 본성에 반하여 생기는 것도 아니다. 인간에게는 품성적 덕을 받아들이는 본성이 있다고는 말할 수 있지 만, 그 덕을 완성하는 것은 습관을 통해서이다. -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을 지성적 덕과 품성적 덕으로 구분하였다. 지성적 덕에는 철학적 지혜, 이해력, 실천적 지혜 등이 속하며, 품성적 덕에는 관대함이나 절제 등이 속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지성적 덕은 대체로 교육을 통해 획득되고 성장하는 데 비해, 품 성적 덕은 덕 있는 행위를 반복하여 실천함으로써 습관에 의해 획득된다고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두 종류의 덕은 무엇인가?심화 학습 ·테마 2

54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15쪽 01 그림은 고대 서양 사상가들의 가상 대화이다. 을이 갑에게 제기할 비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을

정의는 사실 다른 사람에게 좋은 것, 즉 더욱 강한 자 그리고 통치 자들의 이익이며, 복종하고 섬기는 자들에게는 해가 되는 것입니다.

정의는 오히려 더 약한 자들이나 피통치자들의 이익입니다. 정의는 덕이고 지식이며, 부정의는 악덕이 고 무지입니다.

① 정의는 행복을 위해 필요한 보편적인 덕임을 간과하고 있다. ② 정의로운 삶과 행복한 삶은 서로 관련이 없음을 모르고 있다. ③ 정의와 부정의에 대한 가치 판단은 개인에 따라 달라짐을 무시하고 있다. ④ 이성이 아니라 감정에 따라 정의를 추구해야 한다는 점을 부정하고 있다. ⑤ 통치자는 자신에게 유리한 법률을 정의롭다고 본다는 점을 경시하고 있다.

7052-0059

02 다음을 주장한 고대 서양 사상가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옳은 것은?

신탁이 우리에게 전하고자 하는 것은 인간들 중에서 가장 지혜로운 자가 있다면 그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 혜가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나는 지금도 신의 명령을 받들어 지혜 롭다고 생각되는 사람들을 찾아다니며 탐구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중략)… 자신이 모르면서도 알고 있다 고 믿는 것이 인간이 가진 무지 중에서 가장 큰 무지입니다. 내가 대다수 사람들과 다른 점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나는 내가 무지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중략)… 여러분은 지혜와 힘에 있어서 최고의 평 판을 듣고 있는 아테네의 시민입니다. 그런 여러분이 자신의 영혼을 돌보는 일을 게을리하면서 더 많은 부와 명성을 쌓는 일에만 몰두한다면, 그것이야말로 부끄러워해야 할 일이 아니겠습니까?

① 절대적이고 보편타당한 진리는 존재하는가? ② 자신의 무지를 자각해야 진리를 깨달을 수 있는가? ③ 악행은 지식보다는 의지의 결핍에서 비롯된 것인가? ④ 참된 앎은 영혼의 수련을 통해서 얻어진 깨달음인가? ⑤ 세속적인 가치보다 정신적인 가치를 중시해야 하는가?

7052-0060

07. 상대주의·보편주의 윤리와 이상주의·현실주의 윤리 55

정답과 해설 15쪽

03 고대 서양 사상가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갑: 동일한 바람도 어떤 사람은 차갑게 느끼지만, 다른 사람은 그렇지 않게 느낄 수 있다. 어떤 것들이 나에게 나타나는 대로 그것들은 나에게는 그렇게 존재하며, 어떤 것들이 당신에게 나타나는 대로 그것들은 당신 에게는 그렇게 존재한다. 을: 앎은 아름다운 것이며 사람을 지배할 수 있는 것이다. 누구든지 좋은 것들과 아름다운 것들을 알기만 한다 면, 그는 앎이 지시하는 것과는 다른 것들을 행하지 않을 것이다.

① 갑은 절대적 진리를 덕과 행복의 원천으로 본다. ② 갑은 실용적 지식보다 보편적 진리가 중요하다고 본다. ③ 을은 개인의 감각과 경험이 지식의 근원이라고 본다. ④ 을은 도덕적 실천을 위해 반성적 성찰이 필요하다고 본다. ⑤ 갑, 을은 무지에 대한 자각을 통해 보편적인 진리를 추구해야 한다고 본다.

7052-0061

04 다음은 어느 고대 서양 사상가가 제시한 비유이다. 밑줄 친 ㉠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크고 깊은 ㉠ 동굴 속에 오직 동굴의 벽면만을 바라볼 수 있도록 다리와 목이 묶여 있는 ㉡ 죄수들이 있다. 그 죄수들의 바로 뒤에는 야트막한 담장이 세워져 있고, 담장 너머로는 동굴을 가로지르는 길이 나 있다. 그리고 그 길에서 동굴의 입구 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는 불이 타오르고 있다. 사람들이 길을 지나다닐 때마다 동굴 의 벽면에는 갖가지 ㉢ 그림자가 나타나는데, 평생 그 그림자들만을 보며 살아온 죄수들은 그림자가 곧 진짜 사물의 모습이라고 믿는다. 어느 날 누군가가 죄수 한 명의 결박을 풀고 ㉣ 동굴 밖으로 빠져나가게 한다. 밖 으로 나온 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에 비친 사물의 그림자를 볼 수 있게 되며, 차츰 사물 그 자체와 밤하늘 의 달과 별을 보게 된다. 그러다가 마침내 그는 ㉤ 태양 자체를 직접 볼 수 있게 되고, 태양이야말로 사계절의 운행과 세상 만물의 근원이고 지배자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는 지금 자신이 누리고 있는 행복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동굴 속에 갇혀 있는 동료들을 불쌍히 여긴다. 그가 다시 동굴 속으 로 돌아가 죄수들을 밖으로 인도하려고 애쓰지만 그들은 오히려 그를 붙잡아 죽이려고 한다.

① ㉠은 감각적 경험으로 파악되는 참된 진리의 세계이다. ② ㉡은 교육을 받아 이성적 판단에만 의존하는 인간들을 상징한다. ③ ㉢은 이성적 인식으로 파악되는 사물들 각각의 본질을 의미한다. ④ ㉣은 진리와 실재의 세계를 모방한 불완전한 세계이다. ⑤ ㉤은 모든 사물의 원인이자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다.

7052-0062

56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5 갑은 고대 서양 사상가이고, 을은 고대 동양 사상가이다. 이들의 공통된 입장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갑: 국가를 구성하는 통치자, 방위자, 생산자 세 계층이 각각 자신들이 맡은 역할에 전념하고, 다른 계층의 역 할에 간섭하지 않을 때 정의로운 국가가 된다. 을: 덕으로써 인(仁)을 행하는 것이 왕도(王道)이다. 왕도를 실현한 자는 큰 나라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힘으 로 사람을 복종시키려고 하면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오는 복종을 얻을 수 없다. 그러나 덕으로 복종시키면 사람들이 기뻐하며 진심으로 복종한다.

ㄱ. 통치자는 이상적인 정치를 위해 반드시 덕을 갖추어야 한다. ㄴ. 통치자는 인위적인 도덕규범보다 자연의 질서에 따라 다스려야 한다. ㄷ. 민본주의 원리를 바탕으로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해야 한다. ㄹ. 바람직한 국가가 실현되려면 사회 구성원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을 다해야 한다.

보기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7052-0063

06 고대 서양 사상가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갑: 각 개인에게는 국가 안에 있는 것과 같은 영혼의 기능이 있는데, 이 영혼의 기능은 이성, 기개, 그리고 욕 구의 세 부분으로 나눠진다. 국가에서 통치자들이 지혜라는 덕을 필요로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개인 영혼 중 이성적 부분은 지혜를 드러낼 때 탁월하게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을: 덕은 지성적 덕과 품성적 덕으로 구별된다. 지성적 덕은 그 기원과 성장을 주로 교육에 두고 있다. 그런 까닭에 그것은 경험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반면 품성적 덕은 습관의 결과로 생겨난다. 품성적 덕은 어떤 것도 본성적으로 우리에게 생기는 것은 아니다. 본성적으로 생기는 것이라면, 본성과 다르게 습관을 들일 수 없기 때문이다.

① 갑은 지혜를 갖춘 철학자가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고 본다. ② 갑은 국가와 개인이 올바르게 되는 방식이 동일하다고 본다. ③ 을은 품성적 덕을 갖추기 위해 실천적 지혜가 필요하다고 본다. ④ 을은 의지의 나약함 때문에 나쁜 것을 알면서도 행할 수 있다고 본다. ⑤ 갑, 을은 참된 앎보다 옳은 행동의 습관화가 중요하다고 본다.

7052-0064

07. 상대주의·보편주의 윤리와 이상주의·현실주의 윤리 57

정답과 해설 15쪽

07 (가)의 갑, 을 사상가들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표현할 때, A ~ C에 해당하는 적절한 진술만을 <보기>에서 있 는 대로 고른 것은?

(가)

갑: 세계는 이데아의 세계와 현상의 세계로 나뉘어져 있다. 감각적으로 경험되는 현상의 세계는 참다운 세계 가 아니고, 오직 이성에 의해 파악될 수 있는 이데아의 세계만이 참된 세계이다. 을: 유일한 세계인 현실 속에서 참다운 존재를 찾아야 한다. 세상의 모든 사물은 고유한 목적을 지니고 있으 며 각기 고유한 기능을 잘 발휘할 때 그 목적이 달성된다.

(나)

A: 갑만의 입장 B: 갑, 을의 공통 입장 C: 을만의 입장 <범 례>

갑 을 갑 을

A A B B C C

ㄱ. A: 현실 세계는 이데아계를 모방한 불완전한 세계이다. ㄴ. B: 행복을 실현하는 데 있어 이성의 역할이 중요하다. ㄷ. B: 이성적 사유를 통해 선(善)의 이데아를 인식할 수 있다. ㄹ. C: 선(善) 자체는 현실 세계가 아닌 초월적 세계에 존재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7052-0065

08 다음은 고대 서양 사상가의 주장이다.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어떤 것은 이미 그것이 좋지 않은 것임을 드러내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악의, 파렴치함, 질투와 같 은 감정들, 그리고 행위의 경우 간음, 절도, 살인과 같은 것들이 그런 것이다. 이와 같은 것들은 그것들의 지 나침이나 모자람이 나쁘다고 이야기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 자체로 나쁘다고 이야기된다. 이런 것들에서는 옳다고 할 수 있는 일이 아예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

① 모든 행위와 모든 감정에 중용이 있는 것은 아니다. ② 지성적 덕은 중용의 반복적 실천을 통해서 형성된다. ③ 실천적 지혜와 같은 품성적 덕이 중용이라고 볼 수 있다. ④ 품성적 덕은 인간이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다. ⑤ 중용은 지나침과 모자람의 중간 상태로 산술적 평균을 의미한다.

7052-0066

58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9 (가)를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퍼즐 속 세로 낱말 (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영혼은 순수하게 이성적인 부분과 이성에 따를 수 있는 부분, 이성적인 것을 전혀 가지지 않은 부분으로 이루 어져 있다. 덕도 영혼의 구별에 따라 나누어진다. 순수하게 이성적인 부분과 관계되는 덕은 지성적 덕이고, 이 성에 따를 수 있는 부분과 관계되는 덕은 품성적 덕이다.

(나)

(A)

(B)

[가로 열쇠] (A): 좋은 운수. 을/를 빌다. (B): 참된 앎은 덕이고, 앎과 덕이 일치하면 최고선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는 소크라테스의 사상을 일컫는 말. 합일설

[세로 열쇠] (A): …… 개념

① 어떤 존재의 완전하고 이상적인 원형이자 본질이다. ② 인간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덕에 따르는 영혼의 활동이다. ③ 자연에 대한 참된 인식을 어렵게 하는 선입견과 편견이다. ④ 구체적 상황에서 중용이 무엇인지 알게 해 주는 지성적 덕이다. ⑤ 영혼 안에 있는 비이성적이고 부자연스러운 움직임과 지나친 충동이다.

7052-0067

10 고대 서양 사상가 갑이 <문제 상황>의 학생에게 해 줄 수 있는 조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의지가 나약한 사람은 자기가 무엇을 행하는지, 또 왜 그것을 행하는지를 어떤 식으로든 알고 있으므로 자 발적으로 행하는 사람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나쁜 사람은 아니다. 그의 합리적 선택 자체는 훌륭하니 까. 따라서 그는 반쯤 나쁜 사람이다. 그는 또 부정의한 사람이 아니다. 계획적으로 그러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이다. 의지가 나약한 사람들 중 한편은 자신들이 숙고해 낸 것에 머물지 못하는 사람들이며, 다른 한 편은 불같은 성질의 소유자로 아예 숙고하려 들지 않는 사람들이다.

<문제 상황> 학생: 저는 흡연이 건강에 해롭다는 것을 알고 담배를 끊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조금 줄였을 뿐 여전히 담배의 유혹을 이기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금연할 수 있을까요?

① 신에게 귀의하여 경건한 신앙생활을 해야 하네. ② 흡연 욕구를 극복하려는 의지력을 키워야 하네. ③ 흡연이 나쁘다는 것을 정확히 알기만 하면 되네. ④ 금연으로 인한 쾌락을 지속적으로 추구해야 하네. ⑤ 모든 감정을 제거하여 담배의 유혹에 빠져서는 안 되네.

7052-0068

07. 상대주의·보편주의 윤리와 이상주의·현실주의 윤리 59

THEME 쾌락주의·금욕주의 윤리와 그리스도교 윤리0 8

⑶ 스토아학파의 사상 ① 세계관

이성주의

• 우주는 신이고, 신은 곧 자연이며, 그 본성은 이성(理 性, logos)임 • 우주의 부분인 인간의 영혼에도 이성이 내재함

결정론

세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은 신의 법칙인 이성의 법칙 에 의해 필연적으로 일어남

세계 시민주의 이성을 가지고 있는 세계의 모든 인간은 평등한 동료임

② 바람직한 삶의 자세: 이성을 따르는 삶=자연을 따르는 삶=세 계의 질서에 순응하는 삶

이상적 상태

아파테이아(apatheia) → 이성을 따름으로써 어떠한 상황에 서도 동요하지 않는 정신 상태, 정념으로부터 해방된 상태

정념 (pathos)

아파테이아에 이르기 위해 극복해야 하는 것. 그러나 자신의 건강을 돌보는 마음, 부모를 사랑하는 마음 등과 같은 자연 스러운 정념은 인정됨 → 모든 정념의 제거가 아니라 정념에 초연한 태도를 중시함

③ 영향 •자연의 필연적 질서 인정, 범신론적 입장, 정념에서 해방된 자유 인의 삶 추구 → 스피노자의 사상에 영향을 줌 •덕 있는 삶은 이성의 명령을 따르는 삶이며, 결과가 아니라 행위 자체가 오직 이성에 일치하는지를 고려하고 행위해야 한다고 봄 → 칸트의 사상에 영향을 줌 •자기애를 넘어 인류 전체에 대한 포용과 사랑 강조, 자연법이 모 든 실정법의 근거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 → 로마의 만민법과 근 대의 자연법사상에 영향을 줌

⑷ 에피쿠로스학파와 스토아학파의 사상 비교

구분 에피쿠로스학파 스토아학파

이상적 상태 아타락시아 아파테이아

사회생활에 대한 입장

공적인 삶 회피, 작은 공동체 에서 우정을 나누며 사는 삶 강조

사회적 역할 수행과 세계 시민으로서의 의무 강조

공통점 마음의 평온함 추구, 검소하고 절제하는 삶 추구

1 헬레니즘 시대의 쾌락주의와 금욕주의 ⑴ 헬레니즘 시대의 특징 ① 도시 국가(polis)의 붕괴, 제국의 출현과 정복 전쟁 등으로 정치 적·사회적 혼란이 발생함 ② 사람들이 도시 국가의 시민이 아닌 제국의 신민(臣民)이 됨으로 써 공동체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고 일체감을 느낄 수 없게 됨 ③ 혼란에서 벗어나 마음의 평온을 얻는 일이 중시됨 ④ 에피쿠로스학파와 스토아학파가 등장함

⑵ 에피쿠로스학파의 사상 ① 쾌락주의

삶의 목적

쾌락은 유일한 선이고, 고통은 유일한 악임 → 쾌락은 행복 한 인생의 시작이자 끝임

진정한 쾌락

• 아타락시아(ataraxia), 즉 육체에 고통이 없고 마음에 불안 이 없는 평온한 상태 •

감각적이고 순간적인 쾌락이 아닌 정신적이고 지속적인 쾌락

소극적 쾌락주의

쾌락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기보다는 고통과 불안을 제거하여 평온함에 이르고자 함

② 바람직한 삶의 자세(아타락시아에 이르기 위한 방법) •자연적이고 필수적인 욕구를 최소한으로 충족함

욕구의 유형

자연적이고 필수적인 욕구

의식주와 같은 기본적 욕구는 최소 한 충족시킴

자연적이지만 필수적이지 않은 욕구

맛있는 음식, 좋은 옷, 멋진 집 등의 욕구는 극복할 필요가 있음

자연적이지도 필수적이지도 않은 욕구

부, 명예, 권력 등의 욕구는 극복할 필요가 있음

•헛된 욕심을 버리고 절제하며 검소하게 살아감 •공적인 삶에서 벗어나 작은 공동체에서 친구와 우정을 나누며 살아감 •죽음, 미신, 운명 등에 대한 잘못된 믿음을 제거함 ③ 영향: 근대 경험론과 공리주의에 영향을 줌

몸의 건강과 마음의 평안함이 행복한 삶의 목적이므로 우리는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고통과 두려움을 피하고자 행동한다. 우리는 쾌락의 부재로 인해 고통을 느낄 때에는 쾌락을 필요로 하지만, 고통을 느끼지 않는다면 더 이상 쾌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런 까닭에 우리는 모든 쾌락을 추구하지 않 으며, 어떤 때에는 많은 쾌락을 지나치기도 한다. 또한 우리는 많은 고통들이 쾌락보다 더 낫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오랫동안 고통을 참으면 더 큰 쾌락 이 올 수 있기 때문이다. - 에피쿠로스, “메노이케우스에게 보내는 편지” -

에피쿠로스가 추구한 쾌락은 감각적 쾌락이나 순간적 쾌락이 아니라 정신적이고 지속적인 쾌락이다. 그리고 욕망을 적극적으로 충족시키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욕심을 갖지 않음으로써 ‘마음에 불안이 없고 몸에 고통이 없는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에피쿠로스는 이러한 상태를 ‘아타락시아(ataraxia)’라고 하였다.

에피쿠로스의 쾌락주의자료와 친해지기

60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② 대표 사상: 아퀴나스의 사상 •특징: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활용하여 신앙과 이성을 조화시 키고 신의 존재를 증명하려고 함 •완전한 행복: 신의 은총에 의해 내세에서 신과 하나 됨을 통해 도달할 수 있음 •덕: 완전한 행복에 이르기 위해서는 지성적 덕(지적 덕)과 품성 적 덕(도덕적 덕)을 갖추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종교적 덕(믿 음, 소망, 사랑)을 실천해야 함 •법: 실정법은 인간의 이성에 의해 인식되는 자연법에 근거하고, 자연법은 신의 의지인 영원법에 근거함

⑸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 ① 종교 개혁 •의미: 중세 교회 및 교황의 권위를 부정하고 성서와 신앙의 우위 를 확립하려는 운동 •발단: 루터가 면죄부 판매의 부당성을 지적하는 ‘95개조 반박문’ 을 발표함 •결과: 그리스도교 교회가 가톨릭(구교)과 프로테스탄트(신교)로 분리되고, 자본주의 발전과 시민 혁명에 중요한 원동력을 제공함 ② 루터의 사상 •신앙주의: 교회의 장엄한 예배 의식보다 개인의 신앙이 중요함 •성서주의: 교회나 교황이 아니라 성서가 그리스도교 진리의 최 고 근거임 •만인 사제주의: 모든 신앙인이 성직자이자 사제임 ③ 칼뱅의 사상 •예정설: 인간의 구원은 신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음 •직업 소명설 - 직업은 신이 우리에게 내린 소명(召命)임 - 직업 노동은 지상에서 신의 영광을 실현하는 수단임 - 근면, 성실한 금욕적 생활을 통해 직업에서 성공하는 것이 신 에 의해 선택받았음을 보여 주는 징표임

2 그리스도교 윤리 ⑴ 그리스도교의 기원 ① 이스라엘의 민족 종교인 유대교에 뿌리를 둠 ② 유대교는 유대인만이 신에게 선택받았다는 선민사상과 율법을 엄격히 지켜야 한다는 율법주의를 특징으로 함

⑵ 예수의 사상 ① 유대교의 배타적 선민의식과 형식적 율법주의를 비판하고, 참된 사랑과 믿음에 의한 영혼의 구원을 강조함 ② 인간관, 구원관, 윤리관

인간관 모든 인간은 신 앞에서 존귀하고 평등하다고 봄

구원관

회개하고 신을 믿는 자는 누구든지 용서와 구원을 받을 수 있 다고 봄

윤리관

•신과 이웃에 대한 절대적이고 조건 없는 사랑을 강조함 •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남을 대접하라.”라는 황금 률을 주장함

⑶ 교부 철학 ① 의미: 중세 초기 그리스도교의 교리를 체계화하는 데 공헌한 교 부들의 사상 및 철학 ② 대표 사상: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 •특징: 플라톤 철학을 활용하여 그리스도교 교리를 체계화함 •신: 최고선이며, 이성적 인식을 넘어서 실존적으로 만나야 할 인 격적인 존재임 •완전한 행복: 신의 은총에 의해 영원하고 완전한 존재인 신과 하 나가 될 때 실현될 수 있음 •악: 인간의 자유 의지와 원죄로 인해 신이 창조한 자연적 본성이 파괴된 상태이며, 단지 선이 결핍된 상태임 •덕: 믿음, 소망, 사랑, 지혜, 용기, 절제, 정의 → 최고의 덕은 사 랑임

⑷ 스콜라 철학 ① 의미: 그리스도교의 교리를 철학적으로 논증하고 합리적으로 설 명하려고 한 중세 후기의 사상 및 철학

• 신학은 철학으로부터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필연적으로 철학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 아니라, 신학이 전달하는 것들을 보다 명백하 게 드러내기 위해서이다. •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한 바와 같이 우리의 행위는 항상 어떤 목적 또는 선을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인간 행위의 궁극적인 목적은 ‘현실적인 행 복’이 아니다. 인간의 최고선은 인간 자신의 ‘완전성’에 있다. 이러한 완전성은 인간이 신과 접촉하고 인간을 위한 신의 계획을 완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 아퀴나스, “신학대전”

아퀴나스는 신학의 토대 위에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수용하여 신학과 철학, 신앙과 이성이 조화될 수 있음을 강조하면서 그리스도교의 교리 를 철학적으로 논증하고 합리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는 인간이 도덕적 덕을 넘어서 종교적 덕과 영원한 행복을 추구해야 한다고 보고, 영 원한 행복은 이성을 통한 이론적 관조와 함께 반드시 신의 은총이 있어야만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아퀴나스의 사상자료와 친해지기

08. 쾌락주의·금욕주의 윤리와 그리스도교 윤리 61

THEME 08

•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네가 바라는 대로 일어나기를 원하지 말고, 오히려 일어나는 일들이 실제로 일어나는 대로 일어나기를 원하라. 그러면 모든 것이 잘되어 갈 것이다. - 에픽테토스, “엥케이리디온” • 기억하라. 너는 작가가 원하는 대로 정해진 연극의 배우이다. 그가 짧기를 원하면 연극은 짧고 그가 긴 것을 원하면 연극은 길다. 네가 거지의 배역을 맡을 것을 작가가 원한다면, 이 역시 성실하게 수행하라. 그가 장애자의 배역을 원하거나, 지배자의 배역을 원하거나, 평범한 사람의 배역을 원하거나 모두 마찬가지이다. 오직 주어지는 배역을 훌륭하게 수행하는 것만이 너의 임무이다. 그러나 배역을 정하는 것은 다른 이의 일이다. - 에픽테토스, “엥케이리디온” • 신들이 하는 일들은 섭리로 가득 차 있다. 운명도 자연의 섭리가 지배하는 복잡한 인과 관계와 무관하지 않다. 만물은 섭리에서 흘러나온다. 자연 전체가 가져다주는 것과 자연 전체를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자연의 모든 부분에도 선하다. - 아우렐리우스, “명상록” • 너 자신이 공동체의 구성 요소이듯, 네 행동도 공동체적 삶의 구성 요소이어야 한다. 따라서 공동체의 목표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 접적으로 아무 관계도 없는 네 행동은 네 삶을 분리시키고 네 삶의 통일성을 깨뜨리고, 마치 민중 사이에서 조화로운 관계를 외면 하고 혼자 떨어져 있는 사람처럼, 반란의 성격을 갖게 될 것이다. - 아우렐리우스, “명상록”

에픽테토스와 아우렐리우스는 스토아학파를 대표하는 사상가들이다. 스토아학파에 의하면 우주 또는 자연은 이성에 의해 지배 되며, 모든 일은 자연의 섭리에 맞게 일어난다. 이런 진리를 알고 있는 사람이 추구해야 할 것은, 무슨 일이 일어나든 그것을 기 꺼이 의무와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꿋꿋하게 참고 견디며 오늘을 충실하게 살아가는 것이다. 심지어 죽음도 태어남과 마찬가지로 당연한 일로 받아들여야 한다. 죽음을 두렵게 생각하는 그 생각 때문에 죽음이 두려운 것이지 죽음 자체가 두려운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한편 스토아학파는 세계 시민주의적 관점에서 공동체에 대한 봉사와 의무를 권장한다.

스토아학파의 사상적 특징은 무엇인가?심화 학습 ·테마 1

• 우리는 믿기 때문에 알았습니다. 알기 때문에 믿은 것이 아니라 믿기 때문에 알았습니다. 분명히 우리는 알기 위해서 믿었습니다. 반대로, 우리가 먼저 알고 나중에 믿으려고 했다면, 우리는 알지도 못하고 믿지도 못했을 것입니다. -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 이데아는 무(無)에서 만물을 창조한 신의 정신 안에 있다. 궁극적 실재는 신이며, 신은 실존적으로 만나야 할 인격적 존재이다. … (중략)… 절제는 신을 위해 자신을 온전하게 지키는 사랑이고, 용기는 신을 위해 모든 것을 기꺼이 인내하는 사랑이며, 지혜는 신 에게 도움이 되는 것과 방해가 되는 것을 잘 분별하는 사랑이고, 정의는 신만을 섬기고 인간이 지배할 수 있는 것들을 잘 통치하 는 사랑이다. - 아우구스티누스, “신국론”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진리 인식은 신과 인격적으로 만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성에 의한 진리 파악은 신을 온전히 받아들 이는 신앙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그런데 그의 ‘알기 위해 믿는다.’는 말은 믿음을 수단으로 삼고 앎을 목적으로 한다는 의미가 아 니라, 믿음을 바탕으로 앎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처음에 플라톤주의적 관점에서 성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점차 플라톤의 가르침을 넘어서는 진리가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그것은 인간을 향한 신의 끝없는 사랑과 은총이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믿음, 소망, 사랑이라는 덕을 갖추어야 플라톤의 4주덕, 즉 지혜, 용기, 절제, 정의도 제대로 지닐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적 입장은 무엇인가?심화 학습 ·테마 2

62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17쪽

029 030 031 032 033 034 035 036 037 038 039 040 041 042 043 044 045 046 047 048 049 050 051 052 053 054 055 056 057 058 059 060 061 062 063 064 065 066 067 068

01 다음을 주장한 고대 서양 사상가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옳은 것은?

• 모든 살아 있는 것들은 태어나자마자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혐오한다. 이는 이성과는 무관하게 본성에 이끌려 그렇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쾌락이 인생의 목적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쾌락이란 방탕한 쾌락이나 관능적인 쾌락을 말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쾌락은 육체적인 고통과 마음의 근심이 없는 상태이다. • 사려 깊고 고상하고 정의롭게 살지 않고서 즐겁게 사는 것은 불가능하며, 반대로 즐겁게 살지 않고서 사려 깊고 고상하고 정의롭게 사는 것도 불가능하다. 덕은 본성적으로 즐거운 삶과 연결되어 있으며, 즐거운 삶 은 덕과 분리할 수 없다.

① 은둔자적인 삶보다는 공적인 삶을 살아야 하는가? ② 세계 시민으로서의 사회적 의무를 중시해야 하는가? ③ 절제하고 검소한 삶보다는 호화롭고 편안한 삶을 추구해야 하는가? ④ 쾌락의 적극적 추구보다 고통과 근심의 제거를 우선시해야 하는가? ⑤ 자연적이지만 필수적이지 않은 욕구도 적극적으로 추구해야 하는가?

7052-0069

02 다음을 주장한 고대 서양 사상가의 관점에만 모두 ‘3’를 표시한 학생은?

•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네가 바라는 대로 일어나기를 원하지 말고, 오히려 일어나는 일들이 실제로 일 어나는 대로 일어나기를 원하라. 그러면 모든 것이 잘되어 갈 것이다. • 기억하라. 너는 작가가 원하는 대로 정해진 연극의 배우이다. 그가 짧기를 원하면 연극은 짧고 그가 긴 것 을 원하면 연극은 길다. 네가 거지의 배역을 맡을 것을 작가가 원한다면, 이 역시 성실하게 수행하라. 그가 장애자의 배역을 원하거나, 지배자의 배역을 원하거나, 평범한 사람의 배역을 원하거나 모두 마찬가지이 다. 오직 주어지는 배역을 훌륭하게 수행하는 것만이 너의 임무이다. 그러나 배역을 정하는 것은 다른 이의 일이다.

학생

관점

갑 을 병 정 무

세계의 질서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삶이 바람직하다. 3 3 3

행위의 옳고 그름은 행위가 가져다주는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3 3 3

세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은 신의 법칙에 의해 필연적으로 일 어난다.

3 3 3

모든 정념을 제거하여 이성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할 때 진정으로 자유롭게 된다.

3 3 3

① 갑 ② 을 ③ 병 ④ 정 ⑤ 무

7052-0070

08. 쾌락주의·금욕주의 윤리와 그리스도교 윤리 63

정답과 해설 17쪽

03 (가)의 갑, 을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탐구하고자 할 때, A ~ C에 들어갈 질문으로 옳은 것은?

(가)

갑: 쾌락은 몸의 고통이나 마음의 혼란으로부터의 자유이므로 행복한 인생의 시작이자 끝이다. 따라서 고통이 나 혼란을 주지 않는 가장 적은 양의 필요를 가진 사람이 가장 큰 기쁨을 느낄 것이다. 을: 공리의 원리는 쾌락과 고통이 우리를 지배함을 인정하고 이것을 전체 체계의 기초로 삼는다. 쾌락이나 고 통은 강도, 지속성, 확실성, 근접성, 생산성, 순수성, 범위 등에 의해 더 커지거나 작아진다.

(나)

윤사02-1

<범 례>

: 판단 내용 : 판단 방향 : 사상가의 입장 : 출발 조건

갑, 을의 입장을 탐구한다.

아니요

갑의 입장 을의 입장

A

B

C

① A: 사회 구성원 전체의 행복 증진이 옳고 그름의 기준인가? ② B: 삶의 진정한 목적은 쾌락의 증가와 고통의 부재인가? ③ B: 정신적 쾌락이 감각적 쾌락보다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쾌락인가? ④ C: 개인적 쾌락을 배제하고 사회 전체의 쾌락을 추구해야 하는가? ⑤ C: 행위에 대한 도덕 판단은 행위의 결과보다 동기에 근거를 두어야 하는가?

7052-0071

04 갑, 을은 고대 서양 사상가들이다. 이들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갑: 몸의 건강과 마음의 평안함이 행복한 삶의 목적이므로 우리는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고통과 두려움을 피 하고자 행동한다. 우리는 쾌락의 부재로 인해 고통을 느낄 때에는 쾌락을 필요로 하지만, 고통을 느끼지 않는다면 더 이상 쾌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런 까닭에 우리는 모든 쾌락을 추구하지는 않으며, 어떤 때에는 많은 쾌락을 지나치기도 한다. 을: 존재하는 것들 가운데 어떤 것들은 우리에게 달려 있는 것들이고, 다른 어떤 것들은 우리에게 달려 있지 않은 것들이다. 우리에게 달려 있는 것들은 판단, 욕구, 혐오 등 우리 자신이 행하는 모든 일이고, 우리에 게 달려 있지 않은 것들은 육체, 명성, 지위 등 우리 자신이 행하지 않는 모든 일이다. 자유롭게 되고자 하 는 사람은 자신에게 달려 있지 않은 것을 원하지도 회피하지도 않아야 한다.

① 갑은 쾌락의 적극적 획득보다 고통의 회피가 우선한다고 본다. ② 갑은 자연적이지도 필수적이지도 않은 욕구를 극복해야 한다고 본다. ③ 을은 정념으로부터 해방되어야 이상적 상태에 이를 수 있다고 본다. ④ 을은 자연의 질서를 파악하여 자신의 운명을 개척해야 한다고 본다. ⑤ 갑, 을은 마음의 평정을 위해 검소하고 절제하는 생활이 필요하다고 본다.

7052-0072

64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5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우리는 믿기 때문에 알았습니다. 알기 때문에 믿은 것이 아니라 믿기 때문에 알았습니다. 분명히 우리는 알 기 위해서 믿었습니다. 반대로, 우리가 먼저 알고 나중에 믿으려고 했다면, 우리는 알지도 못하고 믿지도 못했을 것입니다. • 두 개의 사랑이 두 개의 나라를 만든다. 신을 멸시하기에 이를 만큼 자기만을 사랑하는 지상의 나라와, 자 기를 멸시할 만큼 신을 사랑하는 사랑으로 만들어진 천상의 나라. 전자는 자기 안에서 스스로를 뽐내고, 후 자는 신 안에서 영광을 얻는다.

ㄱ. 감각적 경험에 의지할 때 종교적 진리를 인식할 수 있다. ㄴ. 신은 최고선이며 실존적으로 만나야 할 인격적 존재이다. ㄷ. 오직 신의 은총에 의해서 구원을 얻을 수 있고 완전한 행복에 이를 수 있다. ㄹ. 인간은 자유 의지와 원죄로 인해 신이 창조한 자연적 본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7052-0073

06 그림은 고대 서양 사상가 갑과 중세 서양 사상가 을의 가상 대화이다. 을이 갑에게 제기할 비판으로 가장 적절 한 것은?

인간의 모든 행위는 선을 추구하 며, 인간의 궁극 목적인 최고선(最 高善)은 행복입니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지성적 덕과 품성적 덕을 쌓아야 합니다.

모든 자연적 사물들이 목적을 향해 질서를 가지게 하는 지성적 존재를 신(神)이라 부릅니다. 인간은 신의 은총에 의해 신과 하나가 될 때 진 정한 행복에 이를 수 있습니다.

갑 을

① 유덕한 삶과 행복한 삶이 별개임을 부정하고 있다. ② 행복한 삶을 위해 감정과 욕구의 조절이 필요함을 무시하고 있다. ③ 실천적 지혜가 있어야 무엇이 중용인지 알 수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 ④ 의지의 나약함을 극복해야 유덕한 사람이 될 수 있음을 경시하고 있다. ⑤ 행복을 위해서는 믿음·소망·사랑의 종교적 덕이 필요함을 모르고 있다.

7052-0074

08. 쾌락주의·금욕주의 윤리와 그리스도교 윤리 65

정답과 해설 17쪽

07 다음을 주장한 중세 서양 사상가의 입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이 세상에서 어떤 것들이 움직이고 있다는 것은 확실하며, 이것은 감각을 통해 확인된다. 그런데 움직이는 모 든 것은 다른 어떤 것에 의해 움직여진 것이다. 만일 어떤 것이 움직인다면, 그것은 다른 어떤 것에 의해 움직 여진 것이고, 이것은 또 다른 어떤 것에 의해 움직여진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은 무한히 계속될 수 없다. 왜 냐하면 그럴 경우 최초의 운동자가 없게 될 것이며, 그 결과 어떠한 운동자도 없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 므로 그 무엇에 의해서도 움직여진 것이 아닌 어떤 제1운동자에 필연적으로 도달하게 된다. 이런 존재를 우리 는 신(神)이라 부른다.

① 신의 존재를 이성적으로 논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② 신이 창조한 세계 안에서 인간의 자유 의지는 없다. ③ 인간의 궁극 목적은 절대선 그 자체에 이르는 것이다. ④ 영원한 행복은 인간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⑤ 다른 모든 것을 움직이는 최초의 원인은 존재하지 않는다.

7052-0075

08 갑, 을은 중세 서양 사상가들이다. 이들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갑: 유한한 피조물인 인간이 신의 법칙을 파악하려면 스스로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며, 오직 신의 은총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신은 이성적 인식을 넘어서 실존적으로 만나야 할 인격적 존재이다. 을: 신앙은 신과 관계하고 자연적 이성은 세계의 현실과 관계한다. 신앙과 이성은 모두 신으로부터 나오는 것 이므로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다. 영원한 행복을 위해서는 믿음, 소망, 사랑의 실천이 필요하다.

① 갑은 신을 유일한 실체이며 조화로운 자연 그 자체라고 본다. ② 을은 도덕적 규범의 실천에 의해 신과의 합일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③ 갑은 을과 달리 신과 하나가 될 때 완전한 행복에 이를 수 있다고 본다. ④ 을은 갑과 달리 신앙보다는 이성을 통해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⑤ 갑, 을은 진정한 행복에 이르기 위해 종교적 덕을 추구해야 한다고 본다.

7052-0076

66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9 다음 문서를 발표한 사상가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제 5 조

교황은 자신과 자기 교회가 만든 법을 범한 죄 외에는 어 떠한 죄도 사면할 권한이 없다. 제 21 조

교황의 이름으로 된 면죄부를 사게 되면 죄의 형벌을 면제 받고 구원에 이를 수 있다고 가르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제 36 조

진심으로 회개하는 그리스도인 모두 면죄부 없이도 벌이 나 죄에서 완전히 해방될 수 있다. 제 87 조 이미 전적인 회개를 통해 완전한 구속과 축복을 받은 이들 에게 교황은 또 무엇을 용서하고 무엇을 축복하겠다는 것 인가?

ㄱ. 모든 신앙인이 곧 성직자이자 사제인가? ㄴ. 개인의 신앙보다 교회의 예배 의식이 더 중요한가? ㄷ. 그리스도교의 진리는 교회나 교황이 아니라 성서에 있는가? ㄹ. 교회 생활을 삶의 전체 목적으로 삼으면서 금욕적으로 살아야 하는가?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7052-0077

10 그림은 어느 사상가를 검색한 화면이다. 사상가 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은/는 개신교의 장로교회를 창설한 프랑스 출신의 종교 개혁가이자 신학자 이다. 프로테스탄트 교회의 개혁자로서 개혁주의 신앙과 신학을 수립하였다. 그는 제네바의 종교 개혁 운동에 참여하였는데, 철저한 신권 정치를 지향했 기 때문에 추방당하여 프랑스로 돌아갔다. 그 후 개혁 교회의 목회자로서 신 학교에서 강의를 하며 지내다가 제네바에 다시 초빙되어 인문주의자들의 영 향 아래에 있었던 그곳의 교회 제도를 정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다시 한 번 엄격한 신권 정치를 시도하여 실행에 옮겼다. 그는 성서를 근거로 하여 기존 교회의 권위를 거부하였으며, 사람들이 구원받을 수 있다는 확신을 어 떻게 알 수 있는가에 대한 답변으로서 직업 소명설을 주장하였다.

A

① 신은 관념의 대상일 뿐 실재하지 않는다고 본다. ② 모든 인간에게 영원한 생명이 예정되어 있다고 본다. ③ 금욕적인 생활에서 벗어나 이윤을 추구해야 한다고 본다. ④ 충실한 신앙생활을 통해 신의 예정을 바꿀 수 있다고 본다. ⑤ 직업에서의 성공을 신에 의해 선택받았음을 보여 주는 징표로 본다.

7052-0078

08. 쾌락주의·금욕주의 윤리와 그리스도교 윤리 67

THEME 경험주의와 이성주의0 9

3 경험주의 ⑴ 베이컨의 사상 ① 자연 과학적 지식의 유용성 강조: 자연 과학적 지식을 참된 지식 으로 보고 그러한 지식을 통해 자연을 지배하고 인간의 생활 방 식을 개선할 수 있다고 믿음 → “아는 것이 힘이다.” ② 새로운 진리 탐구 방법 주창: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 논법식 연역 추리 방법을 거부하고, 경험과 관찰을 중시하는 귀납법을 제시함 ③ 우상론 •의미: 자연에 대한 참된 인식을 방해하는 선입견과 편견을 우상 (偶像)에 비유하고 이를 타파할 것을 역설한 이론 •우상의 종류

종족의 우상

사물을 인간의 관점에서만 보려는 경향에서 비롯된 편견  인간의 감각이 만물의 척도이다.

동굴의 우상

개인의 특수한 기질, 경험, 교육 등에서 비롯된 편견  연금술사들은 화덕에서 두어 번 실험해 본 결과 자신들의 공상이 실현될 거라고 믿는다.

시장의 우상

언어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나, 언어의 오용에서 비롯된 편견  ‘행운’, ‘불의 원소’라는 명칭이 있으므로 그것들은 실제로 존재할 것이다.

극장의 우상

잘못된 학설과 그릇된 논증의 규칙에 의해 생기게 된 편견  논리학으로 세계를 파악할 수 있다는 합리파 철학자들의 주장은 무조건 옳다.

우상과 그릇된 관념들은 인간의 정신을 혼미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우 리가 얻을 수 있는 진리조차도 얻지 못하게 만든다. 그러므로 인간이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용의주도하게 그러한 우상들로부터 자신 을 지키지 않는 한 학문을 혁신하려고 해도 곤경에 빠지고 말 것이다. …(중략)… 우상들을 몰아낼 수 있는 유일한 대책은 참된 귀납법으로 개념과 공리를 형성하는 것이다. - 베이컨, “신기관”

⑵ 홉스의 사상 ① 유물론: 인간을 비롯한 세상 만물은 물질로 구성되어 있음 → 인 간도 물리 법칙의 지배를 받는 존재임 ② 인간관: 인간은 자기 보존 본능으로 인해 본성상 이기적일 수밖 에 없는 존재임

1 근대 서양 윤리 사상의 등장 배경

르네상스

개성을 존중하고 현실을 중시하며, 합리적 사고와 경험을 중시하는 사고방식을 확산시킴

종교 개혁

가톨릭의 권위주의적 전통을 무너뜨리고 개인의 신앙의 자유를 중시하는 분위기를 형성함

자연 과학의 발달

기존의 형이상학적이거나 신학적인 세계관을 대체하는 새 로운 세계관을 제공함

2 근대 서양 윤리 사상의 두 유형: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⑴ 경험주의 ① 지식의 원천: 감각적 경험 → 관찰이나 실험을 통해 얻은 지식을 중시함 ② 진리 탐구 방법: 귀납법 ③ 도덕적 선의 근거: 욕구나 감정 ④ 대표자: 베이컨, 홉스, 흄

⑵ 이성주의 ① 지식의 원천: 이성 → 이성에 의한 논리적 추론을 통해 얻은 지 식을 중시함 ② 진리 탐구 방법: 연역법 ③ 도덕적 행위의 근거: 이성 ④ 대표자: 데카르트, 스피노자

⑶ 귀납법과 연역법

구분 귀납법 연역법

의미

개별적인 사실들에 대한 관찰 과 실험을 통해 일반적인 원리 를 찾아내는 방법

자명한 원리로부터 논리적으로 추론하여 개별적인 이치를 알 아내는 방법

한계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에 빠 질 수 있음 •

높은 개연성을 지닌 지식은 제공할 수 있으나 필연적 진 리를 정립할 수 없음

새로운 지식의 확장을 가져 다주지 않음 • 경험적 검증을 경시함으로써 공허하거나 사변적인 추론이 될 수 있음

진리를 발견하는 데는 오직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감각과 개별자에서 출발하여 일반적인 명제에 도달한 다음, 그것을 제1원리로 혹은 논쟁의 여 지없는 진리로 삼아 중간 수준의 공리(公理)를 이끌어 내거나 발견하는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감각과 개별자에서 출 발하여 지속적으로, 그리고 점진적으로 상승한 다음, 궁극적으로 가장 일반적인 명제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지금까지 시도된 바가 없지만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과학적’ 방법이다. - 베이컨, “신기관” -

베이컨은 중세까지 서양 학문을 주도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진리 탐구 방법을 거부하고 과학의 실험 정신에 근거하여 새로운 진리 탐구의 방법 을 제시하였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 논법식 연역 추리로는 결코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없다고 보았고, 대안으로 경험과 관찰을 통해 새 로운 인식에 이르도록 하는 귀납법을 제시하였다.

베이컨의 학문 방법론자료와 친해지기

68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당신이 어떤 행동을 보고 유덕하다고 단언할 때, 당신이 의미하는 바는 당신이 그 행동을 보고 만족의 느낌을 갖는다는 것뿐이다. 바로 이 느 낌이 우리의 칭찬과 찬미를 구성한다. 당신이 어떤 행동을 부덕하다고 단언할 때, 당신이 의미하는 바는 당신이 그 행동을 보고 비난의 느낌 을 갖는다는 것뿐이다. 우리는 만족이나 비난의 원인을 더 이상 논의할 수 없고 탐구할 수도 없다. - 흄,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② 회의주의적 인식론: 인과 관계는 우리가 반복적으로 관찰함으로 써 알게 된 것일 뿐이며 우리는 원인과 결과의 실제적 결합을 알 수 없음. 자아에 대한 인식도 감각적 지각일 뿐이며 우리는 자아 그 자체를 알 수 없음 ③ 영향: 사회적 차원의 이익을 부각시키는 계기를 제공함으로써 공리주의 윤리 사상의 모태가 됨

4 이성주의 ⑴ 데카르트의 사상 ① 감각적 경험 비판: 감각적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은 주관적이고 단편적이어서 명백한 진리로 믿을 수 없음 → 이성적 추론을 통 해서 얻은 지식만이 확실하고 참된 지식임 ② 방법적 회의(懷疑): 확실한 지식을 연역해 내기 위해서는 절대로 의심할 수 없는 명제를 그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보고 이러 한 명제를 찾기 위해 의심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의심해 보는 것 ③ 철학의 제1원리: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 모든 것을 의심할 수 있지만 의심(생각)하고 있는 내가 존재한다 는 명제는 의심할 수 없음

나는 진리 탐구를 위해 조금이라도 의심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되는 것 을 모두 버림으로써 전혀 의심할 수 없는 어떤 것이 내 생각 속에 남아 있을 수 있는지를 보기로 했다. …(중략)… 그러나 이 모든 것이 거짓이 라고 내가 생각하고 있는 바로 그 순간에도, 그렇게 의심하기 위해서 는 의심하고 있는 나 자신은 있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나는 생각 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진리는 아주 확고부동하기 때문에 회의론자들의 모든 가정들에 의해서도 흔들릴 수 없는 것임을 인식하 고, 나는 주저 없이 그것을 내가 찾고 있던 철학의 제1원리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 데카르트, “방법 서설”

④ 의의: 근대 이성주의적 사고의 전형

③ 윤리적 이기주의: 인간은 자신의 이익을 윤리적 행위의 유일한 기준으로 삼음 → ‘누구나 자신의 이익을 가장 많이 증진시키는 행동을 해야 한다.’라는 당위나 권고를 담고 있는 이론임 ④ 사회 계약론 •자연 상태에서 인간들은 각자 자신의 생존과 이익만을 추구하 며, 그 결과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상태에 빠짐 •자연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 사람들은 계약을 맺어서 법과 규범 을 만들고 이를 집행하기 위한 정부를 세우게 됨 •법규가 제대로 지켜지도록 하고 법규의 위반자를 엄격히 제재하 기 위해 군주에게 절대적인 권력을 부여해야 함. 그러나 국가나 군주의 절대적인 권력은 인민의 자기 보존권을 침범할 수 없으 며, 인민을 보호할 능력이 없어지면 국가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 지 못하게 됨

우리를 외적의 침입과 서로 간의 상해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공통의 권 력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우리가 우리 자신의 노력과 대지에서 얻은 수확물을 가지고 번성하고 만족스럽게 살아가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우리 모두의 권력과 힘을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의 집합체에 양도하 고, 우리 모두의 의지를 하나의 의지로 만드는 것이다. …(중략)… 이를 통하여 우리는 우리들의 의지가 그의 의지에, 우리들의 판단이 그의 판 단에 복종하도록 해야 한다. - 홉스, “리바이어던”

⑶ 흄의 사상 ① 감정 중시 윤리설 •도덕적 행위를 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이성이 아니라 감정 임. 다시 말해 감정은 도덕적 실천의 동기가 될 수 있지만 이성 은 그렇지 못함 → “이성은 감정의 노예이고 또한 노예이어야만 한다. 이성은 감정에 봉사하고 복종하는 것 외의 다른 어떤 직무 도 탐내서는 안 된다.” •선악은 이성적으로 판단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행위를 바라볼 때 느끼는 사회적 시인(是認)의 감정이나 부인(否認)의 감정을 표현한 것임 → 사회적 시인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행위는 선한 행위이고 부인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행위는 악한 행위임 •모든 사람은 타인의 행복이나 불행을 함께 느끼는 공감 능력을 지니고 있음 → 모든 사람이 지니고 있는 공감 능력이 도덕성의 기초임

모든 사람들을 떨게 만드는 공통의 권력이 없는 상태에서 사는 한, 인간은 누구나 전쟁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은 전쟁은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 쟁’이라고 할 수 있다.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 상태에서는 그 어떤 것도 부당한 것이 될 수 없다. 그곳에는 옳고 그름의 관념, 정의와 불의라는 관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공통의 권력이 없는 곳에는 법률도 존재하지 않으며, 법률이 존재하지 않는 곳에는 불의도 존재하지 않는다. - 홉스, “리바이어던”

홉스의 자연 상태는 문명이 발전하기 이전의 상태라기보다 인간 모두를 두렵게 하는 ‘공통의 권력’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 즉 사회가 구성되기 이 전의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홉스에 따르면 자연 상태의 인간은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 상태’에 놓이게 된다.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 상태에서 는 옳고 그름, 정의와 불의라는 관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나쁜 것은 지속적인 공포와 폭력에 의한 죽음의 위험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홉스에 따르면 자연 상태에서 인간의 삶이란 고독하고 비참하며 잔인하고 짧다.

홉스의 자연 상태자료와 친해지기

09.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69

www.ebsi.co.kr

5 경험주의와 이성주의의 영향 ⑴ 경험주의의 영향 ① 도덕의 불변성이나 이상의 추구보다는 현실적 문제의 해결과 사 회적 이익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사상에 영향을 줌 ② 지식과 도덕에 있어서 인간의 경험과 유용성을 강조하는 입장은 미국 실용주의 윤리의 뿌리가 됨 ③ 홉스의 사회 계약론은 이후의 국민 주권 사상과 근대적 시민 국 가 형성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함 ④ 흄의 윤리 사상은 사회적 시인의 감정을 강조하고 사회적 차원의 이익을 중시함으로써 공리주의 윤리 사상의 발판을 마련함

⑵ 이성주의의 영향: 실천 이성에 근거해서 보편적인 도덕 법칙을 수립하고자 노력한 칸트의 윤리 사상에 큰 영향을 줌

⑶ 경험주의와 이성주의의 장단점

구분 경험주의 이성주의

장점

인간의 욕구와 경험을 긍정 하고, 현실 문제 해결에 도움 을 줄 수 있음 •

이성의 독단에 빠질 위험성 을 방지해 줄 수 있음

도덕의 보편적 기준을 확고 히 해 줌 • 도덕적 상대주의나 회의주의 에 빠질 가능성을 차단해 줄 수 있음

단점

도덕적 상대주의나 회의주의에 빠질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

도덕에 있어서 감정이나 경험의 역할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음

⑷ 경험주의와 이성주의에 대한 올바른 이해 ① 경험과 이성 또는 감정과 이성을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생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② 도덕적 행동과 관련하여 경험과 이성은 상호 의존적이거나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놓여 있음

⑵ 스피노자의 사상 ① 범신론: 신은 세계 자체이자 자연임

생산하는 자연[能産的 自然(능산적 자연)]은 그 자체 안에 존재하며 그 자신에 의해서 파악되는 것, 또는 영원하고 무한한 본질을 표현하는 실 체의 속성, 즉 신으로 이해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비해 생산된 자연 [所産的 自然(소산적 자연)]은 신의 본성이나 신의 각 속성의 필연성에 서 생기는 모든 것, 즉 신 안에 존재하며 신 없이는 존재할 수도 파악될 수도 없는 것, 다시 말해 신의 속성의 모든 양태(樣態)로 이해되어야 한 다. - 스피노자, “윤리학” -

② 필연론: 우주는 수학적 질서에 따라 움직이는 하나의 거대한 기 계이며, 세계의 모든 일은 원인과 결과로 필연적으로 연결됨 → 필연성에서 벗어나 자유 의지를 가지는 것은 불가능함 ③ 이성주의적 덕론: 이성은 인간의 본질적 특성이며, 이러한 이성 을 통해 신 또는 자연을 인식할 수 있음 → 신 또는 자연을 이성 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최고의 덕이며, 이는 곧 자연에 대한 이성 적 관조를 통해 모든 사물의 궁극적인 원인과 질서를 인식하는 것이자 신을 지적으로 사랑하는 것임 ④ 행복과 최고선: 자연에 대한 이성적 관조를 통해 모든 사물의 궁 극적인 원인과 이 원인으로부터 사물들이 발생하는 필연적인 인 과 질서를 인식함으로써 도달하게 되는 마음의 안정과 평화가 행 복이며, 이것이 인간에게 가능한 유일한 최고선임

정신이 인식할 수 있는 최고의 것은 신이다. 그러므로 정신의 최고의 이익, 즉 최고의 선은 신을 인식하는 것이다. 그리고 정신은 인식하는 한에서만 작용하며 또한 그런 한에서만 덕에 따라 작용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정신이 인식할 수 있는 최고의 것은 신이다. 그러므로 정 신의 최고의 덕은 신을 파악하는 것 또는 신을 인식하는 것이다. - 스피노자, “윤리학” -

삶에서 무엇보다 유익한 것은 가능한 한 지성이나 이성을 완전하게 하는 것이며, 오로지 이것에 인간의 최상의 행복[지복(至福)]이 있다. 최고의 행복이 란 신에 대한 직관적 인식에서 생기는 정신의 만족이다. 그리고 지성을 완전하게 하는 것은 신의 본성의 필연성에서 생기는 활동을 파악하는 것에 불과 하다. 그러므로 이성에 따라 인도되는 인간의 궁극 목적, 즉 그로 하여금 여타의 모든 욕망을 통솔하게끔 하는 최고의 욕망은 그 자신과 그의 인식에 속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타당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 스피노자, “윤리학”

스피노자가 추구한 최고의 행복은 모든 존재자를 생산한 근원, 즉 신을 통해서 성취될 수 있다. 이때의 신은 자연을 창조한 인격적 신이 아니라 스스로가 자신의 존재의 원인인 자연 그 자체를 의미한다. 우주의 참된 질서, 즉 자연의 본질을 인식하고 이것으로부터 우리 자신과 사물들이 발 생한 필연적인 인과 질서를 이성적으로 인식하고 받아들일 때, 우리는 신과의 합일을 깨닫고 우주의 다른 존재자들과 진정한 유대를 형성하며 최 고의 행복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스피노자의 관점은 만물의 원인인 신을 이성적 관조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는 입장에 근거한다.

스피노자가 추구한 ‘최고의 행복’자료와 친해지기

70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THEME 09

• 덕과 악덕은 이성만으로는 발견될 수 없다. 우리는 덕과 악덕이 유발하는 인상이나 소감을 통해서만 덕과 악덕의 차이를 확정할 수 있다. 덕에서 발생하는 인상은 호의적이며, 악덕에서 발생하는 인상은 거북하다. 도덕적 선악은 인상들을 구별함으로써 알 수 있으며, 인상들을 구별하는 것은 다름 아닌 특정한 고통과 쾌락일 뿐이다. …(중략)… 그러므로 보다 정확히 말해서 도덕성은 판 단되기보다 오히려 느껴진다. - 흄,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 만약 유용성이 도덕적 감정의 근원이라면 그리고 이 유용성이 항상 자기 자신과 관련해서만 고려되는 것이 아니라면, 이로부터 사회 전체의 행복에 기여하는 모든 것은 그 자체로 곧바로 우리의 시인(是認)을 받으며 선한 의지가 그것을 추천한다는 사실이 도 출된다. - 흄, “도덕 원리에 관한 연구” • 도덕은 모든 인류에게 공통적인 어떤 정서를 함축하는데, 이는 동일한 대상을 우리 모두가 일반적으로 시인하도록 만들며 모든 사람이, 아니 대부분의 사람이 대상과 관련된 의견과 판단의 일치를 보이도록 만든다. 도덕은 또한 매우 보편적이고 포괄적이어 서 모든 인류에게 확장될 수 있는 정서를 함축하며, 우리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의 행위나 행동조차도 우리의 칭찬 또는 비난의 대상이 되도록 만든다. - 흄, “도덕 원리에 관한 연구”

흄은 고대에서 근대까지 이어져 온 이성주의적 윤리설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다시 말해 그는 “이성으로 감정을 지 배해야 한다.”라는 명제를 자명한 것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그가 보기에 이성은 그 자체만으로는 어떤 의지 활동의 동기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는 우리의 도덕성이 일종의 감정, 즉 도덕감(moral sense)으로 발생한다고 보았다. 그에 따르면 우리는 시인 (是認)의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행위를 선하거나 옳다고 하며 부인(否認)의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행위를 악하거나 그르다고 평가 한다. 그러므로 도덕성은 판단되기보다는 느껴진다고 말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흄은 공감을 통해 쾌감을 느낄 때 바로 그것이 선이라고 주장하면서 공감을 통해 이기심을 억제하고 객관적인 도덕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흄의 윤리 사상은 개인의 이익과 사회 전체의 이익을 조화시키고자 한 공리주의 윤리 사상의 모태가 되었다.

흄의 주정주의(主情主義) 윤리 사상의 특징은 무엇인가?심화 학습 ·테마 1

• 진리 탐구를 위해서는 조금이라도 의심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모든 것을 버리고 명증적으로 참되다고 안 것 외에는 어떤 것도 참 된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아야 한다. 즉 속단과 편견을 조심하여 피해야 하며 의심할 여지가 조금도 없을 정도로 아주 명석하게 또 아주 판명하게 내 정신에 나타나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내 판단 속에 넣지 않아야 한다. • 물체들은 감각이나 상상의 능력에 의하여 파악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이성에 의하여 파악된다. 그러므로 나는 내 정신보다도 더 쉽게 그리고 명증적으로 나에게 파악되는 것은 하나도 없다는 것을 분명히 인식한다. …(중략)… 따라서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 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는 반드시 참이다. - 데카르트, “방법 서설”

데카르트는 더 이상 의심할 수 없이 확실한 인식의 출발점을 확보하려고 하였다. 데카르트에 따르면 철학의 제1원리는 수학의 공리와 마찬가지로 의심의 여지가 전혀 없는 확실한 명제이어야 하므로 조금이라도 의심이 가능한 것은 제1원리로서의 자격이 없다. 그래서 그는 의심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의심해 보았다. 이를 일컬어 ‘방법적 회의’라고 한다. 그 결과 그는 마침내 더 이상 의심할 수 없는 한 가지 사실에 이르게 되었는데, 그것은 바로 “의심(생각)하고 있는 내가 있다.”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를 ‘철학의 제1원리’로 확정하였다.

데카르트의 ‘철학의 제1원리’는 무엇인가?심화 학습 ·테마 2

09.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71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19쪽 01 다음 입장을 지닌 사상가가 지지할 견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우리가 새로운 진리를 찾아내지 못하는 까닭은 의심스러운 명제를 확실한 출발점으로 삼고 이러한 전제 자 체를 관찰 또는 실험에 의해 검토하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확신을 가지고 시작한 자는 결국 회의 (懷疑)에 빠지고, 회의를 가지고 시작한 자는 확신을 갖게 된다. • 꿀벌은 중용을 취한다. 즉 들에 핀 꽃에서 재료를 구해다가 자신의 힘으로 변화시켜 소화한다. 참된 학문의 임무는 이와 비슷하다. 참된 학문은 경험이나 실험을 통해 얻은 재료를 지성의 힘으로 변화시켜 소화해야 하는 것이다.

① 경험적 관찰과 실험을 진리 인식의 토대로 삼아야 한다. ② 학문의 목표를 자연법칙을 밝히고 자연을 보호하는 데 두어야 한다. ③ 자연에 대한 참된 인식을 위해 개인의 특수한 경험에 의존해야 한다. ④ 자명한 원리로부터 논리적 추론을 통해 자연의 이치를 파악해야 한다. ⑤ 참된 지식을 얻기 위해 지식의 유용성을 중시하는 자세를 버려야 한다.

7052-0079

02 (가)를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에 들어갈 진술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

“인간의 감각이 만물의 척도다.”라는 주장을 생각해 보자. 이것은 물론 그릇된 주장이지만, 인간의 모든 지각 은 인간 자신을 준거로 삼기 쉽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 주는 말이다. 표면이 고르지 못한 거울은 사물을 그 본 모습대로 비추는 것이 아니라 사물에서 나오는 반사 광선을 왜곡하고 굴절시키는데, 인간의 지성이 꼭 그와 같다. 인간성 그 자체에, 인간이라는 종족 그 자체에 뿌리박고 있는 ‘우상(偶像)’이 있는 것이다.

(나)

자연에 대한 참된 인식을 가지 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① 언어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나 오용을 바로잡아야 합니다. ② 위대한 학자의 견해에 대해 절대적인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 ③ 사물을 인간의 관점에서만 보려는 경향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④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관습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⑤ 개인의 특수한 기질이나 교육 등에서 비롯된 편견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7052-0080

72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3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자연은 인간을 신체적인 부분과 정신적인 기능에 있어서 평등하게 만들었다. 이런 능력의 평등으로부터 동일 한 목적을 얻고자 하는 똑같은 희망이 생기게 된다. 두 사람이 모두 동일한 대상을 소유하고 싶은 욕구를 가 지나 양이 충분하지 못해 서로 만족할 수 없을 때 두 사람은 적이 된다. …(중략)… 따라서 모든 사람을 떨게 만드는 공통의 권력이 없는 동안 사람들은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 같은 전쟁 상태에 놓이게 된다.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 상태에서는 부정의한 것이 아무것도 없다. 옳고 그름, 정의와 불의 같은 개념들은 전쟁 상 태에서는 설 자리가 없다. 공통의 권력이 없는 곳에서는 법이 없으며, 법이 없는 곳에서는 부정의도 없다. 전 쟁 상태에서는 소유권도 지배권도 없으며, 내 것과 네 것의 구분도 없다.

① 인간을 비롯한 세상 만물은 정신으로부터 파생되는가? ② 인간은 타인의 이익 증진을 윤리적 행위의 기준으로 삼는가? ③ 인간은 자기 보존 본능으로 인해 본성상 선할 수밖에 없는가? ④ 자연 상태는 자유롭고 평등한 개인들로 이루어진 평화로운 상태인가? ⑤ 인간은 이기적이지만 자발적인 계약에 의해 국가를 수립할 수 있는가?

7052-0081

04 (가)의 관점을 지닌 사상가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퍼즐 속 세로 낱말 (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공통의 권력을 수립하는 유일한 방법은 자신의 모든 권리와 힘을 한 사람 또는 하나의 합의체에 양도하는 것 이다. 다시 말해 한 사람 혹은 하나의 합의체를 지정해 자신들의 인격을 떠맡게 하는 것이다. 이 말은 단순한 의견 일치 그 이상을 의미한다. 이것은 만인이 만인을 상대로 계약을 맺어 결정된 진정한 통일을 의미하기 때 문이다.

(나)

(A)

(B)

[가로 열쇠] (A): 애덤 스미스의 대표적인 저서로, 개인의 자유로운 이익 추구가 사회 전체의 부를 증가시킨다는 주장이 담 겨져 있음 (B): 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 활약한 여러 학자들과 수많은 학파를 총칭하여 이르는 말

[세로 열쇠] (A): …… 개념

①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상태가 이루어지게 한다. ② 구성원들의 자연권을 양도받아 절대 권력을 지닌다. ③ 인간의 사회적 본성으로 인해 자연 발생적으로 생긴다. ④ 구성원들의 자기 보존권을 언제든지 침범할 수 있다. ⑤ 국민들로 하여금 아무런 제약 없이 정치적 자유를 누리게 한다.

7052-0082

09.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73

정답과 해설 19쪽

05 (가)를 주장한 사상가가 (나)의 ‘A’의 행위에 대해 내릴 도덕적 판단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덕과 악덕은 이성만으로는 발견될 수 없다. 우리는 덕과 악덕이 유발하는 인상이나 느낌을 통해서만 덕과 악 덕의 차이를 확정할 수 있다. 덕에서 발생하는 인상은 호의적이며, 악덕에서 발생하는 인상은 거북하다. 도덕 적 선악은 인상들을 구별함으로써 알 수 있으며, 인상들을 구별하는 것은 다름 아닌 특정한 고통과 쾌락일 뿐 이다.

(나)

A는 뉴스에서 내전으로 인해 난민이 된 사람들이 끼니조차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고 불쌍한 마음 이 들어 성금을 보냈다.

① 무조건적인 정언 명령을 따르는 행위가 아니므로 도덕적이지 않다. ② 의무 의식이 동기가 되어 자율적으로 이루어진 행위이므로 도덕적이다. ③ 사람들에게 시인(是認)의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행위이므로 도덕적이다. ④ 객관적으로 실재(實在)하는 도덕적 가치를 추구한 행위이므로 도덕적이다. ⑤ 실천 이성의 명령이 아닌 동정심에서 비롯된 행위이므로 도덕적이지 않다.

7052-0083

06 근대 서양 사상가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갑: 만약 유용성이 도덕적 정서의 근원이라면 그리고 이 유용성이 항상 자기 자신과 관련해서만 고려되는 것 이 아니라면, 이로부터 사회 전체의 행복에 기여하는 모든 것은 공감을 통해 우리의 시인을 받는다. 을: 유용성의 원리는 어떤 행위가 행복을 증진시키는가, 아니면 그렇지 않은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행위가 공 동체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경향이 행복을 감소시키는 경향보다 더 클 때 유용성의 원리에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① 갑은 공감의 능력을 도덕성의 기초로 본다. ② 갑은 이성이 도덕적 실천의 직접적 동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③ 을은 개개인의 행복이 사회 전체의 행복과 연결된다고 본다. ④ 을은 행복이란 쾌락이며 고통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고 본다. ⑤ 갑, 을은 사회적 차원의 유용성을 추구해야 한다고 본다.

7052-0084

74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7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갑은 삼단 논법식 연역 추리 방법에 따라 진리를 탐구해야 한다고 본다. ② 갑은 의심할 수 없는 명제를 출발점으로 삼아 확실한 지식을 추론해야 한다고 본다. ③ 을은 모든 지식이 의심 가능하므로 의심할 수 없는 확실한 지식은 없다고 본다. ④ 을은 감각적 경험에 의한 지식은 주관적이어서 확실한 지식이 될 수 없다고 본다. ⑤ 갑, 을은 자연이 인간과 동등한 가치를 지니는 살아 있는 유기체라고 본다.

7052-0085

08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가 을에게 제기할 적절한 비판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이성은 참이나 거짓을 발견하는 능력이다. 참이나 거짓은 관념들의 실제 관계 혹은 실제 존재와 사실에 대한 일치와 불일치에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일치와 불일치의 여지가 없는 것은 무엇이든 참이거나 거짓일 수 없 고, 결코 우리 이성의 대상일 수도 없다. 그런데 명백하게 정념과 의욕, 그리고 행동은 이와 같은 일치와 불일 치의 여지가 없다. 이성은 정념을 고무함으로써 어떤 행동을 유발하는 간접 원인일 수는 있지만 그 자체로는 행동을 유발할 수 없고, 어떤 행동이 칭찬을 받거나 비난을 받을 수는 있어도 합리적이거나 비합리적일 수는 없다. 따라서 정념과 의욕 그리고 행동은 이성의 대상이 될 수 없으므로 참이거나 거짓이라고 단언될 수 없 고, 이성과 상반되거나 부합될 수도 없다.

ㄱ. 선악은 이성적으로 판단되는 것임을 간과하고 있다. ㄴ. 이성은 감정의 노예이고 노예이어야만 한다는 점을 모르고 있다. ㄷ. 이성적 추론을 통해서 얻은 지식만을 인정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ㄹ. 절대로 의심할 수 없는 명제를 출발점으로 삼아 진리를 탐구해야 함을 모르고 있다.

보기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7052-0086

[07~08] 갑, 을은 근대 서양 사상가들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갑: 진리를 발견하는 데는 오직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감각과 개별자에서 출발하여 일반적인 명제에 도 달한 다음, 그것을 제1원리로 혹은 논쟁의 여지없는 진리로 삼아 중간 수준의 공리(公理)를 이끌어 내거나 발견하는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감각과 개별자에서 출발하여 지속적으 로, 그리고 점진적으로 상승한 다음, 궁극적으로 가장 일반적인 명제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지금까지 시 도된 바가 없지만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과학적’ 방법이다. 을: 진리 탐구를 위해서는 조금이라도 의심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모든 것을 버리고 명증적으로 참되다고 안 것 외에는 어떤 것도 참된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아야 한다. 즉 속단과 편견을 조심하여 피해야 하며 의심 할 여지가 조금도 없을 정도로 아주 명석하게 또 아주 판명하게 내 정신에 나타나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내 판단 속에 넣지 않아야 한다.

09.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75

정답과 해설 19쪽

09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가 지지할 주장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모든 것을 의심하고자 하는 사람도, 그가 의심하고 있는 동안은 자기가 있다는 것을 의심할 수 없다는 것, 그 리고 자기 자신에 대하여는 의심할 수 없으면서도 나머지 모든 것을 의심하는 것은 우리의 신체가 아니라 우 리들의 정신 혹은 우리들의 생각임을 고찰하고, 이 생각의 존재 즉 현존을 제1원리로 삼아, 이것으로부터 다 음과 같은 것들을 연역하였다. 즉 한 신이 있으며 그는 세계에 있는 모든 것의 지은이요, 또 모든 진리의 원천 이므로 우리들의 지성이 내리는 판단에 있어서 잘못을 저지를 수 있는 성질의 것은 결코 창조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것들로부터 나는 명백하게 물질적 사물들의 원리들, 즉 길이와 넓이 및 높이에 있어서 연장된 물체 들이 있으며, 이것들은 갖가지 모양을 가지고 있고 또 갖가지 모양으로 운동한다는 것을 연역하였다.

ㄱ. 연역적 방법을 통해 확실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ㄴ. 인식의 출발점을 찾으려면 방법적 회의가 필요하다. ㄷ. 사유하는 주체의 확실성은 관찰과 경험을 통해 확보된다. ㄹ. 세계에는 정신과 물질이라는 서로 다른 실체가 존재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7052-0087

10 (가)의 갑, 을 사상가들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표현할 때, A ~ C에 해당하는 적절한 진술만을 <보기>에서 있 는 대로 고른 것은?

(가)

갑: 신은 무한한 선이며, 인간의 궁극 목적은 신과 하나가 되는 것이다. 신앙과 이성은 둘 다 신에게서 나오기 때문에 모순될 수가 없다. 우리는 믿기 위해 이해한다. 을: 신은 무한한 속성을 지닌 유일한 실체이다. 모든 것은 일정한 방식으로 존재하고 작용하게끔 신의 본성의 필연성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우리는 신의 유한한 양태이다.

(나)

A: 갑만의 입장 B: 갑, 을의 공통 입장 C: 을만의 입장 <범 례>

갑 을 갑 을

A A B B C C

ㄱ. A: 신은 창조주로서 자연보다 우월한 존재이다. ㄴ. B: 신의 존재는 이성에 의해서 인식될 수 있다. ㄷ. B: 종교적 덕을 실천해야 완전한 행복을 얻게 된다. ㄹ. C: 신은 인격적 존재가 아니라 세계 자체이자 자연이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7052-0088

76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11 (가)를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에 들어갈 진술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

• 사물의 본성에는 어떤 것도 우연적으로 주어진 것이 없으며, 모든 것은 일정한 방식으로 존재하고 작용하 게끔 신적 본성의 필연성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 현자(賢者)는 영혼의 흔들림이 거의 없이 자신과 신과 사물을 어떤 영원한 필연성에 의해서 인식하며 언제 나 영혼의 참다운 만족을 얻는다. • 이 세상에는 오직 하나의 실체만이 존재하는데, 이는 신 또는 자연과 동일한 것이다. 우리 인간도 단지 전 체의 한 부분에 지나지 않으며, 우리의 본성은 항상 전체의 법칙들에 의해서 결정된다.

(나) ㉠ 그러면 진정한 자유를 누릴 것이다.

① 모든 것을 이성적으로 관조하라. ② 신 또는 자연을 지적으로 사랑하라. ③ 자신의 정신을 우주와 하나가 되게 하라. ④ 모든 사물의 궁극적인 원인과 질서를 인식하라. ⑤ 자연의 필연적 법칙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유 의지를 발휘하라.

7052-0089

12 갑은 고대 서양 사상가이고, 을은 근대 서양 사상가이다. 이들이 공통으로 강조하는 삶의 태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인간의 본성에 맞지 않는 사건은 인간에게 일어날 수 없다. 소의 본성에 맞지 않는 사건이 소에게 일어날 수 없고, 포도나무의 본성에 맞지 않는 사건이 포도나무에게 일어날 수 없는 것이다. 누구에게나 통상적 이고 자연스러운 일이 일어나는 것인데, 어떻게 우리가 자신의 숙명에 불만을 가질 수 있겠는가? 자연은 우리에게 우리가 감당할 수 없는 것은 가져다주지 않는다. 을: 삶에서 무엇보다 유익한 것은 가능한 한 지성이나 이성을 완전하게 하는 것이며, 오로지 이것에 인간의 최 상의 행복, 곧 지복(至福)이 존재한다. 지복이란 신에 대한 직관적 인식에서 생기는 정신의 만족이다. 그 리고 지성을 완전하게 하는 것은 신의 본성의 필연성에서 생기는 활동을 파악하는 것에 불과하다.

① 공적인 생활을 피하고 은둔 생활을 영위한다. ② 이성적 각성을 통해 주어진 운명을 개척한다. ③ 인격신의 은총을 중시하며 금욕적인 생활을 유지한다. ④ 자연의 필연적 질서를 인정하고 이성에 따라 살아간다. ⑤ 이성을 통해 모든 정념을 제거하여 마음의 평화를 얻는다.

7052-0090

09.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77

THEME 공리주의와 칸트주의10

⑵ 고전적 공리주의의 기본 입장

인간관 인간은 누구나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려는 존재임

윤리관

•쾌락은 선이고 고통은 악임 •행복(고통의 부재 또는 쾌락)이 삶의 목적임

도덕의 원리

‘최대 행복의 원리(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또는 ‘공리의

원리’

⑶ 벤담의 양적 공리주의 ①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도덕과 입법의 원리로 제시함 → 자신 뿐만 아니라 관련된 당사자들에게 최대의 쾌락을 주는 행위를 승 인하는 원리인 공리의 원리를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 으로 삼아야 한다고 봄 ② 양적 공리주의 •모든 쾌락은 질적으로 같다고 보고 쾌락의 양적인 차이를 중 시함 •쾌락을 양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강도, 지속성, 확 실성, 근접성, 다산성, 순수성, 범위)을 제시함 ③ 벤담의 공리주의의 특징 •관련된 모든 당사자들의 행복을 공평하게 고려하라고 요구함으 로써 개인의 행복과 사회 전체의 행복을 조화시키려고 함 •당시의 노예 제도, 여성의 종속, 동물 학대 등을 비판하고 공리 의 원리에 맞게 개혁할 것을 역설함 •도덕의 목적이 행복의 증진에 있음을 분명히 하였으며, 도덕을 과학화해야 한다는 요구를 반영하려고 함 •쾌락의 질적 차이를 무시함으로써 ‘배부른 돼지의 철학’을 추구 하는 천박한 철학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함

⑷ 밀의 질적 공리주의 ① 벤담의 기본 입장(쾌락주의, 공리의 원리 강조 등)을 계승함 ② 질적 공리주의 •쾌락에는 질적인 차이가 있으며 쾌락의 양만이 아니라 질적인 차이도 고려해야 함

1 결과론적 윤리의 특징 ⑴ 결과론적 윤리의 관점과 주요 과제 ① 결과론: 행위의 옳고 그름을 행위의 결과에 따라 평가하려는 윤 리 이론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는 행동을 하는 것이 옳다 고 주장함 •좋은 결과를 낳는 것이 선한 의도를 가지고 행위하는 것이나 도 덕 법칙에 따라 행위하는 것보다 도덕적으로 더 가치 있는 일이 라고 봄 ② 결과론의 주요 논의 주제 •어떤 결과를 좋은 결과로 볼 것인가? → 대체로 행복을 좋음의 기준으로 제시함 •누구에게 좋은 결과를 산출하는가? → 자기 행복의 극대화만을 추구하는 ‘이기주의’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는 ‘공리 주의’로 구분할 수 있음

⑵ 결과론적 윤리의 대표적 사상으로서 공리주의 ① 인간의 행복을 증진시키거나 불행을 감소시키는 행위를 옳은 행 위로 간주함 ② 우리에게 유익한 것(최대한의 좋은 결과를 낳는 것)이 곧 도덕적 인 것이라고 봄(좋음이 옳음을 낳게 됨)

2 벤담과 밀의 고전적 공리주의 ⑴ 공리주의의 등장 배경 ① 18세기 산업 혁명 이후 경제적 자유방임주의 아래 개인의 이윤 추구가 심화됨 → 무절제한 자유의 추구, 빈부 격차의 문제가 대 두됨 ② “이기적인 개인이 어떻게 사회 속에서 공존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가 부각됨 → 개인의 이익과 사회 전체의 이익을 조화시키기 위한 시도로 공리주의가 등장함

한 행위가 가져다주는 쾌락의 총량과 고통의 총량을 계산해 보라. 이 둘을 비교하여 차감했을 때 쾌락 쪽이 남는다면 그 행위는 관련자 전체 또는 개인 들이 모인 사회와 관련해서 일반적으로 좋은 성향을 지닌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고통 쪽이 남는다면 일반적으로 나쁜 성향을 지닌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벤담,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설”

벤담은 행복이란 다름 아닌 쾌락이고, 고통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사회는 개인의 집합체이므로 개개인의 행복은 사회 전체 의 행복과 연결되며, 더 많은 사람이 행복을 누리게 되는 것은 그만큼 더 좋은 일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이른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도덕과 입법의 원리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모든 쾌락이 질적으로 동일하다고 생각한 벤담은 쾌락과 고통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계산법까지 고안 하였다. 그는 쾌락과 고통을 계산하기 위한 일곱 가지 기준으로 강도, 지속성, 확실성, 근접성, 다산성, 순수성, 범위를 제시하였다.

벤담의 양적 공리주의자료와 친해지기

78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4 의무론적 윤리의 특징 ⑴ 의무 중시 ① 결과에 상관없이 의무를 따르는 행위를 중시함 ② 인간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덕 법칙이 있다고 보며, 그 법칙에 대한 자발적 존중에서 비롯된 행위를 옳은 행위로 여김

⑵ 도덕적 보편성의 추구 ①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수 없다고 봄 ② 옳고 그름의 기준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시대와 지역의 차이를 초월하여 보편적인 의무로 존재한다고 봄

5 칸트의 윤리 사상 ⑴ 행복주의, 쾌락주의, 경험주의 비판 ① 행복주의 비판: 도덕은 행복이나 다른 무엇을 실현하기 위한 수 단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임 ② 쾌락주의와 경험주의 비판: 쾌락을 추구하려는 자연적 경향성이 나 동정심 등은 도덕의 기반이 될 수 없음

⑵ 선의지 강조 ① 선의지: 옳은 행위를 오로지 그것이 옳다는 이유에서 마땅히 해 야 할 의무로 받아들이고 이를 따르려는 의지 ② 도덕적 행위 •의무 의식에서 비롯된 행위 •의무를 따르려는 의지, 즉 선의지의 지배를 받는 행위

⑶ 실천 이성 중시 ① 실천 이성: 행위자 스스로 인식하여 보편타당한 법칙을 세우고, 이것에 따라 스스로 행동하도록 명령하는 인간 특유의 도덕적

능력 ② 도덕적 행위 •실천 이성의 명령을 따르는 행위 •자신이 내린 명령을 스스로 따르는 자율적 행위 → 이러한 자율 을 진정한 의미의 자유로 봄

⑷ 도덕 법칙 강조 ① 도덕 법칙: 실천 이성이 우리 스스로에게 부과한 자율적 명령 → 정언 명령의 형식으로 나타남

•질적으로 서로 다른 두 가지 쾌락을 모두 경험한 사람들이 선호 하는 것이 더 우월하고 바람직한 쾌락임 •정상적인 인간은 누구나 질적으로 수준 높고 고상한 쾌락을 추구함 •감각적 쾌락보다 내적 교양이 뒷받침된 정신적 쾌락을 중시해 야 함 ③ 밀의 공리주의의 특징 •정신적 쾌락의 추구와 양심에 의한 내적 제재를 강조함 → 공리 주의의 기반인 쾌락주의 자체를 위협할 뿐 아니라 지나치게 지적 인 것을 선호하는 엘리트주의로 흐른다는 비판을 받기도 함 •여성의 종속을 비판하고 여성의 권리를 존중할 것을 강조함

3 현대의 공리주의와 그 의의 ⑴ 행위 공리주의(고전적 공리주의)의 특징과 문제점 ① 특징: 공리의 원리를 모든 개별적 행위에 직접 적용하여 각각의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해야 한다는 입장 ② 문제점 •각각의 행위가 가져오는 쾌락의 양을 계산하기 어려움 → 어 떤 행위로 인해 먼 미래에 나타날 쾌락과 고통까지 예측하기 어 려움 •일반적인 윤리적 상식과 맞지 않는 상황을 허용할 수 있음 → 다 수에게 이익을 준다는 명목으로 인권 침해와 개인의 무제한적인 희생을 정당화할 수도 있음

⑵ 현대 규칙 공리주의의 특징 ① 공리의 원리를 개별적 행위가 아니라 행위의 규칙에 적용함 ② 행위 공리주의의 문제점(쾌락 계산의 어려움과 도덕적 상식에 어 긋나는 판단 가능성)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음 ③ 주어진 상황에서 모든 행위의 결과를 계산해야 한다는 행위 공리 주의에 비해 훨씬 더 경제적임

⑶ 공리의 원리를 계승·확장하고자 하는 흐름: 싱어의 입장 ①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을 강조함 → 쾌락과 고통을 느낄 수 있는 모든 개체의 이익을 평등하게 고려해야 함 ② 인간뿐만 아니라 쾌고 감수 능력을 지닌 동물까지 도덕적 고려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봄

• 공리의 원리는 어떤 종류의 쾌락이 다른 종류의 쾌락보다 훨씬 더 바람직하고 한층 더 가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다른 모든 것을 평가할 때는 양 이 외에 질도 고려하면서 쾌락을 평가할 때에는 양에만 의존하는 것은 불합리하지 않은가? • 배부른 돼지가 되기보다는 배고픈 인간이 되는 편이 낫고, 만족한 바보가 되기보다는 불만족스러운 소크라테스가 되는 편이 낫다. 바보 천치 또는 돼 지가 어떤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그것은 모두 이 문제에 대한 그들 각자의 입장만을 알고 있는 데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바보 천치나 돼 지에 비교되는 상대방은 양쪽 입장, 즉 자기 입장과 다른 사람의 입장 모두를 알고 있다. - 밀, “공리주의” -

양적 공리주의자 벤담이 모든 쾌락은 질적으로 같고 오로지 양적으로만 계산할 수 있다고 본 데 반해, 질적 공리주의자 밀은 쾌락을 평가할 때 양 에만 의존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비판하면서 쾌락의 질적인 차이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는 쾌락에는 질적으로 천박한 것이 있는가 하면 또한 고상한 것도 있다고 보았으며, 감각적 쾌락보다는 내적 교양이 뒷받침된 정신적 쾌락이 더 수준 높은 쾌락이라고 강조하였다.

밀의 질적 공리주의자료와 친해지기

10. 공리주의와 칸트주의 79

www.ebsi.co.kr

6 현대의 칸트주의와 그 의의 ⑴ 현대 칸트주의 사상 ① 롤스의 정의론 •칸트 사상의 ‘보편주의’와 ‘인간 존엄성 정신’을 발전적으로 계 승함 •자유롭고 평등하며 합리적인 개인이 공정한 계약 상황에서 사회 정의의 원칙을 자율적으로 선택해야 함을 강조함 •자유, 명예, 부와 같이 누구에게나 중요한 기본적 가치를 모두에 게 공정하게 분배할 수 있는 절차를 중시함 ② 로스의 조건부 의무 이론 •조건부 의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의무 → 칸트의 정언 명령 과 달리 절대적이지 않으며 단일한 기준이 적용되지도 않음 •칸트 사상의 한계인 도덕적 의무 간의 상충 문제를 해결하고 자 함 •도덕적 의무가 상충할 경우 더 약한 의무는 사라지고 더 강한 의 무가 우리의 실제적 의무로 드러나게 됨 •절대적으로 보이는 도덕 원칙도 상식과 직관에 따라 유보될 수 있음

⑵ 현대 칸트주의의 의의 ① 도덕의 확고한 토대 마련: 어떤 상황에서도 보편적으로 타당한 의무가 있다는 신념을 공유하며, 이러한 의무가 불확실성과 우연 성에 결코 흔들리지 않는 확고한 도덕의 기초를 형성한다고 봄 ② 인권 사상 및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 개인의 자율성과 인격에 대 한 존중을 강조함으로써 인권 사상 형성에 기여하였으며, 현대 민주주의가 발전하는 데 사상적인 기반이 됨 ③ 보편 윤리의 계승 및 발전: 황금만능주의나 인간성 상실과 같은 사회 병리 현상이 나타나고 도덕적 냉소주의가 확산되며 가치관 의 혼란이 나타나는 현대 사회에서, 보편성과 필연성을 중시하는 보편 윤리를 계승하여 발전시킴 → 현대인에게 필요한 삶의 방향 과 행위 원칙을 제시함

② 핵심 내용 •보편주의: 각자의 행위가 보편타당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검토 하고 그에 맞게 행위할 것을 강조함 → “네 의지의 격률이 언제 나 동시에 보편적 입법의 원리가 될 수 있도록 행위하라.” •인격주의: 인간을 단순히 수단으로만 취급하지 말고 언제나 동 시에 목적으로 대할 것을 강조함 → “너 자신과 다른 모든 사람 의 인격을 결코 단순히 수단으로만 대하지 말고, 언제나 동시에 목적으로 대하도록 행위하라.” ③ 도덕적 행위 •도덕 법칙에 대한 자발적 존중에서 비롯된 행위 •가언 명령이 아닌 정언 명령에 따르는 행위

⑸ 도덕과 행복의 관계 ① 행복을 추구하는 것은 인간의 자연스러운 욕구이지만, 행복을 도 덕의 목적이라고 할 수는 없음 ② 도덕적 의무를 이행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행복을 고려하지 말아 야 함

⑹ 칸트 윤리 사상에 대한 평가 ① 긍정적 평가

도덕의 중요성 강조

•도덕을 인간다움의 핵심 요소로 봄 • 인간의 자연적 경향성을 극복하고 도덕 법칙에 따를 때 인간다운 존재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함

인간의 도덕적 직관과 부합

•보편타당한 도덕 법칙을 중시함 •인간을 목적으로 대우할 것을 강조함 •인간의 도덕적 자율성을 중시함

② 부정적 평가

형식성, 공허성

도덕적 결정을 내려야 하는 사람에게 구체적인 지침을 제 공하지 못함

지나친 엄격성과 비현실성

• 도덕 법칙의 예외를 허락하지 않아 현실적인 호소력이 부족함 • 행위의 결과를 전혀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무고한 사람이 곤경에 처하게 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음

의무 간의 상충 문제

현실에서 두 가지 이상의 의무가 상충할 때 적절한 해결책 을 제시하지 못함

의무란 법칙에 대한 존경심 때문에 어떤 행위를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나의 행위에서 나온 결과물에 대해 경향성을 가질 수는 있지만, 결코 존경심을 가질 수는 없다. 그것이 하나의 작용일 뿐 의지의 활동성은 아니라는 바로 그 이유 때문이다. 오직 내 의지의 원인일 뿐 결코 작용이 아닌 것, 나의 경향 성에 봉사하지 않고 오히려 그것을 극복하는 것, 최소한 선택을 계산할 때 경향성을 완전히 제외하는 것만이, 따라서 단순한 법칙 자체만이 존경심의 대 상이 될 수 있고 그래서 명령이 될 수 있다. - 칸트, “도덕 형이상학을 위한 기초 놓기”

칸트에 의하면 의무에 따라 행동한다는 것은 곧 도덕 법칙에 따르는 것이다. 그러나&bsp;인간이 도덕 법칙을 따르는 일은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니며, 그 과정에서 자연적 경향성을 극복해야 하기 때문에 도덕 법칙은 명령의 형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도덕 법칙은 인격을 갖춘 이성적 존재, 즉 인간이라면 누구나 어떤 상황에서도 예외 없이 따라야 하는 무조건적이고 절대적인 정언(定言) 명령이다. 칸트는 악으로도 흐를 수 있는 자연적 경향성을 극복하고 마땅히 옳은 것을 추구해야 한다는 의무 의식을 기반으로 도덕 법칙을 준수할 때 우리는 인격적 존재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칸트가 말한 의무와 도덕 법칙자료와 친해지기

80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THEME 10

쾌락에서 질적인 차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하나의 쾌락이 다른 것보다 단순히 양적으로만 큰 것이 아니라 순전히 쾌락 자체로서 다른 쾌락보다 가치 있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이 물음에 대한 나의 대답은 오직 하나밖에 없다. 즉 두 개의 쾌락 중에서 양쪽 을 모두 경험한 사람들이나 거의 모두를 경험한 사람들이 그것을 선택해야 하는 도덕적 의무감에 관계없이 결연히 선택하는 쪽이 보다 바람직한 쾌락인 것이다. 양쪽을 잘 아는 사람들이 두 개의 쾌락 중에서 하나를 훨씬 높게 평가하고, 이런 선택이 보다 큰 불만 을 동반할 것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또한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다른 쪽의 쾌락을 맛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쪽이 나타 내는 쾌락의 양 때문에 본래 쾌락을 버리지 않고 이쪽을 택한다면, 선택된 쾌락의 향유(享有)는 질적으로 우세한 것이고, 또한 양을 압도하기 때문에 양자를 비교할 때, 양은 거의 문제 삼지 않아도 좋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두 가지의 쾌락을 모두 잘 알고 있으면서, 또한 양자를 똑같이 평가하고 향유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단연코 자신이 지닌 고 급 능력을 사용하는 그런 생활 태도를 가장 선호(選好)할 것이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다. 짐승의 쾌락을 듬뿍 부여해 주겠다는 약속 때문에, 인간이 어떤 하등 동물로 전락해 버릴 것이라는 사실에 동의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바보나 천치, 불 한당이 영리한 사람이나 교육을 받은 사람, 다정다감하고 양심적인 사람들보다 자신의 운명에 훨씬 더 만족하면서 살아가는 것을 본다고 하더라도, 영리한 사람이 바보 천치가 되려고 생각하지는 않을 것이다. 영리하고 좋은 교육을 받고, 다정다감하고 양심적인 사람들은 바보나 천치, 불한당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욕망을 가장 완벽하게 만족시킨다 해도 자신들이 지닌 태도를 바보나 천 치, 불한당보다 더 쉽게 포기하려 들지 않을 것이다. - 밀, “공리주의”

질적 공리주의자로 불리는 밀은 벤담의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공리의 원리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그는 벤담의 양적 공 리주의를 비판하면서 쾌락의 양적인 차이뿐만 아니라 질적인 차이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는 여러 가지의 쾌락을 경 험해 본 사람이 어떠한 도덕적 의무감에 영향을 받지 않고 결연히 선택하는 쾌락이 바로 바람직하며 질적으로 우세한 쾌락이라 고 보았으며,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누구나 질적으로 수준 높고 고상한 쾌락을 선호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즉 두 가지의 쾌락 을 모두 알고 있고 평가하며 향유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자신이 지닌 고급 능력을 사용하는 생활 태도를 선택할 것이라는 점은 확실하다. 짐승들이 누리는 쾌락을 누리기 위해 짐승으로 전락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고, 영리하고 교육을 받은 사람이 바 보나 천치, 불한당이 누리는 쾌락을 부러워하여 그러한 삶을 추구하려고 노력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밀이 말한 쾌락의 질적인 차이란 무엇인가?심화 학습 ·테마 1

선의지는, 그것이 실현하거나 성취한 것 때문에 또는 그것이 제시된 어떤 목적들을 제대로 달성할 수 있다는 것 때문에 선한 것도 아니고, 오직 ‘하려고 한다’는 것 때문에 그 자체로 선하다. 그리고 선의지를 그 자체로 볼 때, 어떤 한 경향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더 나아가 모든 경향성을 합한 것을 만족시키기 위해 그 선의지가 실행하는 어떤 것보다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훨씬 더 존경받아야 한다. 운명이 특별히 미워했기 때문이든 자연이 계모처럼 인색하게 차려 주었기 때문이든, 선의지가 자신의 의도를 도저히 끝까지 성취할 수 없다 하더라도, 그래서 아무리 노력해도 아무것도 달성되지 않고 선의지만이 남는다 하더라도, 선의지는 보석처럼 자신 의 완전한 가치를 자기 안에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빛날 것이다. 유익함이나 무익함은 선의지의 가치에 어떤 것도 더하거나 뺄 수 없다. 유익함은 마치 보석의 장식대 같은 것일 따름이어서, 일상적인 거래에서 그것을 더 잘 다룰 수 있기 위한 것이거나 아직 미숙한 감정가의 눈길을 끌기 위한 것이지, 감정가에게 추천해 선의지의 가치를 결정하게 하는 데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 칸트, “도덕 형이상학을 위한 기초 놓기” -

칸트에 따르면 행위의 결과는 수많은 변수와 우연에 의해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도덕의 근거가 될 수 없다. 그는 옳고 그름의 판단이란 오직 행위자가 책임질 수 있는 영역, 즉 행위자의 의지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그는 선의지만이 도덕적 행위의 유일한 근거라고 보았다. 칸트가 말하는 선의지란 행위의 결과를 고려하는 마음, 행위의 결과가 가져오는 유용성, 자연 적인 경향성을 따라 옳은 행위를 하려는 의지가 아니라 단지 어떤 행위가 옳다는 이유만으로 그 행위를 택하려는 의지를 가리 킨다.

칸트가 말한 선의지의 의미는 무엇인가?심화 학습 ·테마 2

10. 공리주의와 칸트주의 81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22쪽 01 근대 서양 사상가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갑: 내가 증명하려고 노력할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성 혼자서는 그 어떤 의지 작용의 동기가 될 수 없으며, 둘째, 이성은 의지를 지도함에 있어서 감정에 반대할 수 없다. 우리가 감정과 이성의 싸움을 이야기할 때, 우리는 엄밀하게 그리고 철학적으로 말하지 못하고 있다. 이성은 감정의 노예이고 또한 그래야만 한다. 을: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이성 안에서 의무의 이념을 발견하게 되고, 이 이념을 거역하려는 경향이 그에게서 고개를 들면 이성의 준엄한 목소리에 전율하게 된다. 경향들이 모두 합쳐져 이성에 저항한다 해도, 그의 이성이 그에게 정해 주는 도덕 법칙의 위엄이 그들 모두를 재고의 여지없이 압도하며, 그의 의지 역시 그 렇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스스로 확신한다.

① 갑은 이성이 참과 거짓을 판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② 을은 실천 이성의 명령에 자발적으로 복종하는 행위를 도덕적 행위로 본다. ③ 갑은 을과 달리 도덕적 행위의 동인(動因)을 감정에서 찾아야 한다고 본다. ④ 을은 갑과 달리 도덕적 행위의 판단 근거를 행위의 결과에서 찾아야 한다고 본다. ⑤ 갑은 시인(是認)의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행위를, 을은 선의지를 따르는 행위를 도덕적 행위로 본다.

7052-0091

02 교사의 질문에 옳게 대답한 학생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사회의 전통이나 직관에 의해 받 아들여진 일반적 규범과 상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A에 비해 B가 갖는 특징은 무엇일까요?

◎ 공리주의의 구분 [ A ]:

공리의 원리를 개별적 행위에 직접 적용하여 각각의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해야 함 [ B ]:

공리의 원리를 개별적 행위가 아니라 행위의 규칙에 적용하여 그 규칙의 일치 여부에 따라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해야 함

주어진 상황에서 모든 행위의 결 과를 일일이 계산해야 하는 번거 로움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 속에서 행위의 결과, 특히 먼 미래에 일어날 일의 결과를 정확히 예 측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습니다.

상식적으로 비도덕적 행위라고 생 각하는 행위들을 정당화할 수 있 다는 위험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① 갑, 을 ② 갑, 병 ③ 을, 정 ④ 갑, 병, 정 ⑤ 을, 병, 정

7052-0092

82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3 갑, 을, 병의 입장을 그림으로 나타낼 때, A ~ D에 해당하는 적절한 진술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윤사10-1

A: 갑만의 입장 B: 을만의 입장 C: 갑, 을, 병의 공통 입장 D: 갑과 병만의 공통 입장 <범 례>

병을

병을

A

B

D

A

B

C

D

ㄱ. A: 쾌락은 선이고 고통은 악이며 쾌락은 모든 행위의 목적이다. ㄴ. B: 쾌락은 한 종류뿐이며 쾌락을 양으로 계산할 수 있다. ㄷ. C: 개인적 쾌락보다는 사회 전체의 쾌락을 중시해야 한다. ㄹ. D: 다양한 종류의 쾌락을 인정하고 육체적 쾌락보다 정신적 쾌락을 추구해야 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7052-0093

04 갑, 을, 병이 서로에게 제기할 수 있는 반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이 ~에게 반론

① 갑 을 사회적 공익의 증진을 위한 활동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② 갑 병 육체적·감각적 쾌락보다 정신적·지적인 쾌락을 추구해야 함을 간과하고 있다.

③ 을 갑 개인의 이익과 사회 전체의 이익을 조화시키는 일이 중요함을 간과하고 있다.

④ 을 병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누구나 질적으로 수준 높고 고상한 쾌락을 선호할 것임을 간과 하고 있다.

⑤ 병 갑

가까운 사람들과 소박한 교제를 통해 지적인 교류를 나누는 것이 쾌락의 중요한 요 소임을 간과하고 있다.

7052-0094

[03~04] 갑, 을, 병은 서양 사상가들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갑: 우리가 말하는 쾌락은 무지하고 우리의 견해를 받아들이지 않거나 삐딱하게 해석하는 몇몇 사람들이 생각 하는 것처럼 방탕한 자들의 쾌락이나 육체적인 쾌락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바로 마음에 불안이 없고 몸에 고통이 없는 평온한 상태[ataraxia]이다. 을: 한 행위가 가져다주는 쾌락과 고통의 총량을 계산해 보라. 이 둘을 비교하여 차감했을 때 쾌락 쪽이 남는 다면 그 행위는 관련자 전체 또는 개인들이 모인 사회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좋은 성향을 지닌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병: 더 높은 능력을 가진 사람이 행복하려면 열등한 사람보다 더 많은 것을 필요로 하고 더 많은 고통을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담에도 불구하고 그는 스스로 낮은 수준의 삶으로 떨어지는 것을 원하지는 않을 것이다.

10. 공리주의와 칸트주의 83

정답과 해설 22쪽

05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갑은 옳고 그름은 행위가 가져올 결과와 무관하게 판단되어야 한다고 본다. ② 을은 행복만을 추구하는 행위는 도덕적 행위가 될 수 없다고 본다. ③ 갑은 을과 달리 인간의 자연적 경향성에 따르는 것이 비도덕적이라고 본다. ④ 을은 갑과 달리 행복을 추구하는 삶이 도덕적인 삶과 양립할 수 없다고 본다. ⑤ 갑, 을은 도덕적 행위는 인간의 행복에 기여할 때 비로소 가치를 지닌다고 본다.

7052-0095

06 을의 입장에서 갑에게 제기할 수 있는 적절한 반론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ㄱ. 인간은 누구나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려는 존재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ㄴ. 도덕은 행복이나 다른 무엇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ㄷ. 인간의 동정심에 기초한 선행도 참된 도덕적 가치를 지닐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ㄹ. 도덕적 행위는 어떤 행위가 옳다는 이유만으로 그것을 행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7052-0096

[05~06] 갑, 을은 근대 서양 사상가들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갑: 공리의 원리란 자기 이익이 걸려 있는 당사자의 행복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경향에 따라서, 또는 행 복을 증진시키거나 억누르는 정도에 따라서, 어떤 행위를 승인하거나 부인하는 원리를 뜻한다. 내가 말하 는 바는 개인의 사적인 모든 행위뿐만 아니라 정부의 모든 정책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을: 도덕의 원리와 행복의 원리를 구분하는 것이 이들 둘 사이의 대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순수한 실천 이성은 우리가 행복에 대한 모든 요구를 포기할 것을 의욕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이 의욕하는 바는 오직 의무가 문제시될 때 행복을 전혀 고려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84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7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에피쿠로스는 단순한 감각적 쾌락보다 지성과 감성, 상상력 및 도덕적 정서가 주는 쾌락에 더 높은 가치를 부 여하였다. 더욱이 공리주의자들이 일반적으로 육체적 쾌락보다 정신적 쾌락의 우월함을 인정하는 것도 주로 정신적 쾌락이 주는 영속성, 안정성, 저비용성 때문이라는 점을, 다시 말하면 외적 이익보다 내적 본성 때문 이라는 점을 인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모든 점에서 공리주의자들은 자신의 입장을 충분히 밝혀 온 터다. 공리의 원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 즉 어떤 종류의 쾌락이 다른 종류의 쾌락보다 훨씬 더 바람직하고 한층 더 가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ㄱ. 쾌락을 평가할 때 양만을 고려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ㄴ.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제거함으로써 행복에 도달할 수 있다. ㄷ. 질적으로 수준 높고 고상한 쾌락을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ㄹ. 정신적 쾌락은 육체적 쾌락에 비해 지속적이지도 안정적이지도 않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7052-0097

08 갑, 을 사상가들의 입장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갑: 인간에게 있어서, 그리고 모든 이성적 피조물에게 있어서 도덕적 필연성은 강요이자 강제이다. 그리고 거 기에 근거한 모든 행위는 의무로 생각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덕 법칙은 하나의 완전한 존재자의 의지에는 신성(神性)의 법칙이지만, 모든 유한한 이성적 존재자의 의지에는 의무의 법칙이다. 을: 약속 지키기, 성실, 호의에 대한 감사, 선행, 정의, 자기 계발, 해악 금지 등의 의무들은 서로 충돌하기 전 까지는 잠정적으로 우리를 구속한다. 그러나 만약 이러한 도덕적 의무 사이에 갈등이 발생하게 되면, 더 약한 의무는 사라지고 더 강한 의무가 우리의 실제적 의무로 드러나게 된다.

ㄱ. 갑은 언제 어디서나 예외 없이 적용되는 무조건적인 정언 명령을 따라야 한다고 본다. ㄴ. 갑은 절대적인 것처럼 여겨지는 도덕 원칙도 때로는 상식과 직관에 따라 유보될 수 있다고 본다. ㄷ. 을은 인간에게 부과되는 의무를 조건부적 의무와 실제적 의무의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본다. ㄹ. 을은 어느 하나의 조건부적 의무는 다른 조건부적 의무와 갈등을 일으키기 전까지 실제적 의무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7052-0098

10. 공리주의와 칸트주의 85

정답과 해설 22쪽

09 다음은 근대 서양 사상가의 주장이다.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할 수 있는 한 선행을 하는 것은 의무인데, 그에 더해서 천성적으로 동정심을 잘 느끼는 사람들도 많다. 그들 은 허영심이나 자신의 이익이라는 다른 동기 없이도 주위에 기쁨이 퍼져 나가는 것을 내심 즐거워하며, 자기 가 한 일로 다른 사람이 만족하는 것에 흥겨워할 사람이다. 하지만 나는 그와 같은 행위의 경우, 그 행위가 아 무리 ‘의무에 맞고’ 또 아무리 사랑스럽다 해도 참된 도덕적 가치는 전혀 없으며, 오히려 다른 경향성, 예를 들 어 명예에 대한 경향성 같은 것과 짝을 이룬다고 주장한다. 그런 경향성은 다행스럽게도 모두에게 이익을 주 며 ‘의무에 맞고’ 따라서 명예스러운 것을 만난다면 칭찬과 격려를 받을 만하지만, 도덕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 을 만하지는 않다. 왜냐하면 그러한 행위는 ㉠

① 행위의 동기와 행위의 결과가 일치된 행위가 아니기 때문이다. ② 경향성을 따른 것이지 의무 의식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③ 자신에게 어떠한 기쁨이나 즐거움도 가져다주지 못한 것이기 때문이다. ④ 다른 사람을 도와주려는 인간의 자연적 경향성을 무시한 것이기 때문이다. ⑤ 다른 사람들의 행복을 증진하려는 선의지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7052-0099

10 (가)를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퍼즐 속 세로 낱말 (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의무란 법칙에 대한 존경심 때문에 어떤 행위를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나는 내 행위가 일으킨 작용인 객체, 즉 나의 행위에서 나온 결과물에 대해 경향성을 가질 수는 있지만, 결코 존경심을 가질 수는 없다. 그것이 다 만 하나의 작용일 뿐 의지의 활동성은 아니라는 바로 그 이유 때문이다.

(나)

(A) (B)

(C)

[가로 열쇠] (A):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을 얻기 위해 실천해야 하는 여덟 가지 수행 방법 (C): 공자가 추구한 정치. 도덕과 예의로써 백성을 다스리는 것

[세로 열쇠] (B): …… 개념

① 행복과 관련이 적으며 언제나 행복과 대립하는 것이다. ② 행복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로 가치 있고 숭고한 것이다. ③ 자신과 타인들의 행복을 위해 실천 이성의 명령에 따르는 것이다. ④ 선의지에 따르고 선한 결과를 산출할 때 비로소 달성되는 것이다. ⑤ 대가를 바라지 않고 순수하게 자신의 기쁨만을 위해 남을 돕는 것이다.

7052-0100

86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11 갑, 을, 병의 입장을 다음 그림으로 탐구하고자 할 때, A ~ D에 들어갈 적절한 질문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윤사06-1

<범 례>

: 판단 내용 : 판단 방향 : 사상가의 입장 : 출발 조건

갑, 을, 병의 입장을 탐구한다.

아니요

아니요

을의 입장갑의 입장 병의 입장

예예

B

A

C D

ㄱ. A: 행위의 결과와 무관하게 행위 자체의 옳고 그름을 판단해야 하는가? ㄴ. B: 모든 쾌락은 질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는가? ㄷ. C: 자신의 행복을 버리고 타인의 행복을 추구해야 하는가? ㄹ. D: 더 높은 수준의 쾌락을 위해 고통을 감수할 수도 있는가?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7052-0101

12 갑, 을, 병이 서로에게 제기할 수 있는 반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이 ~에게 반론

① 갑 을 유용성의 원리를 만족시키는 행위가 도덕적 가치를 지닐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② 갑 병 옳은 행위는 고통을 최소화하고 쾌락을 극대화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③ 을 갑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할 때 이성의 작용이 필요함을 알아야 한다.

④ 을 병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 도덕의 기본 원리임을 알아야 한다.

⑤ 병 을 쾌락을 고려할 때 양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7052-0102

[11~12] 갑, 을, 병은 근대 서양 사상가들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갑: 행복의 원리가 준칙들을 제공할 수 있기는 하지만, 사람들이 제아무리 보편적인 행복을 객관적인 것으로 삼는다 할지라도, 결코 의지의 법칙들로 쓰일 준칙들을 제공할 수는 없다. 을: 공리는 이해관계가 걸린 당사자에게 혜택, 쾌락, 선, 행복을 가져다주거나 불운, 고통, 악, 불행이 일어나 는 것을 막아 주는 그러한 속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리의 원리를 도덕과 입법의 원리로 삼아야 한다. 병: 최대 행복의 원리에 따르면 행위의 궁극 목적은 양과 질이라는 두 측면 모두에서 가능한 한 고통을 피하고 쾌락을 충분히 향유하는 것이다.

10. 공리주의와 칸트주의 87

THEME 실용주의와 실존주의11

⑶ 듀이의 사상 ① 도구주의 •인간의 생각, 지식, 이론 등을 인간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만 들어 낸 도구로 봄 •지식은 우리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유용한 수단이나 도구이 며, 그럴 때 비로소 가치를 갖게 된다고 봄 ② 절대주의 비판 •도덕이나 윤리는 시대나 상황에 따라 변화하고 성장하는 것이므 로, 고정적이고 절대적인 가치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함 → 성장 그 자체를 도덕의 유일한 목적으로 봄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바람직한 것인지는 각각이 처 한 상황에 따라 다를 수밖에 없다고 봄 ③ 창조적 지성, 즉 아직 주어지지 않은 여러 가능성을 탐구하면서 미래를 전망하고 창조하는 지성을 중시함

3 실용주의에 대한 평가 ⑴ 긍정적 평가 ① 삶의 구체적인 상황에서 융통성 있는 판단과 유연한 대처를 가능 하게 함 ② 도덕적 충돌과 사회적 갈등이 빈번한 상황에서 민주주의적 방식 을 통한 사회의 진보와 성장을 추구함 ③ 가치의 절대성 대신 가치의 다양성과 인간의 오류 가능성을 인정 하고 관용을 강조함

⑵ 부정적 평가 ① 지식과 가치의 실용성을 강조한 나머지, 지식의 본래적 가치를 인정하지 않음 ② 비도덕적 행위도 현실적으로 유용하다면 허용될 수 있는 문제점 이 있음 ③ 절대적이고 객관적인 진리를 부정할 우려가 있음

1 실용주의 사상의 등장 배경 및 특징

등장 배경

• 사회적 배경: 19세기 말 미국 사회가 산업 사회, 시민 사회 로 변화하기 시작함 → 과학적 세계관 등장 • 사상적 배경: 영국의 경험주의 전통, 다윈의 진화론

특징

• 근면, 검소, 이웃 사랑 등의 프로테스탄트적 가치와 미국인 들의 개척 정신 및 실험 정신을 결합함 • 유용성을 가치 판단의 기준으로 삼고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는 가치를 중시함 • 어떤 사람의 신념이나 주장이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다면 그 신념이나 주장을 옳은 것으로 봄 • 도덕도 인간의 문제를 개선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고 봄 → 도덕의 이론적 측면과 함께 실천적 측면을 강조함

2 실용주의의 전개 ⑴ 퍼스의 사상 ① 실용주의의 창시자 → ‘실용주의(프래그머티즘)’라는 말을 처음 으로 사용했으며, 진리의 실천적 성격을 강조함 ② 어떤 것이 옳으려면 그것이 반드시 쓸모 있는 실제적 성과를 만 들어 내야 한다는 실용적 준칙을 제시함 ③ 인간의 탐구 활동을 무엇인가에 대한 불만으로부터 시작하여 불 안정한 마음을 없애려는 실제적 활동으로 봄

⑵ 제임스의 사상 ① 옳은 것이란 우리가 현실적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우리에게 안내할 수 있는 것이라고 봄 ② 지식과 신념은 다양한 삶의 문제들을 해결해 줄 수 있을 때 비로 소 ‘현금 가치(cash value)’를 갖는다고 주장함 ③ 진리란 확고부동하고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이롭다고 하는 것과 옳다고 하는 것은 같은 맥락을 지닌다고 주장함

사상의 차이라는 것은 아무리 미묘한 것이라 할지라도 실천상 차이점을 나타내지 않을 수는 없게 마련입니다. 그러므로 어떤 대상에 관해 우리가 품고 있는 사상을 완전히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 대상이 실제적으로 어떤 결과를 산출할 것이라고 생각되느냐 하는 점을 고찰하기만 하면 됩니다. 즉 그 대상에서 어떤 감동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되며 어떤 반응을 각오해야 하느냐 하는 점을 고찰해 보기만 하면 됩니다. 곧 나타나건 오래 있다 나타나건 간에 그 결과에 관한 우리 개념이 그 대상에 관한 우리 개념의 전부입니다. 그 대상에 관한 개념이 어떤 의의를 지니고 있다면 말씀입니다. - 제임스, “실용주의”

제임스는 퍼스의 실용적 준칙을 더욱 확대 발전시키고 세상에 알림으로써 실용주의가 발전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제임스는 옳은 것이란 현실 적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우리에게 안내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에 따르면, 어떤 신념이든 그 신념을 행동으로 옮길 때 비로소 옳 게 된다. 그리고 그 신념이 옳다는 것은 경험 속에서 좋은 성과를 만들어 낸다는 것으로, 옳은 신념이란 만족할 만하고 편리하며 유용한 신념이 다. 따라서 그는 진리란 확고부동하며 절대적인 불변의 것이 아니라 현실 생활을 이롭게 하는 것이며, 여기서 이롭다는 것과 옳다는 것은 같은 맥 락에 놓이게 된다고 본다.

제임스의 실용주의자료와 친해지기

88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③ 이성을 통해 해결할 수 없는 한계 상황이 있음을 인식하고 이를 직시해야 참된 실존을 이해할 수 있으며, 신(神)에 대한 참된 경 험을 하게 된다고 주장함 ④ 자신이 선택한 사명에 책임을 다하고, 타자와 연대하여 실존을 회복할 것을 강조함

⑶ 하이데거의 사상 ① 현실의 인간은 자신이 ‘죽음에 이르는 존재’임을 알고 늘 불안과 염려 속에 살아가는 현존재(Dasein)라고 주장함 ② 동물과 달리 인간만이 현존재임을 인식할 수 있으며 죽음을 주체 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봄 ③ 현존재로서의 인간은 죽음을 받아들이기로 주체적 결단을 내림 으로써 실존을 회복할 수 있다고 주장함

⑷ 사르트르의 사상 ① 인간의 본질을 정해 줄 신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인간의 본질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함 ②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인간은 ‘이 세상에 던져진 존재’로서 먼 저 실존한 후에 자신의 모습을 만들어 가는 존재임 ③ 자유의 부조리: 인간은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가지고 있지만, 자유 자체는 선택할 수 없음 ④ 주체성과 자유: 인간은 신에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자기 자신의 모든 것을 선택하고 그에 대한 전적인 책임을 져야 하는 존재임

6 실존주의의 의의 및 문제점 ⑴ 실존주의의 의의 ① 자기의 의미를 잃고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인간의 존엄성 회복 과 삶의 가치를 되새길 것을 강조함 ② 자신의 삶이 중요한 만큼 타인의 자유와 선택도 존중해야 한다는 상호 존중과 연대의 의미를 일깨워 줌 ③ 외양적·물질적 조건들보다 내면의 자유와 정신적 가치의 중요 성을 일깨워 줌

⑵ 실존주의의 문제점: 인간의 개별성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보 편적 도덕규범을 부정할 우려가 있음

4 실존주의의 등장 배경 및 특징 ⑴ 실존주의의 등장 배경 ① 근대 이성주의의 한계 인식 •근대 이성주의는 객관성과 보편성의 추구에 치우쳐 개인의 고유 한 특성이나 개인의 주체적인 삶의 문제를 도외시함 •인간의 충동, 의지, 욕망, 본능 등이 주목을 받고 그에 대한 철학 사상을 구체적으로 정립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나타남 ② 과학 기술 문명의 역기능 발생: 대규모 전쟁, 물질 만능주의, 인 간 소외, 비인간화, 생태계 파괴 등

⑵ 실존주의의 특징 ① 인간의 보편적 본성보다 개개인의 주체성에 관심을 기울임 ② 구체적인 실제 상황 속에서 한 개인이 어떻게 규정되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임

5 실존주의의 전개 ⑴ 키르케고르의 사상 ① 실존: ‘이것이냐 저것이냐’를 선택해야 하는 구체적인 상황에 처 한 개인 ② 실존적 상황에서 인간은 ‘죽음에 이르는 병’에 걸리게 된다고 주 장함 → 선택에 대한 불안 때문에 주체적 결정을 회피함으로써 절망에 빠지게 됨 ③ 실존적 상황에서는 오직 주체성만이 답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주 체성이 진리이며 진리는 주관적인 것이라고 주장함 ④ 불안과 절망을 극복하고 참된 실존을 회복하기 위해 ‘신(神) 앞에 선 단독자’로서 생각하고 행동할 것을 강조함 ⑤ 실존의 3단계: 심미적 단계, 윤리적 단계를 거쳐 결국 종교적 단계 에서 인간은 불안과 절망을 벗어던짐 → 종교적 단계에서 인간은 신 앞에 홀로 서서 신에게 귀의할 것을 스스로 선택하게 됨

⑵ 야스퍼스의 사상 ① 실존을 한계 상황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함 ② 한계 상황: 죽음, 고통, 전쟁 등 인간이 어떠한 수단을 동원해도 피하거나 변화시킬 수 없는 필연적 상황

실존주의자가 생각하는 인간은 정의될 수 없는 존재이다. 왜냐하면 인간은 처음에 아무것도 아닌 존재이기 때문이다. 나중에야 비로소 그는 무엇이 될 수 있으며, 그 스스로 되고자 하는 존재를 만들어 가게 될 것이다. 이처럼 인간 본성이란 본래부터 있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 본질을 생각하는 신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중략)… 사람은 자신이 스스로를 만들어 가는 것 이외엔 아무것도 아니다. 이것이 실존주의의 제1원리이다. - 사르트르,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무신론적 입장인 사르트르는 신의 존재를 통해서는 결코 인간의 진정한 실존을 이해할 수 없다고 보았다. 그에 따르면, 신은 존재하지 않으며 인 간은 이 세상에 아무 이유나 어떠한 목적도 없이 우연히 내던져진 실존적 존재이다. 이런 까닭에 인간의 존재 이유 또는 존재 목적과 같은 것으로 여겨지는 인간의 본질에 먼저 주목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우리가 가장 먼저 주목해야 할 것은 인간이 이 세계 속에 실존해 있다는 사실 그 자체 이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인간의 본질은 결코 인간의 실존에 앞서 있을 수 없다고 본다. 또한 그는 인간이란 근본적으로 자유로운 존재이므로 자기 스스로의 선택과 결단에 의해 자신의 삶을 책임 있게 완성해 나가는 존재라고 본다. 즉 인간은 무엇인가를 결코 신에게 기대서는 안 되며, 자신의 실존 그 자체를 인정하는 존재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르트르의 무신론적 실존주의자료와 친해지기

11. 실용주의와 실존주의 89

THEME 11

어떤 특정한 사례에서 목적을 확립하려고 아무리 애를 써도 그것은 최종적인 것이 아니다. 그 목적을 채택한 결과를 조심스럽게 살펴보아야 하며, 하나의 목적은 결과가 올바른 것으로 확정되기까지는 단지 작업가설로서만 여겨져야 한다. 실수는 더 이상 슬 퍼해야 할 불가피한 사건이거나 속죄하고 용서해야 할 도덕적 죄가 아니다. 그것은 지성을 사용하는 잘못된 방법에 대한 교훈이 면서 더 나은 미래의 과정에 관한 가르침이다. 그것은 개선, 발전, 재조정의 필요를 나타내는 것이다. 목적은 성장하며, 판단 기 준은 개선된다. 인간은 그가 이미 소유하고 있는 기준과 이상을 양심적으로 사용할 의무와 더불어 가장 발전된 기준과 이상을 개발할 의무를 가지고 있다. 도덕적 삶은 형식주의와 완고한 반복에 빠지지 않게 된다. 그것은 유연하고, 생생하며, 성장하는 것 이 된다. • 어떤 개인이나 집단도 그들이 어떤 고정된 결과에 도달했는지 아니면 못 미쳤는지에 의해서 판단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움직 이고 있는 방향에 의해서 판단될 것이다. 나쁜 사람은 지금까지 그가 아무리 선한 사람이었다 하더라도 현재 타락하고 있는, 선을 상실해 가고 있는 사람이다. 선한 사람은 지금까지 그가 아무리 도덕적으로 무가치한 사람이었을지라도 점점 나아지는 쪽으로 움 직이는 사람이다. 우리는 이런 생각을 통해 스스로를 판단할 때에는 엄격하게, 타인을 판단할 때에는 인간적으로 된다. 이는 고정 된 목적에 접근하는 정도에 기초한 판단에 언제나 수반되는 거만함을 배제한다. - 듀이, “철학의 재건”

듀이는 퍼스와 제임스 이후 실용주의를 체계적으로 확립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듀이는 자신의 철학 이론이 실용주의 (pragmatism)보다는 도구주의(instrumentalism)로 불리는 것을 더 선호하였다. 듀이는 지식을 형성하는 모든 기초 개념을 인 간 자신의 욕망과 욕구를 만족시키고자 환경에 적응하거나 환경을 지배하려는 도구 또는 그러한 실제적 활동에 필요한 도구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지적인 도구들이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용한 역할을 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신념이나 지식의 가치 가 결정된다고 보았다.

듀이의 실용주의의 특징은 무엇인가?심화 학습 ·테마 1

• 신앙이란 개체가 개별자로서 보편적인 것보다 더 상위에 있고, 보편적인 것에 대하여 권리를 지키고 있음으로써 그 밑에 종속하 는 것이 아니라 그 상위에 놓인다는 데 그 역설이 있다. 특히 유의해야 할 것은 개체가 개별자로서 보편적인 것의 하위에 놓인 다 음에, 그 보편적인 것을 통하여 개체로서 보편적인 것의 상위에 있는 개별자가 된다고 하는 역설, 개체가 개별자로서 절대자와의 절대적인 관계에 서게 된다는 역설이다. 이 입장은 매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모든 매개는 바로 보편적인 것의 힘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입장은 영원히 역설로 남을 것이며, 사고로는 접근할 수가 없다. - 키르케고르, “공포와 전율” • 절망은 ‘죽음에 이르는 병’이다. 이 개념, 즉 죽음에 이르는 병은, 특별한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말 그대로 이것은 그 끝과 결 과가 죽음인 질병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불치의 병’이라는 표현을 죽음에 이르는 병과 동의어로 사용한다. 그런 의 미에서는 절망을 죽음에 이르는 병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스도교적으로 이해할 때, 죽음 그 자체는 삶으로의 변화이다. 따라서 그리스도교적 관점에서 보자면, 그 어떤 세속적, 육체적 질병도 죽음에 이르는 병이 아니다. 왜냐하면 죽음이 사실 모든 질병의 끝이기는 하지만, 궁극적인 끝은 아니기 때문이다. 만일 엄밀한 의미에서 죽음에 이르는 병에 대한 그 어떤 물음이 있다고 한다면, 그 병은 곧 그 끝이 죽음이고 또 죽음이 그 끝인 그런 질병이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절망이라고 하는 것이다. - 키르케고르, “죽음에 이르는 병”

키르케고르는 선택 앞에 놓인 개인에게 객관성이 아니라 오직 주체성만이 답을 줄 수 있다고 보면서 “주체성이 진리이며 진리는 개별적이고 주관적인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그는 인간은 실존적 상황에서 늘 불안을 느끼며, 주체적 결정을 회피하면서 빠지게 되는 절망을 ‘죽음에 이르는 병’이라고 불렀다. 그는 실존적 상황에서의 불안과 절망을 벗어나기 위한 방법으로 심미적 단계, 윤리적 단계, 종교적 단계라는 세 단계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종교적 단계에서 인간이 ‘신 앞에 선 단독자’로서 신에게 귀 의하기로 선택하게 될 때 인간은 불안과 절망을 극복하고 진정한 실존을 찾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키르케고르의 실존주의의 특징은 무엇인가?심화 학습 ·테마 2

90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25쪽 01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관념 또는 신념이 참이라 합시다. 그것이 참이라고 해서 실제 생활에 구체적으로는 어떤 차이가 생겨납니까? 그 진리는 어떻게 실현되나요? 다시 말해 경험이란 견지에서 볼 때 진리가 지니는 현금 가치는 무엇입니까? 우리는 이 질문에 대해 곧 이렇게 응답합니다. 참된 관념이란 우리가 동화하고 효력 있게 확인, 확증할 수 있 는 관념이고, 거짓된 관념이란 그렇게 할 수 없는 관념입니다. 참된 관념을 가지고 있게 되면 실제로 그런 차 이가 생겨납니다. 그러니까 그 점이 바로 진리의 의미이지요.

① 이롭다고 하는 것과 옳다고 하는 것은 같은 맥락을 지니는 것이다. ② 지식은 우리의 삶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때 비로소 가치를 지닌다. ③ 옳은 것이란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우리에게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④ 인간이 믿고 있는 진리는 확고부동하거나 절대적으로 불변하는 것이 아니다. ⑤ 우리가 가진 신념은 유용성의 유무와 관계없이 그 자체로 가치를 지닐 수 있다.

7052-0103

02 그림에서 학생들이 모두 옳은 대답을 했다고 할 때, A 사상가의 관점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A 사상가에 대해 발표해 봅시다.

인간의 삶은 끊임 없는 문제 해결의 과정이라고 보았습 니다.

성장과 개선과 진보 의 과정이 중요하다 고 강조하였습니다.

자신의 철학을 가리킬 때 실용주의보다 도구주 의라는 표현을 즐겨 사 용하였습니다.

ㄱ. 행위의 도덕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유용성이 아니라 정언 명령에의 일치 여부이다. ㄴ. 역사적 전통과 다수의 견해에 바탕을 둔 이론은 그 자체로 절대적 가치를 지닌다. ㄷ. 도덕이나 윤리는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얼마든지 변화하고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ㄹ. 고정된 목적에 도달하는 것보다 현재의 상황을 능동적으로 바꾸어 가는 과정이 중요하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104

11. 실용주의와 실존주의 91

정답과 해설 25쪽

03 갑, 을, 병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갑은 언제 어디서나 적용되는 보편타당한 법칙을 발견할 수 있다고 본다. ② 을은 행위의 옳고 그름은 행위의 결과와 무관하게 판단될 수 있다고 본다. ③ 병은 도덕이나 윤리가 자연 과학적 지식과는 달리 절대적인 가치를 갖는다고 본다. ④ 갑, 을은 경험과 관찰을 통해 얻은 지식이 진리를 발견하는 데 기여하지 못한다고 본다. ⑤ 갑, 을, 병은 현실적 삶에서 유익함을 줄 수 있는 행위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7052-0105

04 병의 입장에서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에게 제기할 수 있는 반론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순수 실천 이성은 그 자체만으로 실천적이고, 우리가 윤리 법칙이라고 부르는 보편적 법칙을 인간에게 준다. 그렇기 때문에 도덕은 순수 실천 이성의 힘에 의해 그 자체만으로 충분하며 다른 어떤 것을 필요로 하지 않 는다.

ㄱ. 도덕은 다른 무엇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이다. ㄴ. 행위의 도덕적 가치는 행위가 산출할 유용성과 무관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ㄷ.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는 각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ㄹ. 고정적이면서 절대적인 가치는 존재하지 않으며 도덕이나 윤리도 변화하고 성장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7052-0106

[03~04] 갑, 을, 병은 서양 사상가들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갑: 인간은 모든 것의 척도이다. 존재하는 것에 대해서는 그것이 존재한다는 것의 척도이며,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그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의 척도이다. 을: 인간은 쾌락과 고통이라는 두 군주의 지배하에 놓인 존재이다. 인간이 무엇을 할 것인지와 무엇을 해야 하 는지를 결정하는 일은 오직 이 두 군주의 지배에 달려 있다. 병: 인간은 문제 상황 속에 놓여 있는 존재이다. 인간은 그 문제를 해결하고 상황에 적응해야 살아남을 수 있 으므로 능동적이고 실천적이어야 한다. 따라서 지식이나 관념이 그러한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도구로서 구실을 못한다면, 수정되거나 대체되어야 한다.

92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5 갑, 을, 병의 입장을 다음 그림으로 탐구하고자 할 때, A ~ D에 들어갈 적절한 질문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윤사11-1

<범 례>

: 판단 내용 : 판단 방향 : 사상가의 입장 : 출발 조건

갑, 을, 병의 입장을 탐구한다.

아니요

아니요

을의 입장갑의 입장 병의 입장

예예

C

B

A

D

ㄱ. A: 개개인의 주체성과 실존에 대한 자각을 중시해야 하는가? ㄴ. B: 공동체의 관습과 다수의 사람들이 지지하는 사고방식에 따라 살아야 하는가? ㄷ. C: 신 앞에 홀로 서서 스스로 신에게 귀의할 때 참된 실존에 도달할 수 있는가? ㄹ. D: 인간은 먼저 실존한 다음에 자신의 모습을 만들어 가는 존재인가?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7052-0107

06 갑, 을, 병 사상가들이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에게 공통으로 제기할 수 있는 반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진실로 객관적인 도덕 법칙만이 자기애(自己愛)가 최상의 실천 원리에 미치는 영향을 전적으로 배제하고, 자 기애의 주관적 제약을 법칙으로 지시하는 자만을 끊임없이 몰아낸다. 그런데 우리 자신의 판단에 있어서 우 리의 자만을 몰아내는 일은 일반적으로 사람을 겸허하게 한다. 따라서 모든 사람이 도덕 법칙과 자기 본성 중 에 있는 감성적 성벽(性癖)을 비교할 때, 필연적으로 모든 사람을 겸허하게 한다.

① 삶의 의미를 올바르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절대적으로 신의 도움이 필요함을 간과하고 있다. ② 도덕은 행복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가치 있고 숭고한 것임을 모르고 있다. ③ 인간의 자연적 경향성을 버리고 순수하게 도덕 법칙을 따르려는 마음이 필요함을 부정하고 있다. ④ 철학의 과제가 인간의 이성적 능력에 대한 탐구와 그에 따른 객관성 확보에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 ⑤ 도덕의 보편성 확보에 치중한 나머지 각 상황에서 인간의 개별적인 선택이 중요함을 간과하고 있다.

7052-0108

[05~06] 갑, 을, 병은 현대 서양 사상가들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갑: 현존재의 역사성에 대한 분석은, 이 존재가 ‘역사 안에 서 있기’에 ‘시간적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역으 로 오직 그가 자신의 존재의 근거에서 시간적이기에, 역사적으로 실존하며 실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려고 시도한다. 을: 그리스도교가 관심을 갖는 것은 주체성이다. 그리스도교는 객관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철학의 길은 객 관적으로 되는 것을 가르치는 반면, 그리스도교는 진리 안에서 주체적으로 되는 길을 가르친다. 병: 사람은 스스로를 창조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선고를 받은 것이요, 세상에 한번 내던져지자마자 자신의 행 동에 책임을 져야 하기 때문에 자유로울 수밖에 없다.

11. 실용주의와 실존주의 93

정답과 해설 25쪽

07 (가)의 갑, 을 사상가들의 관점에서 대답할 때, (나)의 ㉠,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갑: 문제는 나 자신의 사명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즉 신께서 내가 무엇을 하기를 참으로 원하고 계 신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나에게 진리인 진리를 찾는 것, 내가 그것을 위해 살고 또 그것을 위해 죽기 를 진심으로 원하는 이념을 찾아내는 것이 필요하다. 을: 실존주의자가 생각하는 인간은 정의될 수 없는 존재이다. 왜냐하면 인간은 처음에 아무것도 아닌 존재이 기 때문이다. 사람은 자신이 스스로를 만들어 가는 것 이외엔 아무것도 아니다. 이것이 실존주의의 제1원 리이다.

(나)

갑: ㉠ 그러면 불안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을: ㉡ 그러면 참된 실존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 ㉡

① 주체성이 진리임을 파악하라.

이성을 바탕으로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진리를 추구 하라.

② 신 앞에 홀로 서서 신에게 귀의할 것을 결단하라.

신이 없기 때문에 스스로 자신의 모든 것을 선택하고 그에 대해 책임져라.

과학 기술 문명의 힘으로 ‘죽음에 이르는 병’을 극복 하라.

이성을 바탕으로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진리를 추구 하라.

쾌락의 허망함을 깨닫고 윤리적으로 성찰하는 삶에 힘써라.

과학 기술 문명의 힘으로 ‘죽음에 이르는 병’을 극복 하라.

신에게 의지하지 않고 자신의 모든 것을 선택하고 그 에 대해 책임져라.

쾌락의 허망함을 깨닫고 윤리적으로 성찰하는 삶에 힘써라.

7052-0109

08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불안이 현존재 속에 분명하게 드러내 놓은 것은, 현존재가 가장 독자적 존재 가능에 이르는 존재라는 것, 즉 그는 자기 선택과 자기 포착의 자유를 향해 열려 있다는 것이다. • 현존재의 종말로서의 죽음은 현존재의 가장 독자적이고, 교섭 불가능하며, 확실하고 뛰어넘을 수 없는 가 능성이다. 죽음은 순수한 소멸과도 단순한 끝장과도 종말의 체험과도 엄격하게 구별된다.

ㄱ. 동물과 달리 인간만이 죽음을 주체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ㄴ. 현실의 인간은 불안과 염려 속에 살아가는 현존재라고 할 수 있다. ㄷ. 실존을 찾기 위해 불안과 공포의 원인인 죽음을 회피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ㄹ. 참된 실존의 회복을 위해 다수의 사람이 선호하는 가치에 따르는 삶이 요구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7052-0110

94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THEME 현대 덕 윤리와 배려 윤리 및 서양 사상의 특징과 의의12

2 배려 윤리 ⑴ 등장 배경 ① 근대 윤리의 한계 비판: 의무 중심의 근대 윤리는 보편적 도덕 원리를 강조함으로써 삶의 구체적 상황과 인간관계를 간과함 ② 여성주의 윤리의 영향: 여성주의 윤리는 기존의 윤리가 남성 중 심적 가치관을 반영하고 있으며, 여성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도덕 적 가치를 무시해 왔다고 비판함

⑵ 특징 ① 독립적·자율적 자아관을 기초로 보편적·추상적 도덕 원리를 강조하는 칸트, 롤스, 콜버그의 사상 등이 여성적 특성을 간과하 고 남성적 특성만을 반영한 편향된 시각이라고 비판함

구분 칸트의 사상 롤스의 사상 콜버그의 사상

특징

개인의 실천 이성 의 명령으로 제시 되는 보편적 도덕 법칙을 강조함

합리적 개인들이 원초적 입장에서 보편적 정의의 원 칙을 도출할 수 있 다고 주장함

도덕성을 도덕적 추론 및 판단 능력 으로 규정하고, 정 의를 최고의 도덕 원리로 제시함

공통점 이성, 공정성, 보편성 등을 중시함

② 배려, 공감과 동정심, 인간적 유대, 희생과 헌신, 책임 등 여성적 특성을 강조함 ③ 다른 사람들을 보살피고 배려하는 공동체적 관계가 중요하다고 여김

⑶ 대표 사상 ① 길리건의 사상 •여성과 남성의 도덕적 성향에 차이가 있다고 봄 → 남성은 정 의·권리·자율성·독립성 등에 근거하여 도덕 판단을 내리는 경향이 있는 반면, 여성은 배려·책임·관계·맥락 등에 초점을 맞춤 •남녀의 도덕적 성향 차이는 양육 과정에서 서로 다른 경험을 함 으로써 형성된다고 주장함 → 남자아이는 어머니로부터의 독립 을 통해 남성성을, 여자아이는 어머니와의 애착 관계를 통해 여 성성을 형성함

1 현대 덕 윤리 ⑴ 등장 배경: 근대 윤리의 한계 인식 ① 공리주의와 칸트의 윤리로 대표되는 근대 윤리가 “무엇을 해야 만 하는가?”라는 문제에 집중한 나머지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하 는가?”라는 문제를 소홀히 함 ② 근대 윤리가 인간의 행위에 관한 보편적 도덕 원리를 중시함으 로써 행위자의 욕구나 감정, 행위자가 처한 특수한 상황 등을 간 과함 ③ 근대 윤리가 자율적·이성적 존재로서 개인을 강조함으로써 공 동체의 도덕적 전통과 관습을 경시함

⑵ 특징 ① 행위자 중심의 윤리 •옳고 선한 행위를 하려면 무엇보다 유덕한 성품을 길러야 한다 고 주장함 •옳은 행위는 행위자의 훌륭한 도덕적 품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고 봄 → 유덕한 사람이 할 법한 행위가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라 고 봄 ② 이상적인 인격 모델 제시: 덕망이 높은 인간을 통한 도덕적 삶의 모범을 제시함 ③ 자연적 감정 중시: 구체적 상황과 맥락에서 자연스러운 감정의 계발과 발휘를 통해 덕이 형성된다고 봄 ④ 공동체적 삶 중시: 도덕은 공동체의 전통과 삶의 양식, 관습 등 에서 나오며, 덕목 또한 공동체적 삶 속에서 비롯된다고 봄

⑶ 한계와 그 극복 방안 ① 한계 •상황과 맥락에 따라 도덕적 판단의 유연성을 강조하는 행위자 중심의 윤리이므로 상대주의로 흐를 수 있음 •서로 친숙하지 않은 개인들이 모여 살아가는 대규모 시민 사회 에서 특수한 도덕적 모범이나 특정 사회의 전통이 일방적으로 주 입될 수 있음 ② 극복 방안: 덕 윤리와 근대 윤리를 양자택일의 관점이 아니라 상 호 보완적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음

현재의 도덕 언어는 심각한 무질서 상태에 놓여 있으며, 이들에게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내용이 결여되어 있는데도 우리는 도덕적 언어가 마치 모두에 게 동일한 의미로 통용되고 있는 것처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각각의 도덕적 주장에서 사용되는 개념들은 서로 다른 전통으로부터 비롯된 것이어서 실제로 각자는 대립적인 신념이나 소망을 단순히 주장하고 있을 뿐 결국 도덕적 가치에 관해 화해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 매킨타이어, “덕의 상실” -

매킨타이어는 현대의 도덕적 위기가 전통으로부터 단절된 도덕과 문화 때문이라고 본다. 그는 상실된 과거의 도덕적 전통을 복원하여 그 속에서 객관성과 권위를 발견함으로써 현대의 도덕적 위기 상황을 몰고 온 도덕과 문화를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의 등장 배경자료와 친해지기

12. 현대 덕 윤리와 배려 윤리 및 서양 사상의 특징과 의의 95

www.ebsi.co.kr

⑷ 의의 및 한계와 그 극복 방안 ① 의의 •도덕 문제에 대한 남녀의 접근 방식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 줌으 로써 도덕적 삶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힘 •연민, 동정심 등을 강조함으로써 도덕적 감정의 중요성을 재인 식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함 ② 한계 •도덕적 지식, 판단력, 실천 의지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된 도덕 성을 감정 혹은 정서에만 국한시켰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음 •상황이나 사람에 따라 배려의 표현 방식이나 정도가 다를 수 있 으므로 상대주의로 흐를 수 있음 ③ 극복 방안: 정의 윤리와 배려 윤리가 상호 보완적 관계임을 인식 할 필요가 있음

3 서양 윤리 사상의 특징과 의의 ⑴ 특징 ① 신 중심 사상과 인간 중심 사상이 상호 작용하며 발전함 •신 중심 사상: 신을 윤리적 삶의 최종 근거로 삼고, 신을 중심으 로 바람직한 인간의 삶이 무엇인지 탐구함 •인간 중심 사상: 인간의 본성,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 규범의 보 편성과 상대성 등을 논의하며 바람직한 인간의 삶이 무엇인지 탐 구함 ② 인간의 본성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윤리 사상을 발전시킴

이성 중시 사상

소크라테스·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 → 스토아학파 → 이 성주의 → 칸트

경험 중시 사상

소피스트 → 에피쿠로스학파 → 경험주의 → 공리주의 → 실용주의

⑵ 의의 ① 인간의 도덕적 삶과 올바른 사회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해석을 제시함으로써 현대 사회와 개인의 삶을 폭넓게 이해하는 사고의 틀을 제공함 ② 개인들 각자는 물론 사회 전체가 고민해야 할 본질적인 문제들을 재발견하고 사유하는 데 큰 도움을 줌

•칸트, 롤스의 사상을 정의 윤리로 규정하고, 정의 윤리가 남성적 특성만을 반영하였으며 여성을 도덕적으로 열등한 존재로 특징 지었다고 비판함 •오랫동안 여성의 도덕적 성향이 배제되고 존중받지 못했다는 점 을 지적하며 여성의 ‘다른 목소리’, 즉 배려 지향적인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함 •정의 윤리와 배려 윤리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이며 도덕적 성숙 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주장함

구분 정의 윤리 배려 윤리

성격 남성적 윤리 여성적 윤리

강조점 정의, 이성, 공정성, 권리 배려, 공감, 유대감, 책임

관계

정의 윤리와 배려 윤리는 서로 상하 관계에 있거나 대립적이지 않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임

② 나딩스의 사상 •배려의 윤리학적 토대를 다지고, 배려를 고양할 수 있는 교육적 방법을 정립하는 데 이바지함 •배려하는 사람과 배려받는 사람 사이의 관계성을 강조함 → 배 려하는 사람이 배려를 했을 때 배려받는 사람이 수용함으로써 배 려가 완성됨 •어머니와 자녀 사이의 관계를 배려의 원형으로 삼아 친밀한 사 람들뿐만 아니라 낯선 타인, 동식물과 지구 환경 등에까지 배려 가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함

구분 자연적 배려 윤리적 배려

성격

타인을 배려하는 자연스러운 감정에서 이루어지는 배려

타인을 배려해야 한다는 의무 감에서 이루어지는 배려

관계

자연적 배려는 윤리적 배려의 근원이며, 모성적인 배려가 자연 적 배려의 전형임

•배려 윤리가 여성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성이기는 하지만, 남성에게 배타적인 것은 아니라고 주장함 → 남성 또한 관계적 존재임을 깨닫고 배려를 함양해야 함

여성은 관계 있는 사람들과 말하고 싶어 하고, 그들의 눈과 얼굴의 표정을 보고 싶어 하고, 전체 상황을 한눈에 평가하고 싶어 한다. 결국 도덕적 결정은 상황 속에서 이루어진다. 그래서 그것은 기하학 문제의 해법과는 질적으로 다르다. 여성은 일반적인 행위 의무론자와 같이 자신들의 행위의 이유를 제 시한다. 그러나 그 이유는 보편적 원칙이나 그것의 응용보다는 감정과 필요와 상황 조건, 개인적 이상에 대한 그들의 감각에 의거한다.

나딩스가 주장하는 배려 윤리는 상호성을 전제로 하는 관계적 윤리이다. 그녀에 의하면, 인간이 배려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관계 속에 있어야 한다. 그녀는 관계를 인간의 존재론적 기반으로 보고 배려의 관계가 윤리적 행위의 토대가 된다고 주장한다.

나딩스의 배려 윤리적 관점자료와 친해지기

96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THEME 12

덕은 인간의 획득된 자질이다. 덕을 소유하고 실행함으로써 어떤 실천 안에 들어 있는 선을 실현할 수 있게 되며, 덕을 결여하게 될 때 그러한 선을 실현할 수 없게 된다. 미래에 관한 표상을 전달하지 않는 현재는 없다. 현재는 현재 안에 있는 우리가 그것을 향해 나아가는 데 실패한 텔로스(telos) - 또는 다양한 목적이나 의도들 - 라는 형식으로 그 자신을 드러내는, 미래의 표상이다. 그리고 예 측 불가능성(unpredictability)과 목적론(teleology)은 인간의 삶의 부분으로 동시에 존재한다. 인간은 마치 허구적 이야기 속의 등장 인물처럼 장차 무슨 일이 벌어질지 알지 못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삶은 미래를 향하여 자신을 투사(投射)하는 모종의 형 식을 갖는다. 그러므로 인간이 삶을 통하여 실현하는 이야기들은 예측 불가능성과 더불어 부분적으로 목적론적 성격을 갖는다. … (중략)… 인간은 자신이 지어낸 허구들에서뿐만 아니라 자신의 행위와 실천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이야기를 말하는(story - telling)’ 동물이다. …(중략)… 인간에게 핵심적인 질문,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은 그것에 선행하는 질문, “나는 어떤 이야기의 부분인가?”를 고려하지 않고서는 대답될 수 없는 질문이다. - 매킨타이어, “덕의 상실”

매킨타이어에 의하면 인간이 하는 모든 실천은 전통이라는 무대에서 펼쳐지는 서사 속의 한 장면 같은 것이다. 자신의 삶의 이 야기는 자신의 정체성의 원천인 공동체의 전통 속에 담겨 있다. 그리고 전통 안에서 추구하는 선은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진다.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는 도덕은 하나의 전통 속에서 세대를 거쳐 행해진 인간의 삶의 수많은 실천 안에 들어 있다는 점, 도덕의 실천과 정당화는 모두 그러한 삶의 맥락 안에서 가능하다는 점 등을 보여 준다.

현대 덕 윤리의 특징은 무엇인가?심화 학습 ·테마 1

도덕 문제란 상충하는 권리들 중에서 어떤 것이 먼저이고 더 가치 있는 것인가를 따지는 데서 일어나는 것이라기보다는 서로 갈등 상태에 있는 책임들 중에서 어떤 것이 더 중요하고 우선인가 하는 것을 판단하는 데서부터 일어나는 것이다. 그리고 판단하기 위해 서는 추상적이고 형식적인 사고 양상보다는 상황적이고 담론적인 사고 양상이 요청된다. 이러한 도덕 개념은 배려의 활동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서, 도덕 발달을 책임성과 관계성에 대한 이해에 기초를 두고 살피게 되어 있다. 마치 도덕을 공정성이라는 의미에 서 개념화시키고 있는 도덕 개념에서는 도덕 발달을 권리와 규칙에 대한 이해에 연결시키고 있는 것과 같다. - 길리건, “다른 목소리로”

길리건은 배려의 윤리가 정의의 윤리에 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고 밝히고 있다. 첫째, 배려의 윤리는 정의의 윤리와 다 른 도덕 개념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원리와 규칙이라는 개념보다는 책임과 관계라는 개념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다. 둘째, 배려의 윤리는 형식적이고 추상적인 대상이나 추론 방식에 의존하기보다는 구체적 환경과 경험에 의존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배려의 윤리는 정의의 윤리와 달리 어떤 원칙 체계로 표현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행위, 곧 ‘돌보는 행위’로 표현된다는 것이다.

배려 윤리의 특징은 무엇인가?심화 학습 ·테마 2

12. 현대 덕 윤리와 배려 윤리 및 서양 사상의 특징과 의의 97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27쪽 01 그림의 강연자가 지지할 주장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도덕적 행위의 스펙트럼은 의무 사항만으로 환원하기 어려운 다양 성이 존재합니다. 우리의 일상에서 도덕적 의무가 아님에도 불구하 고 보통 사람들이 조금만 노력하면 수행 가능한 훌륭한 행위들이 얼 마든지 있습니다. 친절한 행위, 용기 있는 행위, 배려하는 행위 등은 굳이 의무로서 요구되는 것은 아니나 도덕적으로 높이 평가될 수 있 는 바람직한 행위들입니다. 우리는 도덕적 의무를 강조하는 도덕적 환원주의에서 벗어나 도덕적으로 권장할 만한 덕목들을 포함하는 보 다 넓은 윤리와 도덕을 수용해야 합니다.

ㄱ. 공리성의 원리에 따라 복잡한 도덕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ㄴ. 도덕 판단을 내리는 행위자의 욕구와 감정을 고려해야 한다. ㄷ. 훌륭한 성품의 함양보다 도덕적 의무의 이행을 중시해야 한다. ㄹ. 공동체적 삶 속에서 전승되어 온 사회적 덕목을 함양해야 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111

02 서양 사상가 갑, 을의 사상적 입장으로 옳은 것은?

갑: 인간은 자신이 지어낸 허구들뿐만 아니라 자신의 행위와 실천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이야기를 말하는 (story-telling)’ 동물이다.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은 그에 선행하는 질문인 ‘나는 어떤 이야 기의 일부분인가?’를 고려하지 않고서는 대답할 수 없다. 을: 자연은 인류를 두 군주, 즉 쾌락과 고통의 지배하에 두었다. 우리가 앞으로 무엇을 하게 될 것인가뿐만 아 니라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결정하는 것은 오직 이 두 요소이다. 한편으로는 옳고 그름의 기준이, 다른 한 편으로는 원인과 결과의 연쇄가 오직 이들의 지배에 달려 있다.

① 갑: 유용성의 원리를 도덕과 입법의 원리로 삼아야 한다. ② 갑: 자신이 소속된 공동체의 전통과 관습을 중시해야 한다. ③ 을: 쾌락의 사회적 측면보다 개인적 측면을 중시해야 한다. ④ 을: 의무 의식 없이는 도덕적 행위가 불가함을 알아야 한다. ⑤ 갑, 을: 절대적이고 무조건적인 도덕 법칙을 준수해야 한다.

7052-0112

98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3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의 관점에만 모두 ‘3’를 표시한 학생은?

덕은 일차적 개념이 아니고, 복합적, 역사적, 다층적 개념이기 때문에 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덕이 적용되는 배경이 필요합니다. 덕은 세 단계를 통해 전개되는데, 첫 번째 단계인 실천을 통해서는 개인 삶의 활동과 덕 의 관계를 알 수 있으며, 두 번째 단계인 이야기는 전체 삶과 덕의 관계를, 세 번째 단계인 전통은 덕이 개인 의 삶과 공동체와 관계 맺는 방식을 보여 줍니다.

학생

관점

갑 을 병 정 무

보편타당한 도덕 원리와 법칙을 수립해야 한다. 3 3

도덕이 형성되는 관계적 맥락을 중시해야 한다. 3 3 3

공동체의 전통과 관련지어 도덕을 이해해야 한다. 3 3 3 3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최고선으로 간주해야 한다. 3 3 3

① 갑 ② 을 ③ 병 ④ 정 ⑤ 무

7052-0113

04 (가)의 갑, 을 사상가들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탐구하고자 할 때, A ~ C에 들어갈 질문으로 옳은 것은?

(가)

갑: 동일한 도덕적 발달 단계에 있는 사람들은 그들이 처해 있는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딜레마 상황에서 유사한 도덕적 추론을 한다. 그리고 낮은 발달 단계에 있는 사람보다 높은 발달 단계에 있는 사람은 도덕 적 문제를 보다 보편적이고 타당한 방법으로 해결한다. 을: 전통적 발달 심리학이나 윤리학에서는 남성적 사고방식을 여성적 사고방식에 비해 우월한 것으로 규정하 여 심리 발달 단계나 도덕 원리를 구성한다. 그 결과, 여성들을 남성들에 비해 미성숙한 존재 또는 운명적 한계를 타고난 존재로 분류하는 성차별적 인식이 사실인 것처럼 유포되고 있다.

(나)

윤사02-1

<범 례>

: 판단 내용 : 판단 방향 : 사상가의 입장 : 출발 조건

갑, 을의 입장을 탐구한다.

아니요

갑의 입장 을의 입장

A

B

C

① A: 자율적 자아 형성을 위한 원리를 추구해야 하는가? ② B: 자아와 타자의 상호 의존 관계를 중시해야 하는가? ③ B: 추상적 원리보다는 구체적 상황에 주목해야 하는가? ④ C: 남성적 도덕성에 비해 여성적 도덕성은 미성숙한가? ⑤ C: 남성과 여성의 도덕성을 다른 것으로 보아야 하는가?

7052-0114

12. 현대 덕 윤리와 배려 윤리 및 서양 사상의 특징과 의의 99

정답과 해설 27쪽

05 그림은 서술형 평가 문제와 학생 답안이다. 학생 답안의 ㉠ ~ ㉤ 중 옳지 않은 것은?

서술형 평가

◎ 문제: 서양 사상가 갑, 을의 입장을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갑: 정의와 보살핌 사이의 대화는 양성 간의 관계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한다. 여성들의 경험 과 인식의 차이를 인정하는 것은 성숙에 대한 우리의 관점을 확장시키고, 발달의 진실이 갖는 맥락적 성격을 환기시킨다. 을: 덕들은 실천과 개인적 삶이 필요로 하는 역사적 맥락을 제공하는 전통을 유지한다. 자아에 대 한 서사적 관점에서는, 나의 삶의 역사는 나의 정체성을 제공하는 공동체의 역사 속에 편입되 어 있다. 역사적 정체성의 소유와 사회적 정체성의 소유는 일치한다.

◎ 학생 답안

갑, 을의 입장을 비교해 보면, 갑은 ㉠ 도덕은 언제 어디서나 정언 명령의 형식으로 존재하며, ㉡ 남녀의 도덕성에 차이가 있다고 보았다. 을은 ㉢ 도덕이란 공동체의 전통과 삶의 양식에서 비롯되며, ㉣ 옳은 행위는 훌륭한 도덕적 품성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갑, 을은 ㉤ 덕이 형성되는 인간관계의 맥락을 중시하는 공통점을 보여 준다.

① ㉠ ② ㉡ ③ ㉢ ④ ㉣ ⑤ ㉤

7052-0115

06 다음에서 강조하는 바람직한 삶의 자세로 가장 적절한 것은?

윤리적 자아는 나의 현상적 자아와 돌보는 자와 돌봄을 받는 자로서의 나의 이상적 자아 간의 능동적인 관계 를 통해 형성된다. 윤리적 자아는 나를 남들과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주고 다시 남을 통하여 나를 나 자신에게 연결시켜 주는 관계성을 근본적인 것으로 인정하면서 성립된다. 관계적 돌봄의 실천을 위해서는 개인주의적 인 자아가 아니라 상호 관계적인 자아가 필요하다.

① 인간으로서 지켜야 하는 절대적 도덕 법칙을 준수한다. ② 상대방을 독립적 인격을 지닌 도구적 존재로 대우한다. ③ 각각의 개인을 자율적 사고와 행위의 주체로 존중한다. ④ 타인의 사고와 행동을 구체적인 맥락 속에서 이해한다. ⑤ 법적 경계 내에서 타인들과 자유로운 경쟁을 추구한다.

7052-0116

100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7 갑은 긍정, 을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옳은 것은?

갑: 추론에 의해 결정된 공리는 새로운 성과를 발견하는 데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자연의 심오함은 훨씬 더 뛰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별자에서 출발해 올바른 순서를 따라 적절히 도출된 공리들은 새로운 개 별자를 쉽게 보여 주고, 학문의 증진을 가져온다. 을: 나는 사고하며 비연장적 존재에 불과하기 때문에 내 자신에 대해 명백한 관점을 가진다. 다른 한편으로, 나는 연장되고 비사유적인 존재에 불과하기 때문에 육체에 대해 명백한 관점을 가진다. 나는 나의 육체와 완전히 절대적으로 구별되며, 육체 없이 내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은 확실하다.

① 감각적 경험과 관찰에 의해 진리를 파악할 수 있는가? ② 신에 대한 절대적 믿음으로부터 진리를 구할 수 있는가? ③ 방법적 회의를 통해 명증적 진리를 연역해 낼 수 있는가? ④ 자명한 진리로부터 개별 사물의 이치를 추론할 수 있는가? ⑤ 훌륭한 품성을 갖추어야 도덕적 행위를 실천할 수 있는가?

7052-0117

08 그림은 어느 학생의 필기 내용이다. ㉠ ~ ㉤ 중 옳지 않은 것은?

현대 덕 윤리의 장점과 단점

1. 덕 윤리의 장점 - 공동체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 줄 수 있음 …………………………… ㉠ - 청소년들의 선한 성품 함양에 기여할 수 있음 ……………………… ㉡ - 보편적 도덕 원리를 바탕으로 판단을 내릴 수 있음 ………………… ㉢ 2. 덕 윤리의 단점 - 행위자 중심의 윤리로서 상대주의로 흐를 수 있음 ………………… ㉣ - 개인들에게 특정 공동체의 전통이 일방적으로 주입될 수 있음 …… ㉤

① ㉠ ② ㉡ ③ ㉢ ④ ㉣ ⑤ ㉤

7052-0118

12. 현대 덕 윤리와 배려 윤리 및 서양 사상의 특징과 의의 101

THEME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및 국가와 윤리13

② 관용의 의미와 한계

의미

자기의 신념과 다르더라도 타인의 생각이나 행동을 허용하고, 자 신의 신념과 생각을 다른 사람에게 강요하지 않는 것

한계

타인의 인권과 공동체의 근간이 되는 가치를 침해하는 행위나 태 도에 대해서는 관용을 베풀기 어려움 → 무조건적인 관용이란 있 을 수 없음

3 공동체와 연대 ⑴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 및 소속감 형성 ① 개인은 자신의 의지대로 삶의 목적을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존재인 동시에 공동체에 소속되어 공동체의 영향을 받으며 살아 가는 존재이기도 함 ② 도구적 공동체와 구성적 공동체(샌델의 구분)

도구적 공동체

자유주의의 관점으로 개인이 자신의 만족과 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선택하는 공동체

구성적 공동체

공동체주의의 관점으로 개인이 자아 정체성을 구성하고 삶의 방향 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는 공동체

⑵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개인적 자아 ①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인간관

자유주의의 인간관

• 개인은 자유로운 선택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한 다고 봄 • 개인의 가치가 집단의 가치에 비해 언제나 우월하며, 공 동체를 개인의 자유를 보호하고 증진하는 수단으로 봄

공동체주의의 인간관

• 개인의 정체성이 공동체의 전통과 가치를 통해 형성된 다고 봄 • 개인은 태어나면서부터 공동체에 소속되며 도덕적 유 대에 의해 결합된 공동체 안에서 바람직한 역할을 요 구받는다고 봄

②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개인의 자아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지나치게 압도할 정도로 강조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⑶ 공동선과 개인적 선의 조화 ① 공동체주의에서 강조하는 공동선과 자유주의에서 강조하는 개인

1 사회사상의 특징과 현대적 의의 ⑴ 특징 ① 사회사상은 탐구 대상인 사회가 끊임없이 변화하므로 시대에 따 라 변화를 거듭함 ② 같은 시대, 같은 문화권에서도 동일한 사회 문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제시됨 ③ 사회 현상을 분석하고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를 변화시키 려고 함

⑵ 현대적 의의 ① 다양한 사회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함 ② 사회 문제들을 비판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함 ③ 바람직한 미래상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줌

2 개인과 자율 ⑴ 개인의 선택권과 자율성 ① 개인은 자신의 삶을 스스로 계획하고 결정할 수 있는 선택권과 스스로 세운 원칙을 따르는 자율성을 지닌 존재임 ② 자유주의는 개인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국가가 존재하며, 국 가가 개인에게 특정한 가치관을 장려해서는 안 되고 다양한 신념 체계에 대해 중립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봄

⑵ 권리와 의무, 권리와 책임의 상호 보완적 관계 ① 사회 속에서 자신의 권리 행사는 다른 사람에 대한 의무와 책임 을 수반함 ② 권리와 의무, 권리와 책임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음

⑶ 사회적 갈등의 해결 ① 다원주의 사회에서는 서로 다른 가치관과 이해관계를 가진 개인 들이 함께 살아가기 때문에 갈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갈등 해결 을 위해 관용의 미덕이 요구됨

한 전통 속에서 덕의 추구는 대대로 이어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세대를 거쳐 이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선에 대한 개인의 추구는 일반적으로 그리고 특징적으로 전통에 의해 정의된 하나의 맥락 안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실천에 내재하는 덕뿐만 아니라 개인적 삶의 덕에도 타 당하다. - 매킨타이어, “덕의 상실”

매킨타이어는 덕을 함양하고 발휘하면 선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덕을 상실하면 선을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본다. 그는 덕의 함양과 발휘가 공동체의 살아 있는 전통 안에서 가능하다고 보고, 한 개인의 자아 역시 공동체에 면면히 흐르는 전통에 의해 형성되고 성장한다고 본다.

공동체주의의 자아관자료와 친해지기

102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③ 시민 불복종에 관한 롤스의 입장 •국가가 정의에 어긋나는 정책을 시행한다면 시민 불복종을 행사 하는 것도 정치적 의무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음 •시민 불복종이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공공성, 공개성, 비폭력성, 최후의 수단, 불복종으로 인한 불이익이나 처벌 감수 등의 조건 을 갖추어야 함

⑵ 자민족·자국가 중심주의의 위험과 건전한 애국심 ① 자민족·자국가 중심주의의 의미와 문제점

의미

자기 민족과 국가의 이익만을 우선시하고 자기 민족과 국가가 다른 민족과 국가보다 우월하다고 여기는 태도

문제점

• 다른 민족이나 국가를 배척하고 국수주의적 관점에서 자 기 민족이나 국가만을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경향을 나 타냄 • 소수 민족이나 외국인 등을 억압하는 논리로 작용하거나 국 제 분쟁이나 대외 침략의 원인이 되기도 함

② 건전한 애국심의 함양 •애국심은 국가에 대한 사랑뿐만 아니라 동료 시민, 공동의 질서 에 대한 존중까지 포함함 •맹목적 애국심이 아닌 자유, 평등, 인권과 같은 보편적 가치를 존중하는 가운데 다른 민족이나 국가와 호혜적 관계를 유지하는 분별력 있는 애국심을 지녀야 함

⑶ 충성, 호국 정신의 숭고함과 청백리 정신의 필요성 ① 충성, 호국 정신의 숭고함 •우리 민족과 국가가 유지되고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는 선조들 의 충성심과 호국 정신이 있었기 때문임 •선조들의 충성심과 호국 정신을 계승하여 자유롭고 평화로운 국 가를 만들도록 노력해야 함 ② 청백리 정신의 필요성 •국가 발전을 위해서는 국가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공직자가 자신의 역할을 다해야 함 •공직자는 이상적인 미덕으로 청렴하고 결백한 마음가짐인 청백 리 정신을 지녀야 함

적 선은 조화를 이룰 수 있음 ② 공동선과 개인적 선이 조화를 이루려면 다른 구성원과 함께 살아 가고자 하는 연대 의식이 필요함

4 국가와 윤리 ⑴ 정치적 의무의 도덕적 근거 ① 정치적 의무는 좁게는 국가의 법과 제도를 비롯한 공공의 규칙을 준수할 의무를 말하며, 넓게는 공동체의 공공선을 실현하는 의무 를 의미함 ② 정치적 의무의 도덕적 근거에 대한 다양한 입장

인간 본성론

• 인간의 본성에 따라 국가를 구성하고 구성원이 되었다면 정 치적 의무를 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임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적 의무는 인간의 정치적 본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국가의 구성원이 된다는 사실로부터 자 연적으로 파생되는 현상임 • 한계: 인간의 본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우며, 인간 본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존재함

동의론

• 국가는 개인들의 동의에 의해 형성되며 국가 형성에 대한 동의로부터 정치적 의무가 발생함 • 로크: 명시적 동의뿐만 아니라 묵시적 동의에 의해서도 정치 적 의무가 성립함 • 한계: 명시적이건 묵시적이건 현실적으로 개인이 정치적 의 무를 이행하기로 동의하는 경우는 거의 없음

혜택론

• 국가가 제공하는 치안, 국방 등 공공재의 혜택이나 제도, 법 률 등 관행의 혜택을 누리기 때문에 정치적 의무를 지게 됨 • 흄: 국가가 안전과 보호라는 이익을 제공하기 때문에 국민은 정치적 의무를 다해야 함 • 한계: 국가를 수단적 가치로만 여기게 할 수 있고, 자신에게 돌아오는 혜택의 여부만을 고려하여 정치적 의무 이행에 소 홀해질 우려가 있음

자연적 의무론

• 생명을 보존하고 존중할 의무,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곤경에 처한 사람을 도울 의무 등 인간이면 누구나 따라야 할 자연적 의무가 있음 • 인간이 국가를 구성하여 정의를 실현하고 공동선을 증진하 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며, 정치적 의무는 정의와 공동선을 실현하기 위해 지켜야 하는 자연적 의무임 • 한계: 정치적 의무 중에는 도덕적 선이 아닌 효율성이나 편 의성 등을 추구하기 위한 것도 존재함

• 정의는 자기 이익에 기초하고 있는 인간관계를 가정했을 때 발생한다. 정의는 인간의 존재 상황과 욕구로부터 발생하는 인위적 조작에 의해 도덕적 승인과 함께 인간의 행복을 낳는다. 정의감은 인간의 삶에 내재하는 불편을 시정하기 위한 하나의 관례로부터 발생하며, 이러한 구제 수단은 인간의 인위적 조작으로부터 발생한다. - 흄,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 정의의 행위 규칙은 인간의 인위에 의해 성립되며, 그러한 정의 규칙은 임의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 아니라 사회 구성원들이 느끼는 이익 개념과 또한 사회 공익성에 준해서 도덕적으로 성립된다. - 흄, “도덕 원리에 관한 연구”

흄이 주장하는 정의의 개념은 어떤 합의나 계약에 의해서가 아니라,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서 보편적으로 인지된 이익 개념에 기초해서 성립된다. 이와 같이 인위적으로 조작된 이익 개념이 하나의 사회적 선(善)으로서 공익 개념으로 정착될 때, 바로 이 공익 개념이 사회 정의이며, 이것을 실 행하고 관리하기 위해 정치 사회 구성의 필요성을 갖게 된다.

흄이 주장하는 정의의 개념자료와 친해지기

13.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및 국가와 윤리 103

THEME 13

롤스는 ‘원초 상태(原初狀態)’라는 가설적 상황에서 자유롭고 평등한 도덕적 인격자들이 두 가지 정의의 원칙을 전원 일치로 합의 를 해 낸다고 주장한다. 이 점에서 롤스의 정의론은 사회 계약설의 전통을 이어받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롤스는 사회 계약설적 입장에서 당사자들이 여러 대안 가운데 가장 합리적인 대안을 선택할 때에 그들이 갖추어야 할 자격 요건을 ‘원초적 입장’이라 부른 다. 이 ‘원초적 입장’이란 ‘무지의 베일’로서 당사자들이 인지상 아무런 조건이 없음을 배경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무지의 베일 은 원초적 입장의 조건 중에서 지식에 관련된 조건으로서 원초적 입장의 당사자들이 그와 그가 소속된 사회의 특수한 상황에 무지 하다는 것을 전제한다. 당사자들은 자신의 사회가 처한 특정 여건, 그리고 자기가 무엇을 선이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가치관이나 지식에서도 배제된다. 나아가서는 그가 처한 정치적, 경제적 상황이나 문명 및 문화도 그 상황과는 무관한 것이며, 알아서도 안 된 다. 또한 상호 무관심적 합리성을 주장하는데, 이는 정의의 여건 가운데 주관적 여건과 관련되는 것으로서 원초적 입장의 당사자들 이 합리적인 인간이며, 그들은 이타적인 존재도 아니고 그렇다고 해서 다른 사람에게 손해만 입힌다면 자신의 어떠한 손실도 선뜻 받아들이는 그러한 파괴적인 시기심에 가득 찬 존재도 아니라는 점이다.

롤스는 정의의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무지의 베일을 설정하고 상호 무관심적 합리성을 발견하기 위해 원초적 입장을 제안한다. 그는 원초적 입장에 있는 당사자들은 서로 무관심하고 자신의 이익을 최대한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합리적인 자들이라고 규정한 다. 롤스는 원초적 입장에서 당사자들인 개개인은 다른 사람들의 유사한 자유와 양립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기본적 자유에 대 하여 동등한 권리를 갖는다고 주장하였다.

롤스의 자유주의의 특징은 무엇일까?심화 학습 ·테마 1

인간은 가정에서 태어나 필요에 의해서 그리고 자연적 욕구와 관습에 의해서 사회를 유지하도록 강제된다. …(중략)… 인간은 사회 정의 없이는 인간들 사이에 어떠한 형태의 안전이나 사회 이익이 없다는 점을 인식하고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정치 사회를 수립하 려고 하는 바, 바로 여기에 하나의 제도로서 기능하는 통치 정부의 발생이 기초한다. …(중략)… 모든 인간은 평화와 질서를 유지하 기 위해 정의의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하며, 또한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바로 그러한 정의를 유지시킬 필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 다. 그러나 이러한 강력하면서도 분명한 욕구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본성상 치유 불가능한 속성, 즉 ‘영혼의 편협성’ 때문에 그러한 정의를 실현하는 데 취약한 상태에 있다. 결국 인간은 사회 정의를 위반하고 침해하는 사람들을 저지하고 사회를 보호하기 위해 통 치 정부를 수립할 수밖에 없으며 또한 그에 복종해야 할 도덕적 의무를 지니는 것이다. - 흄, “도덕과 정치 에세이”

흄은 정부가 발생한 근본 이유를 사회 구성원들이 느끼는 사회 공익성 개념에 기초하여 바라보았으며, 정부는 이러한 사회적 정 의를 실현시키기 위해 인간이 고안한 산물이라고 본다. 그는 정부를 인간 본성의 취약점을 보강하는 관습적 제도로 이해한다. 흄은 시민들이 정부에 복종함으로써 평화, 정의, 자유, 생명, 재산권의 안전 등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보고, 이러한 이익을 정 부가 제공하지 못한다면 정부는 발생할 수 없을 것이라고 본다. 흄은 정치적 복종의 근본적 동기가 사회 구성원들이 통치 기구 를 통해 인간들 사이에 평화와 질서를 가져올 수 있다고 느끼는 이익 관념에 기초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흄이 주장한 정치적 의무의 근거는 무엇일까?심화 학습 ·테마 2

104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28쪽 01 그림의 ‘A 사상’의 입장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오직 각자의 능력과 권리에 의해서만 그의 자연적 조건이 규율되어야 한다. 외부적인 자연적 조건 그 자체는 인간의 어떠한 제도에 의해서도 왜곡되지 않고 그대로 남겨져야 한다. 각각의 개인은 오로지 그 자신의 완전한 개체성을 통해서 발현되는 에너지 에 의해 그 자신을 계발하게 되는 가장 절대적인 자유를 누려야 한다.

A 사상의 관점

ㄱ. 모든 인간은 타인에게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가진다고 본다. ㄴ. 각 개인이 지닌 삶의 목적과 자유 의지는 침해될 수 없다고 본다. ㄷ. 개인의 정체성은 공동체의 전통과 가치를 통해 형성된다고 본다. ㄹ. 공동선을 실현해야만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보장될 수 있다고 본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119

02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나는 누군가의 아들 혹은 딸이며, 누군가의 사촌 혹은 삼촌이다. 나는 이 도시 혹은 저 도시의 시민이며, 이 조합 혹은 저 단체의 구성원이다. 나는 이 종족, 저 씨족, 이 민족에 속해 있다. 나에게 좋은 것은 이러한 역할 을 지닌 사람들에게 좋은 것이다. 나는 나의 가족, 도시, 종족, 민족의 과거로부터 다양한 은혜와 유산, 올바 른 기대와 책무를 물려받았다. 이런 것들이 삶의 소여(the given), 나의 도덕적 출발점을 이룬다. 이는 부분적 으로 나의 삶에 그 도덕적 특수성을 부여한다.

① 각 개인은 독립된 자아로서 존중되어야 하는가? ② 개인 이익과 공동 이익은 상호 모순 관계에 있는가? ③ 자유 의지를 제약하는 모든 규제를 철폐해야 하는가? ④ 사회 구성원은 공동체와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는가? ⑤ 공동체는 개인의 자유를 보호하고 증진하는 수단인가?

7052-0120

13.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및 국가와 윤리 105

정답과 해설 28쪽

03 갑, 을은 현대 사회사상가들이다. 을이 갑에게 제기할 수 있는 비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정치권력은 결합체로서의 자유롭고 평등한 시민들이 갖는 강제력이다. 그렇기 때문에 헌법적 필수 사항들 및 정의의 기본 문제들이 쟁점이 될 때, 모든 시민들이 공통된 인간 이성의 견지에서 지지할 것이라고 합 당하게 기대될 수 있는 방식으로만 행사되어야 한다. 을: 무연고적 자아는 우리의 도덕적 경험을 설명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우리가 공통적으로 인정하고, 심지어 높이 평가하는 어떤 도덕적·정치적 책무들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책무들은 개인의 선택과는 무관한 도덕적 연대를 포함하고 있다.

①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개인들의 합리성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② 사회 구성원들은 타인의 선에 관심이 없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③ 전통적으로 강조된 도덕적·정치적 연고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 ④ 사회 성립 이전부터 개체적 자아가 존재함을 잊어서는 안 된다. ⑤ 개인의 도덕성과 사회의 도덕성이 별개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7052-0121

04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인간은 자연적으로 공동체를 지향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간은 경제적 혹은 도덕적 목적을 위해 타 인의 협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공동생활을 하려는 본능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인간은 경제적 목적이나 기타의 다른 목적을 위해 타인의 협력이 필요한 경우는 물론이고, 그러한 필요성이 없는 경 우에도 다른 사람과 함께 살아가려는 속성을 본능적으로 가지고 있다. 타인과 아무런 관계를 맺지 않고 고립 적으로 살아가는 것은 인간의 본성에 반하는 것이며, 따라서 고립적 존재로 살아가는 것은 인간이 아니라 동 물이거나 신이다.

ㄱ. 국가에 속하지 않고 살아가는 것은 인간 본성에 반하는 것이다. ㄴ. 국가는 개인의 생명과 이익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구이다. ㄷ. 인간의 정치적 의무는 정의와 행복 실현을 위한 계약적 의무이다. ㄹ. 국가 구성원이 될 때 진정한 자아의 실현과 인격 형성이 가능하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122

106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5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의 관점에만 모두 ‘3’를 표시한 학생은?

만약 자연적 정의가 인간의 행위를 관장하기에 충분하다면, 또는 인간 사회 속에서 무질서와 사악함이 발생하 지 않는다면, 정부를 구성하여 개인의 자유를 제한할 필요가 없다. 아울러 정부가 전적으로 유용하지 못한 것 이라면 정부는 지속될 수 없을 것이다. 정치적 복종의 근본적 동기가 사회 구성원들이 통치 정부라는 기구를 통해 인간들 사이에 평화와 질서를 가져올 수 있다고 느끼는 이익 관념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은 명백하다.

학생

관점

갑 을 병 정 무

정치적 의무의 근거는 국가가 제공하는 혜택에 있다. 3 3 3

국가 형성에 대한 국민의 동의로부터 정치적 의무가 성립한다. 3 3 3

국민은 국가를 통해 생명과 재산 보호 등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3 3 3

인간의 정치적 본성에 의해 정치적 의무가 자연스럽게 발생한다. 3 3 3

① 갑 ② 을 ③ 병 ④ 정 ⑤ 무

7052-0123

06 갑의 입장에 비해 을의 입장이 갖는 상대적 특징을 그림의 ㉠ ~ ㉤ 중에서 고른 것은?

갑: 오직 계약을 집행하고 사람들을 무력과 절도와 사기에서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국가만이 정당화 될 수 있다. 거기서 더 나아가면, 어떤 일도 강요받지 말아야 하는 개인의 권리를 침해하게 되고, 그런 국 가는 정당화될 수 없다. 을: 정치적 결사체의 궁극적 형상과 목적은 가치 있는 삶이며, 사회적 삶의 제도들은 그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다. 우리가 우리의 본성을 깨닫고 최상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결사체의 참여자가 되 어야 한다.

•X: 개인적 자아의 독립성을 강조하는 정도 •Y: 개인적 선보다 공동선을 강조하는 정도 •Z: 개인에 대한 국가의 불간섭을 강조하는 정도

높음

높음

낮음

높음

㉠ ㉡

㉤㉣

X

Y

Z

① ㉠ ② ㉡ ③ ㉢ ④ ㉣ ⑤ ㉤

7052-0124

13.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및 국가와 윤리 107

정답과 해설 28쪽

07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입법권은 일정한 목적을 위해 활동할 수 있는 신탁된 권력이므로 입법부가 그들에게 맡겨진 신탁에 반해서 행 동하는 것이 발견될 때 입법부를 폐지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최고 권력은 여전히 인민에게 있다. 왜냐하면 모 든 권력은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탁으로 부여되는 것으로 권력이 그 목적을 명백히 소홀히 하거나 위반하면 신탁은 필연적으로 철회되며, 그 권력은 그것을 내준 자들의 손에 되돌아가기 때문이다.

① 국가의 권력은 신으로부터 부여받은 절대적인 것이다. ② 자연 상태의 인간에게는 자연법을 준수할 의무가 없다. ③ 정부의 권력에 대한 시민의 불복종은 정당화될 수 없다. ④ 인간이 지닌 자연권은 어떠한 경우에도 양도될 수 없다. ⑤ 정치 권력의 정당성은 시민들의 합의에서 찾을 수 있다.

7052-0125

08 갑, 을 사상가의 입장을 <보기>에서 골라 바르게 묶은 것은?

갑: 우리의 목적들이 우리의 본성을 드러내 주는 주요한 요소는 아니다. 우리의 본성을 드러내 주는 것은 바 로, 우리가 우리의 목적들로부터 벗어나 생각할 경우 동의하게 될 권리 체계이다. 왜냐하면 자아는 자아 가 확신할 목적들에 선행해 있기 때문이다. 을: 자아실현에만 골몰하는 자기중심적 사고는 천박하고 진부한 것이다. 나는 역사, 자연의 요구, 동료 인간 들, 시민의 의무 등이 중시되는 세상에 존재할 때에만 진부하지 않은 나의 정체성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개인의 권리보다 공동체에 대한 의무를 중시해야 하는가?

예 아니요

공동선보다 개인의 자율성을 중시해야 하는가?

예 Ⅰ Ⅱ

아니요 Ⅲ Ⅳ

보기

① ③ ⑤

갑 Ⅰ Ⅱ Ⅲ

을 Ⅱ Ⅰ Ⅳ

② ④

갑 Ⅰ Ⅱ

을 Ⅳ Ⅲ

7052-0126

108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9 갑, 을은 근대 서양 사상가들이다. 갑은 긍정, 을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계약은 합법적 국가를 형성하는 근거이며 계약 사항에 복종해야 하는 의무의 근거이다. 자연 상태를 벗어 나 공동체를 결성한 사람은 목적 달성에 필요한 일체의 권력을 정부에 양도한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그 러한 권력의 양도는 하나의 정치 사회에 동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을: 사람들은 정부에 대해 도덕적 의무 혹은 충성심에 의해서라기보다는 두려움과 필요의 차원에서 복종을 하 게 된다. 처음에는 강탈자라고 생각했던 정부가 자신의 두려움을 없애 주고 필요한 것들을 충족시켜 준다 는 것을 느끼게 됨에 따라 사람들은 그 정부를 합법적 정부로 인정하게 된다.

① 공동체의 전통과 규범에 따라 구성원의 복종을 강조해야 하는가? ② 동의 여부와 관계없이 시민들은 무조건 정부에 복종해야 하는가? ③ 시민의 동의 여부에 근거하여 정부의 합법성을 인정해야 하는가? ④ 정치적 복종의 근본 동기는 정부에 대한 이익 관념에 기초하는가? ⑤ 국가에 대한 정치적 의무는 자연적으로 파생되는 규범적 현상인가?

7052-0127

10 칼럼의 ㉠에 들어갈 진술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신문 ◯◯◯◯년 ◯월 ◯일

◯◯ 신문 ◯◯◯◯년 ◯월 ◯일

현대 다원주의 사회에서는 기본적으로 각 개인의 다양한 삶을 허용한다. 국가는 타인의 권익을 침해하지 않는 한 각 개인의 자유로운 삶에 간섭해서는 안 되며, 각 개인도 서로의 자유로운 삶에 간섭해서는 안 된다. 여러 가지 다양한 삶의 길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나와 다른 타자의 삶의 방식에 대해 인정하고 용납하려는 태도가 전제되어 야 한다. 그래서 현대 다원주의 사회에서는 타인의 삶의 방식을 존중하는 관용의 미덕이 필요하다. 이렇게 볼 때, 우리가 민주 시민으로서 관용의 미덕을 갖추기 위해서는 ㉠

칼 럼

① 타인의 의견이나 주장을 너그럽게 이해해야 한다. ② 자신과 타인의 입장을 바꾸어 생각해 보아야 한다. ③ 자기중심적인 오만과 편견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④ 인권 존중의 차원에서 서로의 신념을 존중해야 한다. ⑤ 자신과 타인이 이성적으로 완전한 존재임을 인정해야 한다.

7052-0128

13.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 및 국가와 윤리 109

THEME 민주주의와 사회 정의14

→ 국민이 스스로 권력을 행사하는 정치 제도 또는 사상으로 자 유, 평등, 인간 존엄성을 중시함 ② 고대 그리스 아테네의 민주주의  페리클레스의 연설문 •직접 민주 정치: 20세 이상의 남자 시민만으로 구성된 민회가 중 요 사항을 토론하고 결정함 •주요 제도: 민회, 500인 평의회, 시민 배심원 제도, 도편 추방제 ③ 근대 민주주의의 발전 •자연법적 계약 사상 - 근대 민주주의는 자연법적 계약 사상에 기초하여 발전함 - 사회 계약론: 자연권을 가진 개인들이 계약을 맺어 국가를 형성함 •홉스, 로크, 루소의 사회 계약론

자연 상태 국가가 생겨난 이유

홉스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상태 개인의 생명과 안전 보장

로크 자연권을 누리는 평화로운 상태 천부 인권과 사유 재산 보장

루소 자유롭고 평등한 상태 공동선(일반 의지)의 실현

④ 로크와 루소의 사회 계약론

로크

• 개인이 자신의 권리를 보장받기 위해 계약을 맺어 국가가 생 겨남 • 정부가 국민의 생명과 자유와 재산을 침해한다면 국민은 정부 에 대해 저항권을 행사할 수 있음 • 국민 주권론을 바탕으로 한 입헌 군주제 실시, 법치주의, 권력 분립 등을 주장함

루소

• 불평등한 사회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 계약을 맺어 국가가 생 겨남 • 공동선을 추구하는 국가에 국민의 일반 의지를 위임함 • 국가는 국민으로부터 일반 의지를 위임받아 공동선을 추구하 며, 주권은 국민에게 있음

⑤ 자연법적 계약 사상의 시사점 •각 개인으로 하여금 천부 인권을 자각하게 함 •국민들이 책임과 의무를 자발적으로 수용하게 함 •자유와 공동선을 추구하는 민주주의 체제의 토대가 됨

1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윤리 ⑴ 민본주의의 특징과 시사점 ① 민본의 의미: “서경”에 “백성은 나라의 근본이니, 근본이 견고해 야 나라가 평안하다.”라는 구절에서 유래함 ② 민본주의의 특징

도덕성 도덕적 인격을 갖춘 군자가 덕(德)으로 나라를 다스려야 함

인륜성 한 집안의 가장과 같이 군주는 인(仁)으로 백성을 다스려야 함

호혜성 백성과 군주는 서로를 위하여 상호 혜택을 받는 관계에 있음

③ 맹자의 민본주의 •인의(仁義)의 덕으로 다스리는 왕도 정치를 주장함 •왕도 정치의 시작: 형벌을 줄이고 세금을 가볍게 하며 백성의 민 생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봄 •왕도 정치의 완성: 백성에게 인륜을 가르쳐 인간다움을 실현하 는 것으로 봄 •패도(覇道)에 빠진 무도한 군주를 바꿀 수 있다고 주장함 ④ 민본주의의 한계 •군주제: 백성을 정치 주체로 보지 않고 통치 대상으로 봄 •신분제: 백성이 직접 정치에 참여하거나 백성의 의사를 반영하 는 데 한계가 있음 ⑤ 민본주의와 민주주의의 공통점 •인간 존엄성을 바탕으로 인간을 위한 정치를 추구함 •정치적 정당성을 국가 구성원으로부터 찾음 •경제적 풍요와 국민의 이익을 추구하는 정치를 중시함 ⑥ 민본주의의 시사점 •통치자의 도덕적 행위와 자질을 중시하여 도덕 정치를 구현하는 바탕이 됨 •정당한 통치의 판단 근거를 민심에 두며, 도덕적 교화를 통해 백 성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냄

⑵ 민주주의의 특징과 사상적 발전 과정 ① 민주주의의 의미: ‘민중(demos)’과 ‘지배(kratos)’가 합쳐진 용어

입법자들이 인민의 재산을 빼앗거나 파괴하고자 기도할 경우 또는 인민을 자의적 권력하에 놓인 노예로 만들고자 할 경우, 그들은 스스로를 인민과의 전쟁 상태에 몰아넣는 것이다. 그로 인해 인민은 더 이상의 복종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도 된다. 입법부가 야심, 공포, 어리석음 또는 부패로 인해 인민의 생명, 자유 및 재산에 대한 절대적인 권력을 자신들의 수중에 장악하거나 아니면 그 밖의 다른 자들의 수중에 넘겨줌으로써 사회의 기본적인 규칙을 침 해하게 되면 그들은 신탁 위반으로 권력을 상실하게 된다. 그 권력은 인민에게 되돌아가며 인민은 그들이 지닌 원래의 자유를 회복할 권리와 그들이 적 합하다고 생각하는 바에 따라 새로운 입법부를 설립함으로써 바로 그들이 사회에 가입한 목적인 그들 자신의 안전과 안보를 강구할 수 있는 권리를 가 지게 된다. - 로크, “통치론” -

로크는 개인들이 자신의 권리를 보장받기 위해 계약을 맺어 통치권을 사회에 위임함으로써 국가가 형성되었다고 본다. 그는 국가가 국민을 위한 통치를 하지 않고 권력을 악용하면 국민은 저항권을 행사하여 위임한 권력을 회수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로크의 저항권자료와 친해지기

110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2 사회 정의 ⑴ 사회 정의의 의미와 필요성

의미

사회적 가치를 사회 구성원에게 공정하게 분배하는 방법을 규 정하는 원칙 → 사회적 갈등과 충돌의 공정한 해결

필요성

모든 사람이 갖기 원하는 가치 있는 것들의 양이 제한되어 있 고, 이를 원하는 사람들의 욕구는 무한하므로 상충되는 이해관 계를 조정해 줄 정의의 원칙이 필요함

⑵ 롤스의 공정으로서의 정의 ① 기본 주장 •사회 전체의 유용성과 효율성을 강조한 공리주의 정의관 비판 → 공정한 절차를 통해 합의된 것을 정의롭다고 보고 정의의 원 칙과 제도를 강조함 •개인의 동등한 기본적 자유를 존중하면서도 제한 없는 자유 경 쟁이 초래하는 사회적·경제적 불평등을 완화시키려고 함 ② 원초적 입장 •정의의 원칙을 공정하게 도출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설정된 가상 의 상황임 •원초적 입장의 당사자들은 자유롭고 평등하며 합리적 존재 →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고자 하나 타인의 이해관계에는 무관심 하여 동정심이나 시기심을 가지지 않음 •무지의 베일을 쓰고 있어 자신의 사회적 지위, 능력, 재능, 가치 관 등을 모름 → 자연적·사회적 우연성 배제 ③ 정의의 두 원칙: 기본적 자유의 보장(제1원칙)이 사회적·경제적 이득(제2원칙)보다 언제나 우선함

제1원칙: 평등한 자유의 원칙

모든 사람은 동등한 기본적 자유를 최대한 누려야 한 다.  신체·사상·양심의 자유 등

제2원칙 : 차등의 원칙, 기회균등의 원칙

사회적·경제적 불평등은 최소 수혜자에게 최대 이익 을 보장하고(차등의 원칙), 불평등의 계기가 되는 직책 이나 지위가 공정한 기회균등의 원칙에 따라 모든 사 람에게 개방될 때 정당화된다(기회균등의 원칙).

④ 의의: 구성원들 간의 합의와 절차를 중시하고, 개인의 자유를 인 정하면서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정의 원칙을 마련함 ⑤ 한계: 절차가 공정해도 잘못된 결과를 낳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⑶ 현대 민주주의의 특징과 한계 ① 대의 민주주의의 특징과 한계

특징

선거로 뽑힌 시민들의 대표가 정치 활동 과정에서 시민의 의사를 대변함 → 간접 민주주의

한계 대표성의 문제, 정치적 무관심, 소수 집단의 이익 무시 등

문제점 극복 방안

참여 민주주의, 심의 민주주의, 전자 민주주의 등

② 참여 민주주의 •시민 다수가 의사 결정 과정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적극적인 정치 참여를 중시함 •시민이 정부의 정책 결정 과정과 집행 과정에 직접 참여하여 행 정의 일탈 행위를 감시하는 등 국정에 참여하는 활동을 강조함  공청회 및 청문회 참여, 시민 단체 활동이나 국민 감사 청구, 행정 소송 제기 등 •한계: 정치 참여의 질에 대한 관심을 소홀히 할 경우 다수의 횡 포나 소수의 선동이 난무할 수 있음 ③ 심의 민주주의 •사회적 쟁점에 대한 열린 토론과 심의 과정을 중시함 •시민, 공직자, 전문가들이 모여 정책적 대안에 대한 공적 심의를 통해 정치적 신뢰와 사회적 통합에 기여할 것을 강조함  공청회 및 청문회 개최, 정책적 대안 토론 등 •심의 과정에서 시민들은 자신들의 선호가 무엇인지 성찰할 수 있고, 다른 입장을 가진 시민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음 •한계: 서로 다른 이해관계 때문에 합의를 이루기가 쉽지 않음 ④ 전자 민주주의 •전자 매체를 이용하여 시민이 정치 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것을 중시함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집단 간의 정보 교환은 사회적 의사소통 을 확대하여 특정 집단에 의한 정보 독점이나 왜곡 방지, 복지의 실현과 국민적 공감대의 형성 등에 기여할 수 있음  전자 여론 조사, 전자 회의, 전자 투표 등 •한계: 여론 조작, 이미지 정치, 국민에 대한 감시와 통제 등의 부 정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

심의 민주주의는 시민들 간의 대화, 토론, 소통을 통해 개인들이 자신의 선호를 계속 변화시켜 나가면서 공공성을 지향하고 집단적 의사를 도출하려는 민주주의를 의미한다. 이러한 심의 과정에서 전개되는 정치적 행위는 순전히 사적인 이익을 표출하는 투표 행위와는 대조적으로 공적인 성격이 강하다. 참여자들이 자신의 이익뿐만 아니라 다른 이들의 이익에도 관심을 가지고 사회 정의를 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의 민주주의는 단순히 참여하는 사 람의 숫자를 넘어서 사회적 쟁점에 대한 참여자의 관심과 지식, 타인에 대한 이해에 기반을 둔 적극적인 참여를 강조하므로 공공선을 중시한다.

심의 민주주의는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들이 공적 담론의 장에 모여 합리적 근거를 가지고 소통함으로써 민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정책을 만들 수 있다고 본다.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공직자들과 시민들이 모두 참여하여 공적 심의 과정을 거칠 때 합리적인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심의 민주주의의 공공성자료와 친해지기

14. 민주주의와 사회 정의 111

www.ebsi.co.kr

복합 평등이 실현될 때 정의로운 사회가 될 수 있다고 봄 ② 공동체와 사회적 가치 •모든 사회적 가치는 공동체의 문화적·역사적 맥락에서 의미가 부여됨 → 개인들의 정체성과 역사적 배경을 고려하지 않고 가상 적 상황에서 도출된 단일한 정의 원칙은 실제 삶 속에서 실현 가 능성이 적다는 점을 근거로 롤스의 정의론을 비판함 •공동체 안에는 고유한 사회적 가치들이 존재하며, 해당 가치의 고유한 의미가 사회적으로 공유됨 → 공동체주의적 관점에서 공 동체의 문화적 특수성과 차이를 고려하여 사회적 가치를 분배해 야 함 ③ 복합 평등 •현실 사회는 다양한 정의의 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영역별로 존 재하는 서로 다른 사회적 가치는 서로 다른 분배 원칙에 의해 분 배되어야 함

대표적인 정의 영역 사회적 가치 분배 원칙

정치 영역 정치권력 공적(功績)

의료 복지 영역 안전과 복지 필요

경제 영역 돈과 상품 자유 교환

•정의의 영역들 간에는 경계가 존재하므로 어떤 가치도 다른 가 치에 의해 ‘지배(支配)’되어서는 안 되며, 각 영역의 경계가 안정 적으로 보호되어 자율성을 지녀야 함 → 어떤 영역에서 우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람이 다른 영역의 사회적 가치까지 쉽게 소유 하는 현상인 ‘전제(專制)’에 반대함 ④ 의의: 단일한 지배적 가치가 모든 생활 영역을 독점함으로써 발 생하는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토대를 제공함 ⑤ 한계: 복잡한 정의 영역 간 구분과 영역별로 적용되는 분배 원칙 에 대한 합의가 어려움

⑸ 정의로운 사회의 구현 방안 ① 정의로운 사회 제도 수립: 인간 존엄성에 근거하여 모든 사회 구 성원이 자유와 권리를 존중받을 수 있는 법과 정책 마련 ② 시민의 자질과 노력: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연대 의식 함양

⑶ 노직의 소유 권리로서의 정의 ① 기본 주장 •개인의 소유 권리를 존중하는 것을 정의롭다고 보고 자유로운 선택을 분배의 원칙으로 강조함 •자유 지상주의: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최선의 가치로 여김 → 자 기 소유권 원칙에 입각하여 정당하게 소유물을 취득했다면 그 소 유물을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다고 봄 ② 최소 국가론 •국가의 기능은 개인의 권리와 재산을 타인의 침해로부터 보호하는 경찰의 역할에 있다고 보고 최소 국가를 옹호함 → 국가를 부정하는 무정부주의, 국가의 적극적 개입을 인정하는 복지 국가론에 반대함 •최초의 소유와 양도 과정에서 부정의한 사실이 없었음에도 불구 하고, 국가가 개인의 소유 권리를 제한한다면 그것은 부정의한 것으로 봄 •국가의 재분배 정책에 반대하며, 개인의 자발적인 자선 행위를 소유권을 행사하는 훌륭한 방식으로 권장함 ③ 정의의 세 원칙

제1원칙: 정당한 최초 취득의 원칙

어떤 개인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어떤 대상물에 자신의 노동을 가하여 최초로 사유 재산 으로 삼았다면 그 소유물에 대한 소유 권리가 있으 며 그러한 소유 상태는 정당함

제2원칙: 정당한 양도의 원칙

한 소유물을, 이 소유물에 대한 소유 권리가 있는 자 로부터 정당하게 양도받은 사람은 그 소유물에 대 한 소유 권리를 가지며, 교환이나 증여, 상속 등에서 속임수가 없었다면 그 결과로 발생하는 소유 상태 는 정당함

제3원칙: 교정(시정)의 원칙

소유권의 취득과 양도 시 과오가 있거나 절차가 잘 못되었을 경우 부정의에 대한 교정(시정)이 요구됨

④ 의의: 개인이 가진 소유 권리의 불가침성을 강조함 ⑤ 한계: 개인이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책임과 역할에 대해 무관심 해질 수 있으며,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음

⑷ 왈처의 복합 평등으로서의 정의 ① 기본 주장: 사회적 가치들이 각각 고유한 영역에 머무름으로써

분배적 정의에 대한 탐구를 시작한 목적은 최소 국가보다 더 포괄적인 국가가 필요하다거나 이러한 포괄적인 국가가 분배적 정의를 실현하는 데 가장 적합하다는 주장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었다. 소유 권리로서의 정의관에 따르면, 분배적 정의의 처음 두 원리, 즉 취득과 양도의 원리들은 그러한 포괄적 인 국가를 정당화하지 않는다. 한 소유물의 분배 상태가 적절하게 생성되는 경우, 분배적 정의에 기초한 어떤 논변도 보다 포괄적인 국가를 옹호하지 않 는다. - 노직, “아나키에서 유토피아로”

노직은 생명권, 자유권, 재산권 등 개인의 권리를 절대적인 것으로 본다. 이러한 개인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해서 최소 국가가 정당하다고 주장한 다. 국가가 나서서 분배적 정의를 실현하는 포괄적인 국가는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므로 정의롭지 못하다는 것이다. 그는 재화의 분배 양식은 모 든 것을 분배하는 중앙 기관의 활동 결과가 아니라, 무수한 개인적 교환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타인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입히지 않으면서 노동 을 통해 어떤 재화에 대한 소유 상태가 성립했다면 그 소유물에 대해서는 배타적인 권리를 가진다는 것이다. 그는 분배적 정의의 문제는 소유 권 리로서의 정의로 설정되어야 하며, 재화에 대한 소유를 전제로 하여 발생하는 교환 행위가 어떻게 하면 공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가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노직의 최소 국가론자료와 친해지기

112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THEME 14

• 나의 목적은 사회 계약의 이론을 고도로 추상화시킴으로써 일반화된 정의관을 제시하는 일이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원초적 계 약을 어떤 사람이 특정 사회를 택하거나 특정 형태의 정부를 세우는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핵심은 사회의 기본 구조 에 대한 정의의 원칙들이 원초적 합의의 대상이라는 점에 있다. 그것은 자신의 이익 증진에 관심을 가진 자유롭고 합리적인 사람 들이 평등한 최초의 입장에서 그들 조직체의 기본 조건을 규정하는 것으로 채택하게 될 원칙들이다. 정의의 원칙들을 이렇게 보 는 방식을 나는 ‘공정으로서의 정의’라고 부르고자 한다. • 공정으로서의 정의에 있어서 원초적 입장은 전통적인 사회 계약론의 자연 상태에 해당한다. 이 원초적 입장을 역사상에 실재했던 상태로 생각해서는 안 되며, 더구나 문화적 원시 상태로 생각해서도 안 된다. 그것은 일정한 정의관에 이르게 하도록 규정된 순수 한 가상적 상황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원초적 입장에서 무지의 베일을 쓴 당사자들은 아무도 자신의 사회적 지위나 계층상의 위 치를 모르며, 누구도 자기가 어떠한 소질이나 능력, 지능, 체력 등을 타고났는지를 모른다. 심지어 당사자들은 자신의 가치관이나 특수한 심리적 성향까지도 모른다고 가정된다. 이로 인해 정의의 원칙들을 선택함에 있어서 타고난 우연의 결과나 사회적 여건의 우연성으로 인해 유리하거나 불리해지지 않는다는 점이 보장된다. 모든 이가 유사한 상황 속에 처하게 되어 아무도 자신의 특정 조건에 유리한 원칙들을 구상할 수 없는 까닭에, 정의의 원칙들은 공정한 합의나 약정의 결과가 되는 것이다. - 롤스, “정의론”

롤스는 계약론의 입장에서 공정한 절차를 통해 합의한 것이라면 정의롭다고 보는 ‘공정으로서의 정의’를 주장하였다. 현실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재능, 지위, 가정 환경, 경제적 여건, 가치관 등에 따라 이해관계가 다르기 때문에 공정하게 판단하는 것이 쉽 지 않다. 그래서 롤스는 자유롭고 평등한 개인이 무지의 베일을 쓰고 편협한 이해관계를 떠나 공정하게 정의의 원칙에 합의하게 되는 가상적 상황을 설정하였다. 타고난 재능이나 사회적 여건 때문에 어느 누구도 유리하거나 불리해서는 안 되므로 자연적 우 연성이나 사회적 우연성이 배제된 가상적 상황에서 정의의 원칙을 채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롤스의 ‘공정으로서의 정의’의 특징은 무엇인가?심화 학습 ·테마 1

• 정의는 인간이 구성한 것이며, 따라서 정의가 오직 한 가지 방식으로만 만들어질 수 있다는 주장은 의심스럽다. 나는 분배적 정 의론에는 문화적 다양성과 정치적 선택을 논의할 수 있는 여지가 존재한다고 본다. 정의의 원칙들은 그 자체가 다원(복합)적이다. 상이한 사회적 가치들은 상이한 근거들에 따라 상이한 절차에 맞게 상이한 주체에 의해 분배되어야 한다. 이러한 모든 차이는 사 회적 가치들 그 자체에 대해 서로 다른 주체들이 서로 상이한 방식으로 이해하기 때문에 나타난다. 이러한 상이한 이해들은 역사 적이고 문화적인 특수성의 필연적 산물이다. • 다원적(복합) 평등이란 한 영역 안에서 혹은 다른 사회적 가치와 관련하여 시민이 지닌 어떠한 위치도 어떤 다른 영역 혹은 다른 가치와 관련된 그의 지위 때문에 침해당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공직에 시민 X가 시민 Y에 우선하여 선택될 수도 있으며, 이때 두 사람은 정치의 영역에서는 불평등하게 된다. 그러나 X가 공직에 있다는 이유로 그 외의 다른 영역에서 의료, 자녀의 학교 선택권, 취업 기회 등과 같은 혜택이 X에게 우선적으로 주어지지 않는 한, 이 두 사람이 일반적으로 불평등한 것은 아니다. 공직 이 지배적 가치가 아닌 한, 또한 일반적으로 전환될 수 없는 한, 공직 소유자는 그들이 통치하는 사람들과 평등한 관계에 있는 것 이다. - 왈처, “정의와 다원적 평등” -

왈처는 분배의 대상이 되어야 할 가치들은 각 사회의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특수성의 산물로, 이를 무시하고 정의의 원칙을 세우 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본다. 사회마다 정치·경제·교육·예술 등과 같은 다양한 영역이 존재하며, 각각의 영역에는 그 영역에 해당하는 사회적 가치가 있다. 예를 들어 정치 영역은 권력, 경제 영역은 돈으로 상징되는 부, 교육 영역은 명예, 예술 영역은 창 조성 등과 같이 각각의 영역에 어울리는 사회적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경제 영역에서 탁월한 장사 수완을 발휘하여 법과 규칙 을 준수하며 부를 축적하는 것은 정의에 어긋나는 행동이 아니다. 하지만 경제 영역에서 부를 가진 사람이 돈을 이용해 정치 영 역에 들어와 정치권력을 획득하고, 교육 영역에 들어와 명예를 얻게 되는 상황은 부정의하다. 그리하여 왈처는 다양한 영역을 형성하는 사회적 가치들이 각각 적합한 정의 원칙에 따라 분배되는 과정을 통해 평등에 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복 합 평등’을 주장했다.

왈처는 왜 ‘복합 평등’을 주장하였는가?심화 학습 ·테마 2

14. 민주주의와 사회 정의 113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30쪽 01 다음 동양 사상가의 입장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백성이 가장 귀하고 사직(社稷)*이 그 다음이고 군주는 가장 가벼운 존재이다. 그러므로 백성의 마음을 얻어 야 천자가 되고, 천자의 마음을 얻어야 제후가 되며, 제후의 마음을 얻어야 대부가 된다. 제후가 사직을 위태 롭게 하면 그 제후를 바꾼다. 때에 맞춰 제사를 지내는데도 가뭄이 들고 홍수가 나면 사직을 옮겨 세운다. *사직(社稷): 땅과 곡식의 신 또는 이 신들에게 제사 지내는 곳으로, 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기도 함

ㄱ. 군주는 애민(愛民) 정신과 위민(爲民) 정신을 실천해야 한다. ㄴ. 군주는 사직을 보존하기 위해 백성의 본성을 변화시켜야 한다. ㄷ. 군주는 민생을 안정시키고 인륜으로써 백성들을 교화시켜야 한다. ㄹ. 군주가 인의(仁義)를 해쳐 나라를 위태롭게 하면 교체되어야 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7052-0129

02 갑은 고대 그리스 정치가이고, 을은 고대 중국 사상가이다. 이들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우리 정부의 형태는 이웃 나라에 본보기가 되고 있다. 왜냐하면 권력이 소수가 아니라 다수로부터 나오기 때문이다. 사적인 분쟁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누구나 동등하게 법의 적용을 받는다. 특정한 시민을 공무원 에 발탁할 때에는 출신 성분이 아니라 실제 업무 능력을 중요하게 고려한다. 또한 국가에 봉사하고자 하 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가난 때문에 자신의 뜻을 이루지 못하는 일은 없다. 을: 걸과 주가 천하를 잃은 것은 백성을 잃었기 때문이다. 백성을 잃은 것은 백성들의 마음을 잃었기 때문이 다. 천하를 얻는 데는 길이 있으니, 백성을 얻으면 곧 천하를 얻는 것이다. 백성의 마음을 얻는 데는 길이 있으니, 백성들이 원하는 것을 해 주고 싫어하는 것을 하지 않는 것이다. 백성이 어진 곳으로 돌아가는 것 은 물이 낮은 곳으로 흘러가고 짐승이 들로 내달리는 것과 같이 자연스러운 일이다.

① 갑은 절대적인 권력을 가진 통치자의 권력 세습을 강조한다. ② 을은 엄격한 법령이나 형벌에 의한 강제적인 통치를 강조한다. ③ 갑은 을과 달리 통치자가 도덕적 인격을 갖추어야 함을 강조한다. ④ 을은 갑과 달리 모든 구성원이 정치에 직접 참여할 것을 강조한다. ⑤ 갑, 을은 민의에 기초한 국민[民]을 위하는 정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7052-0130

114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3 갑, 을 사상가 모두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인간은 자연 상태에서 자유롭고 평등하지만, 이와 같은 지배권을 포기하고 자신을 타인의 권력과 지배와 통제하에 복종시키려고 한다. 왜냐하면 자연 상태에서는 그러한 권리의 향유가 매우 불확실하고 다른 사 람이 그 권리를 침해할 위험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을: 인간은 자연 상태에서 생존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힘보다 생존을 방해하는 장애물의 힘이 훨씬 더 커진 시점에 이르면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각자 자신의 신체와 모 든 힘을 공동의 것으로 만들어 일반 의지의 최고 지도 아래에 둔다.

① 정치 공동체에 대한 책임과 의무는 타율적으로 주어지는가? ② 국가는 개인의 천부적 권리 보호를 위해 형성되어야 하는가? ③ 통치자는 절대 권력을 사용하여 사회 질서를 유지해야 하는가? ④ 자연권적 기본권은 국가 구성원만이 보장받을 수 있는 권리인가? ⑤ 자연 상태는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이 벌어지는 전쟁 상태인가?

7052-0131

04 그림은 서술형 평가 문제와 학생 답안이다. 학생 답안의 ㉠ ~ ㉤ 중 옳지 않은 것은?

서술형 평가

◎ 문제: 현대 민주주의 (가)와 (나)를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가) 시민들은 다른 시민들과의 대화, 소통을 통해 자신의 선호를 계속 변화시켜 나가며 공공성을 지향하고 집단적 의사를 심사숙고하여 도출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칠 때 정치적 행위는 순전히 사적인 이익을 표출하는 투표 행위와는 대조적으로 공적인 성격을 지닐 수 있다. (나) 시민들은 사회적 정보 네트워크를 매개로 정치적 의사 결정 과정에 직접 참여해야 한다. 온라 인상에서의 수평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보다 많은 참여를 이끌어 내고 여론의 조직화를 통해 정책 형성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시민의 정치적 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 학생 답안

현대 민주주의 (가)와 (나)를 비교해 보면, (가)는 ㉠ 사회적 쟁점에 대한 열린 토론과 깊이 있는 논의 를 중시하고, (나)는 ㉡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가상 공간에서의 자유로운 정보 교환을 중시한다. 이를 위해 (가)는 ㉢ 논의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동등한 기회와 지위를 가져야 함을 강조하고, (나)는 ㉣ 시 민들의 자질과 관계없이 신속하고 합리적인 의사 결정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한편 (가), (나)는 ㉤ 시민들로 하여금 참여 의식을 가지게 함으로써 대의 민주주의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지닌다.

① ㉠ ② ㉡ ③ ㉢ ④ ㉣ ⑤ ㉤

7052-0132

14. 민주주의와 사회 정의 115

정답과 해설 30쪽

05 다음은 밑줄 친 ‘A 정의관’에 대해 어떤 사상가가 제기한 비판이다. 이 사상가가 비판한 ‘A 정의관’의 핵심 주 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A 정의관’을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정의관에 따르면, 권 리와 의무, 지위나 여러 형태의 부(富) 등은 사회 전체의 만족이 극대화되도록 분배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 한 정의관에서는 사회 정의가 공동체의 복지라는 집합적 개념에 적용된 합리적 타산의 원칙에 불과한 것이 된 다. 그리하여 소수자의 자유를 뺏는 것이 정당화되고 개인들 간의 차이를 신중하게 다루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사회 제도의 제1덕목으로서의 정의는 사회 전체의 큰 이익을 위해서 소수자에게 희생을 강요하 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① 사회적 재화를 분배한 결과보다는 분배 과정의 합의를 중시해야 한다. ②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사회적 재화를 분배하는 원리로 채택해야 한다. ③ 자신의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받는 사회를 지향해야 한다. ④ 사회적 약자가 가장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회 제도를 확립해야 한다. ⑤ 개인의 정치적 자유를 확보하고 누구에게나 공정한 기회를 보장해야 한다.

7052-0133

06 그림의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선생님께서는 공정으로서의 정의 를 강조하면서 원초적 입장을 제 시하셨는데요. 원초적 입장이란 무엇인가요?

그러한 원초적 상황을 설정하 신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래야만 ㉠

네, 원초적 입장이란 무지 의 베일이 드리워진 최초의 계약 상황을 말합니다.

1

3

2

4

① 각자의 가치관에 따라 이익을 추구함으로써 사회 정의가 실현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② 자연적·사회적 우연성이 배제되어 정의 원리가 공정하게 선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③ 구성원들이 타인의 처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정의롭게 행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④ 모든 구성원에게 재화를 균등하게 분배하는 공정한 사회 구조에 합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⑤ 각자가 처한 구체적인 상황들이 반영된 정의의 원칙이 사회 전체에 공유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7052-0134

116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7 갑, 을의 입장을 다음의 그림으로 표현할 때, A ~ C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

A: 갑만의 입장 B: 갑, 을의 공통 입장 C: 을만의 입장 <범 례>

갑 을 갑 을

A A B B C C

A: 갑만의 입장 B: 갑, 을의 공통 입장 C: 을만의 입장 <범 례>

갑 을 갑 을

A A B B C C

① A: 기본적 자유의 차등적 분배를 통해 사회적 약자의 이익을 증진시켜야 한다. ② B: 정의로운 사회에서도 구성원들 간의 사회적·경제적 불평등은 정당화될 수 있다. ③ B: 사회 정의의 원칙이 합의되는 과정에서 자연적·사회적 우연성은 배제되어야 한다. ④ C: 사회 구성원들의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소득과 부에 대한 권리는 제한될 수 있다. ⑤ C: 개인은 스스로 자기 삶의 목적을 선택하고 영위하는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존재이다.

7052-0135

08 갑, 을 사상가가 다음의 정책들에 대해 제시할 견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장애인 고용 촉진 및 직업 재활법 제28조(사업주의 장애인 고용 의무) ① 상시 50명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사업 주는 그 근로자의 총수의 100분의 5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율(이하 “의무 고용률”이라 한다) 이상에 해당하는 장애인을 고용하여야 한다. • 양성평등 기본법 제20조(적극적 조치) 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차별로 인하여 특정 성별의 참여가 현저히 부 진한 분야에 대하여 합리적인 범위에서 해당 성별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하여 관계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적극적 조치를 취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① 갑: 개인의 업적과 노력을 분배의 기준으로 강조하는 정책이므로 지지한다. ② 갑: 국가가 구성원들의 삶에 대해 부당하게 간섭하는 정책이므로 반대한다. ③ 갑: 사회적 약자와 관련된 구조적 불평등을 교정하는 정책이므로 지지한다. ④ 을: 뛰어난 자질을 가진 사람에게 과도한 혜택을 주는 정책이므로 반대한다. ⑤ 을: 개인이 가진 재능과 능력에 따른 기여도를 중시하는 정책이므로 지지한다.

7052-0136

[07~08] 갑, 을은 사회사상가들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갑: 차등의 원칙은 부당한 불평등에 대한 보상과 관련된다. 즉 출생이나 천부적 재능으로 인한 불평등은 부당 하며 이러한 불평등은 어떠한 식으로든 보상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국가는 모든 사람을 동등하게 취급하 기 위해서, 즉 실질적으로도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마땅히 천부적 자질을 적게 가진 사람에게 더 많은 혜택을 주어야 한다. 을: 차등의 원칙은 천부적 자질을 적게 가진 사람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공정성이라는 미명하에 오히려 자질이 뛰어난 사람을 부당하게 대우하는 것이다. 자질이 뛰어난 사람이 생산 과정에서 더 많은 기여를 했다면 높은 기여도에 따라 사회적 이익을 더 많이 가져가는 것이 더 공정 하다. 따라서 개인의 소유 권리가 보장될 때 정의가 실현될 수 있다.

14. 민주주의와 사회 정의 117

정답과 해설 30쪽

09 그림의 강연자가 지지할 주장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분배적 정의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떤 기구 또는 기 관이 물건들을 나누는 데 일정한 기준 또는 원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중앙 집권적 분배, 즉 모든 자산을 관리 하는 어떤 한 사람이나 자산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를 합동 으로 결정하는 집단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자유로운 세계에 서는 다양한 사람들이 서로 다른 재화를 손에 쥐고 있으며, 새로운 소유물은 자발적 교환 행위로부터 발생합니다. 이 과 정에서 불의가 발생했다면 소유물의 분배 결과는 교정될 수 도 있습니다. 따라서 한 사람이 ‘취득과 양도에서의 정의의 원칙’ 또는 ‘교정의 원칙’에 따라 소유물을 취득했다면, 그 소 유물에 대한 정당한 권리를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ㄱ. 모든 개인은 자신의 자유, 생명, 재산에 대해 절대적이고 배타적인 권리를 가진다. ㄴ. 분배적 정의는 중앙 정부가 사회적 이익과 부담을 공정하게 분배함으로써 실현된다. ㄷ. 사회 구성원들은 노동으로 얻은 산물 중 일부를 타인들과 나누어야 할 의무를 지닌다. ㄹ. 국가의 역할은 개인이 가진 권리와 재산을 타인의 침해로부터 보호하는 것에 국한된다.

보기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7052-0137

10 다음은 사회사상가 갑, 을의 가상 대화이다. 갑에 비해 을이 강조하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갑: 재능은 개인이 생산한 물건만큼이나 개인의 소유로 인정되어야 합니다. 자유로운 인간은 자기 자신을 소 유할 권리가 있으므로, 당연히 재능 또한 오롯이 개인에게 귀속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점이 인정될 때 개 인들은 자유롭게 재능을 발휘하게 되고, 그 결과 자신들뿐만 아니라 타인들에게도 이익이 됩니다. 을: 저 역시 재능 있는 사람들의 사회적 기여 자체에 대해 부정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개인의 재능은 도덕적 측면에서 임의적이고 우연적인 사건에 불과한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은 것입니다. 어떻게 태어났는가 는 거의 전적으로 행운에 속하는 문제인데, 우연한 행운에 의해 인간의 운명이 지배받는 일을 정의롭다고 할 수 없습니다.

① 타고난 환경이나 조건이 개인의 삶을 결정하는 사회 구조는 부정의하다. ② 사회적 약자의 사회적·경제적 상황을 개선하는 일은 도덕적으로 정당하다. ③ 우연한 행운을 그대로 인정하는 사회에서는 부의 불평등 문제가 고착화된다. ④ 재능의 다양성으로 인한 혜택은 공동의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이용되어야 한다. ⑤ 개인 간 재능의 차이는 사회적 불평등을 정당화하는 핵심 근거가 되어야 한다.

7052-0138

118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11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에서 볼 때, 질문에 바르게 대답한 것은?

평등은 우리가 우리끼리 함께 만들고 공유하며 나누는 가치들에 의해 매개되는 인격체들 간의 다원적인 관계 이다. 평등은 똑같은 양의 재산을 소유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다. 평등은 사회적 가치의 다양성을 반영하는 다 양한 분배 기준을 필요로 한다. 하나의 가치를 다른 가치로 전환하는 것은 다른 부류의 사람들이 적절히 통제 하고 있는 영역을 침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정치가들이 정치 영역에서 권력을 가지는 것은 아무 잘못도 없 다. 그러나 다른 가치들을 얻기 위해 정치권력을 사용하는 것은 정치권력을 전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질문 대답

① 정의의 영역들 간의 경계들은 안정적으로 보호되어야 하는가? 아니요

② 다양한 사회적 가치들을 분배하는 여러 가지 분배 원칙들이 필요한가? 아니요

③ 정의의 문제는 공동체의 역사적·문화적 특수성과 필연적으로 연관되는가? 예

④ 사유 재산이 폐지되고 사회적 가치들이 공유되면 정의가 완전히 실현되는가? 예

⑤ 합리적인 사람들이 보편적인 관점에서 선택한 정의 원칙만이 정당성을 가지는가? 예

7052-0139

12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모든 사회적 재화 및 가치들은 고유한 분배 영역을 구성하며 각 영역별로 적절한 분배 기준이 존재한다. 가치 의 사회적 의미는 역사적이고 문화적이기 때문에 사회적 가치를 분배할 때에는 공동체의 특수성과 차이를 고 려해야 한다. 그런데 어떤 사상가는 기본적 가치들을 공정하게 분배하면 정의가 실현될 수 있으므로, 어느 사 회에서나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단일한 정의 원칙을 도출하는 절차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나는 이러한 주장이 ㉠ 고 생각한다.

① 정의의 각 영역별로 그 영역에 고유한 분배 원칙이 있어야 함을 간과한다 ② 모든 사회 구성원에게 기본적 자유가 평등하게 보장되어야 함을 간과한다 ③ 부와 소득이 결과적으로 균등하게 분배되는 사회를 지향해야 함을 강조한다 ④ 사회적 맥락 차원을 고려하여 재화의 의미와 가치에 접근해야 함을 강조한다 ⑤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존중함으로써 사회 정의가 실현된다는 점을 간과한다

7052-0140

14. 민주주의와 사회 정의 119

THEME 자본주의와 사회주의15

- 불완전한 시장 기능을 보완하여 경제 침체를 극복하고자 함 - 케인스의 주장: 시장의 불완전한 자동 조절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정부의 재정 지출 증대, 새로운 유효 수요의 창출 → 정 부의 시장 개입을 통한 불황과 실업 극복, 복지 정책 실시 •신자유주의: 1970년대 경제 불황 속 물가 상승, 정부의 비효율적 경제 개입, 정부 관료의 무능과 부패 등의 정부 실패로 인해 등 장함 - 정부 기구 축소, 복지 제도 축소, 세금 감면, 공기업의 민영화, 노동 시장의 유연화 등의 정책 시행을 강조함 - 하이에크의 주장: 정부의 시장 개입 반대, 자유 시장 경제의 활성화를 통한 경제 침체 극복

⑶ 자본주의 사회의 윤리적 장점과 문제점 ① 자본주의 사회의 윤리적 장점

경제적 측면

시장에서의 자유로운 경제 활동 보장, 사적 재산의 소유와 축적 존중, 풍요로운 경제적 삶의 실현

정치적 측면

자유로운 경쟁을 통해 자유, 평등, 인간 존엄성의 민주주 의 가치 실현, 정치적 자유의 확대

문화적 측면

사회 구성원의 독립성과 자율성 존중, 사회 구성원의 개성 과 선택권 존중, 삶의 질 향상

② 자본주의 사회의 윤리적 문제점 •경제적 불평등 심화: 노동 기회나 소득 분배의 불평등, 계층 간 갈등, 사회 통합 저해 •가치 전도 현상 및 인간 소외 현상: 천민자본주의 풍조 만연, 물 질적 가치에 의한 인간 지배

⑷ 자본주의 사회의 윤리적 문제점 극복을 위한 노력 ① 국가적 차원: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 사회 정의와 국민 복 지 실현을 위한 정책과 제도 실시 ② 사회적 차원: 공동체 의식 함양, 상생의 문화와 사회 통합의 분 위기 형성, 배려와 나눔의 문화 조성 ③ 개인적 차원: 정신적·인간적 가치 추구, 자선과 기부 실천, 공 정한 경쟁을 통한 합리적 이윤 추구

1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윤리 ⑴ 자본주의의 의미와 기본 정신 ① 자본주의의 의미: 자유 경쟁 원리와 사유 재산제를 기반으로 하 는 시장 경제 체제 및 그 이념 ② 기본 정신

경제적 자유 보장

개인의 판단에 따라 경제 활동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음

사유 재산제 존중

개인은 생산 수단을 소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얻은 이윤을 사유 재산으로 보장받음

시장에서의 자유 경쟁 중시

개인은 시장에서 자신의 이익 증진을 위해 자유롭 게 경쟁할 수 있음

⑵ 자본주의의 사상적 배경과 전개 ① 자본주의의 사상적 배경 •자유주의: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중시함 → 경제 주체의 자유로 운 결정과 선택 중시 •칼뱅주의: 부의 축적을 도덕적·종교적으로 정당화함 → 자본주 의 정신의 형성 ② 자본주의의 주요 특징 •사적 소유 인정: 개인은 이익 추구의 기반이 되는 생산 수단을 소 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얻은 이윤을 사유 재산으로 보장받음 •자유 경쟁의 원리 적용: 개인은 자유로운 교환과 분배가 이루어 지는 시장에서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해 자유롭게 경쟁함 ③ 자본주의의 사상적 전개 •고전적 자본주의: 산업 혁명 이후 사적 소유권 보호와 시장에 의 한 효율적 자원 배분을 강조하면서 등장함 - 자유 경쟁 원리와 분업의 원리를 통한 경제 발전을 강조함 - 스미스의 주장: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한 수요와 공급의 균형, 이익 창출을 위한 개인의 이기적 합리성 발휘 → 개인의 부와 국가의 부 축적 •수정 자본주의: 1930년대 대공황을 계기로 한 불황과 실업, 빈부 격차와 빈곤, 독과점 등의 시장 실패로 인해 등장함

각 개인이 생산물이 최대의 가치를 갖도록 최대한 노력할 때, 필연적으로 그 사회의 생산물은 최대화된다. 사실 그는 사회 일반의 이익을 증진시키려고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자기가 얼마만큼 그것을 증진시키는지도 알지 못한다. 그는 오로지 자기 자신의 이익만을 꾀한다. 그는 다른 많은 경우에서처 럼 ‘보이지 않는 손’에 이끌려 의도하지 않았던 일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서 그것이 반드시 사회에 해를 끼치는 것은 아니다. 그는 자신의 이익을 추구함으로써 오히려 그렇게 하려고 했을 때보다 더 효과적으로 사회의 이익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 스미스, “국부론” -

자본주의의 이론적 기초를 세운 애덤 스미스는 사회 전체의 부를 증가시키는 최선의 방법은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자유롭게 추구하는 데 있다고 주장하였다. 스미스는 개인이 각자의 이익을 추구하여 자신이 맡은 일을 하는 것이 비록 의도적으로 타인을 돕는 것은 아니지만 사회 전체로 볼 때 서로를 돕는 일이 된다고 보았다.

애덤 스미스의 고전적 자본주의자료와 친해지기

120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마르크스의 과학적 사회주의 - ‘공산당 선언(1848)’을 통해 사회주의 폭력 혁명을 주장함 - 초기 사회주의를 실현 가능성이 없는 ‘공상적 사회주의’라고 비판하면서 자신의 사상을 ‘과학적 사회주의’라고 지칭함 - 자본가와 노동자의 계급 투쟁 → 자본주의 국가 붕괴 → 프롤 레타리아 독재 → 계급 없는 사회인 공산 사회의 필연적 도래 •민주 사회주의 - 서구 사회주의자들이 ‘사회주의 인터내셔널(1951)’을 결성하고 ‘프랑크푸르트 선언’을 통해 민주 사회주의의 입장을 선포함 - 소련식 사회주의의 급진적 폭력 혁명론을 비판, 의회 활동 중 심의 점진적 사회 개혁, 민주적 방법으로 사회주의 이상 추구, 농업·수공업·소매업·중소 공업 등 중요한 부분의 사적 소 유 인정 → 사회 보장 제도의 확대를 주장하여 서구 복지 자본 주의 발전에 이바지함

⑶ 사회주의 현실의 한계와 시사점 ① 사회주의 현실의 한계 •심각한 경제적 침체: 평등 이념의 강조로 인한 노동 의욕 상실로 경제적 침체를 가져와 공산주의 국가 체제가 붕괴함 •개인의 인권 침해: 평등 실현을 위해 개인의 희생을 강조함으로 써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억압함 •사회적 불평등 심화: 당 관료들의 권력 독점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 심화 ② 자본주의 사회에 주는 시사점 •자유의 중요성: 경제적 자유를 보장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가야 함 •공동선의 추구: 인간은 상호 의존적인 존재임을 인식하고 공동 선을 추구해 나가야 함 •빈부 격차를 해소하여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복지 자본 주의를 지향해야 함

2 사회주의 사상의 윤리적 함의 ⑴ 사회주의의 의미와 기본 정신 ① 사회주의의 의미: 시장 경제 원리를 기반으로 하는 자본주의에 반대하고 생산 수단을 공유화함으로써 평등한 사회를 건설하려 는 이념 및 정치 운동 ② 사회주의의 기본 정신

경제적 평등 실현

인간다운 삶의 실현을 위한 조건으로 경제적 불평등의 해소를 강조함

생산 수단의 공유화

자본주의 사회에서 나타나는 경제적 불평등의 근본 원 인이 생산 수단의 사유화에 있다고 보고 생산 수단의 공동 소유를 강조함 → 생산 수단을 사회가 소유하고 통제하는 계획 경제를 통해 공동 생산, 공동 분배 체제 를 수립하고자 함

사회 중심의 경제 원리 중시

인간을 독립적인 존재가 아니라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상호 의존적인 존재로 봄 → 자유 경쟁을 통한 효율성 의 추구보다는 평등한 분배의 문제를 더욱 중시함

⑵ 사회주의의 사상적 기원과 전개 ① 사회주의의 사상적 기원 •플라톤의 이상 사회: 통치 계급의 재산 공유와 국가에 의한 자녀 의 공동 양육이 이루어지는 사회를 추구함 •초기 그리스도교 사상: 공동 작업을 토대로 한 소박한 생활을 강 조함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 사상: 공동 생산과 생산물의 공유를 강 조함 ② 사회주의 사상의 전개 •공상적 사회주의 - 산업 사회의 현실적 기반을 인정하고 그 기반 위에서 일부 지 식인을 중심으로 한 대중 교육 활동 등을 통해 사회주의의 이 상을 추구함 - 대표 사상가: 생시몽, 푸리에, 오언

• 정치적 민주주의: 사회주의는 자유 속에서 민주주의적인 수단에 의하여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려고 노력한다. 자유 없이 사회주의는 있을 수 없다. 사 회주의는 민주주의를 통해서만 달성할 수 있으며 민주주의는 사회주의를 통해서만 충분히 실현된다. • 경제적 민주주의: 사회주의적 계획화는 전 생산 수단의 공유화를 예상하지 않는다. 그것은 중요한 부문, 예컨대 농업, 수공업, 소매업, 중소 공업 등에 있어서의 사적 소유 재산과 양립한다. 국가는 사적 소유자가 그 권력을 남용하는 것을 방지하지 않으면 안 된다. 국가는 계획 경제의 틀 속에서 생산 과 복지의 증진에 공헌할 수 있도록 그들을 도울 수 있고 또 그렇게 해야 한다. • 사회적 민주주의: 자본주의의 지도 원리가 사적 이윤임에 반해 사회주의의 지도 원리는 인간적 필요의 충족이다. 인간의 기본적인 필요는 생산 성과 의 분배에 있어서 가장 먼저 고려되지 않으면 안 된다. 사회주의자들은 자기의 노력에 따라 보수를 받을 개인의 권리를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지만, 훌륭히 성취된 일에 대한 긍지, 공동의 이익을 위해서 일할 때 고양되는 단결과 협동 정신과 같이 노동의 다른 동기가 있다는 것을 확신한다.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프랑크푸르트 선언” -

민주 사회주의는 현대 공산주의가 사회주의의 전통을 심각하게 왜곡시켰다고 비판하면서, 급진적인 사회 혁명론과 프롤레타리아 독재론을 포기 하고 평화적이고 민주적인 방법을 통해 점진적으로 사회를 개혁하고자 하였다. 정치적·경제적·사회적 영역을 포함한 모든 영역에 민주주의를 확산시킴으로써, 경제적 불평등뿐만 아니라 정치적 독재에도 저항하면서 민주주의와 사회주의 간의 조화를 이루고자 한 것이다.

프랑크푸르트 선언에 나타난 민주 사회주의자료와 친해지기

15.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121

THEME 15

• 가령 정부가 빈 병들을 지폐로 가득 채운 후 어느 폐광에다 묻고서 기업들에게 자유방임 원칙에 따라 마음대로 그 돈을 퍼가도록 내버려 둔다고 가정해 보자. 기업들은 그 병을 파내기에 혈안이 될 것이므로 실업이 발생할 이유가 없어지고, 굴착 장비 등이 날 개 달린 듯 팔리고 생산과 소비가 늘어날 것이므로 그 사회의 실질 소득과 자본도 그 전보다 훨씬 증가할 것이다. 물론 이 방법보 다는 그 돈으로 주택을 짓거나 하는 편이 더 현명하다. 만약 다른 이유 때문에 정책의 실행이 불가능하다고 한다면 위에서 제시한 방안도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나을 것이다. - 케인스, “고용, 이자 및 화폐에 관한 일반 이론” • 복지 국가는 소득을 사회화하고, 그럴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는 사람들에게 화폐, 또는 그와 유사한 편익을 배분하는 일종의 가족 국가를 만들어 내면서 낡은 사회주의를 대체하게 되었다. …(중략)… 정부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배타적 권리를 갖게 되 면 자유는 심각하게 위협받는다.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권력은 개인에 대한 자의적 강제로 사용될 수밖에 없다. - 하이에크, “자유헌정론”

케인스는 1930년대 경제 대공황으로 대표되는 시장 실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사회 간접 자본 및 공공재 공급 증대, 사회적 서비스 증대, 빈부 격차 교정, 완전 고용 달성 등을 통해 시장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것을 주장하였다. 자유 시장 경제와 계획 경제가 혼합된 체제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수정 자본주의’라고 일컬어진다. 한편 1970년대 석유 파동을 계기로 정부 실패에 대한 반성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시장에 대한 정부의 개입을 대폭 축소하고 정부의 지출을 줄여 작은 정부로 복귀할 것이 강조되 었다. 이는 경제적 효율성을 약화시키는 정부의 시장 개입을 반대하며 정부 권한과 기능을 축소하고 개인의 자유와 시장 경제를 확대하려는 하이에크의 주장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정부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하는 수정 자본주의에 반대하여 다시 자 유 시장 경제의 확대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신자유주의’라고 지칭된다.

수정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의 특징은 무엇인가?심화 학습 ·테마 1

• 계급과 계급 간의 대립에 의해서 규정되는 낡은 부르주아 사회 대신에 각 개인의 자유로운 발전이 모두의 자유로운 발전의 조건 이 되는 사회가 형성될 것이다. …(중략)… 공산주의 사회의 높은 단계에서는 개인의 노동 분업에 대한 노예적 종속, 정신노동과 육체노동 사이의 대립 현상이 사라지게 될 것이며, 노동은 단순한 생활 수단만이 아니라 삶의 최우선적인 요구가 될 것이다. 또한 생산력은 개인의 전면적 발전과 더불어 증대될 것이고, 모든 협동적 부의 원천들이 풍요롭게 넘쳐흐를 것이다. 바로 이 시점에 이 르러서야 비로소 부르주아 법칙의 협소한 지평선이 완전히 사라지게 될 것이다. 사회는 그 깃발 위에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한다.’는 문구를 아로새길 수 있게 될 것이다. - 마르크스, “공산당 선언” • 노동 소외는 노동이 노동자의 외부에 있는 것, 즉 노동이 노동자의 일부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자는 자신의 노동에서 자신을 실현하지 못하고 오히려 자신을 부정하게 되며 행복이 아니라 불행을 느끼게 되고, 자신의 육체적·정신 적 에너지를 자유롭게 발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육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피폐해진다. 노동자는 오직 여가 시간에만 마음이 편하고 일할 때는 불안해 한다. 이렇게 노동은 자발적인 것이 아니라 강제적인 것이므로, 노동자는 육체적 혹은 다른 강제가 없기 만 하면 마치 전염병을 피하듯이 노동을 기피한다. - 마르크스, “경제학 철학 초고”

마르크스는 지금까지 존재한 모든 사회의 역사는 계급 투쟁의 역사라고 보았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 간의 계급 투쟁이 심화되고, 결국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의해 자본주의가 붕괴되면 프롤레타리아의 독재 과정을 거쳐 부르주아적 인 사적 소유, 계급, 국가가 사라지고, 모든 개인이 진정으로 자유롭고 평등하며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받는 공산 사회가 출현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은 자신의 노동으로부터 소외된다고 비판하며 인간이 노 동으로부터 소외되지 않는 경제적으로 평등한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사적 소유에 반대하고 생산 수단의 공유화를 주장하였다.

마르크스가 지향하는 사회의 모습은 어떠한가?심화 학습 ·테마 2

122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수능 실전 문제 정답과 해설 33쪽 01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인간은 항상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데, 그 도움이 오로지 동료의 자비심에서 베풀어지기를 기대 하는 것은 헛된 일이다. 오히려 자신의 이익을 위해 동료의 이기심을 자극하여, 자신의 요구 사항을 들어주는 것이 그들에게도 이익이 된다는 것을 보여 주는 방법이 훨씬 더 그들의 도움을 얻어 내는 데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 우리는 그들의 인간성에 호소하지 않고 그들의 이기심에 호소하며, 그들에게 우리 자신의 필요를 이야 기하지 않고 그들의 이익을 이야기한다. 개인이 자유롭게 이익을 추구할 때 개인의 노력은 의도하지 않게 사 회의 부(富)와 번영을 가져온다.

ㄱ. 사회적 분업은 인간이 지닌 이기심을 약화시킨다. ㄴ. 경제 활동에서 이타적 동기는 이윤을 극대화시킨다. ㄷ. 개인들의 사익 추구는 자연스럽게 공익 증대로 이어진다. ㄹ. 시장에서의 자유 경쟁은 자원의 효율적 배분에 기여할 수 있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141

02 사회사상가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갑: 모든 사람들은 정의의 법을 어기지 않는 한, 자신의 방식대로 자기 이익을 추구할 수 있게 경쟁하도록 자 유롭게 방임되어야 한다. 이러한 자연적 자유의 체계에서 정부는 사회적 이익이라는 명분 아래 개인의 선 택을 제한하거나 유도할 필요가 없다. 을: 경제가 불황에 빠지는 것은 유효 수요의 부족 때문이다. 생산량의 크기는 유효 수요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 며, 생산 능력에 비해 유효 수요가 부족하면 실업이 늘어나고 경제가 침체된다. 따라서 정부가 적극적으 로 유효 수요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① 갑은 인간의 이기적 성향이 지닌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② 을은 시장의 불완전성을 보완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③ 갑은 을에 비해 효율적 자원 배분을 위해 자유 경쟁을 더 강조한다. ④ 을은 갑과 달리 기업의 국유화를 통한 분배의 평등 실현을 추구한다. ⑤ 갑, 을은 개인의 자유로운 이윤 추구와 사적 소유권 보장을 인정한다.

7052-0142

15.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123

정답과 해설 33쪽

03 (가)를 주장한 현대 서양 사회사상가가 (나)의 A 국가의 정책에 대해 제시할 견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자유주의에서 강조하는 경쟁이 계획보다 우월한 이유는 그것이 지금까지 알려진 방법 중 가장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권력의 강제적이고도 자의적인 간섭 없이도 서로의 행위를 조정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이 다. 경쟁은 특정한 직업이 그 직업에 따른 불리한 점과 위험 요소를 상쇄하고도 남을 만큼 전망이 있는지 개 인이 스스로 결정할 기회를 각자에게 부여한다.

(나)

A 국가는 재산의 많고 적음이나 근로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사회 구성원에게 일정한 소득을 지급하는 기본 소득제를 도입하고자 한다. 만약 이러한 기본 소득제가 도입되면, 국민들은 매월 기본 생활이 보장되는 수준 으로 일정한 금액의 돈을 국가로부터 지급받게 된다.

① 사회적 지위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차별을 심화시키는 정책이므로 반대한다. ② 사회 구성원들 사이의 사회적·경제적 격차를 해소하는 정책이므로 지지한다. ③ 정부의 권한을 점점 확대하고 개인의 자유를 제약하는 정책이므로 반대한다. ④ 사회 구성원에게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생활을 보장하는 정책이므로 지지한다. ⑤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 존재하는 불평등 완화에 소극적인 정책이므로 반대한다.

7052-0143

04 다음 가상 대화에서 을에 비해 갑이 강조하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기업가들이 투자를 기피하고 있어서 경기가 침체되고 있으니 경기 침체를 극복하려면 정부가 지출을 늘려 대신 투자해야 합니다. 정부의 투자는 곧 국민들의 소득이 되어 소비자의 구매 능력을 증가시킬 것이고, 소비자의 구매 능력 증가는 민간의 투자를 유발할 것입니다. 을: 그렇지 않습니다. 정부 투자는 그것이 필요한 시기에 즉시 이루어져야 하는데, 정부가 효율적인 경제적 의사 결정에 필요한 엄청난 정보를 수집하거나 처리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경기 침체를 극복하 려면 수요와 공급 원리에 의해 가격이 조정되는 시장의 ‘자생적 질서’를 존중해야 합니다.

①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수요와 공급의 균형이 달성된다. ② 시장에 대한 정부의 개입은 경제적 효율성을 약화시킨다. ③ 자원 배분의 형평성을 제고하는 정책의 도입이 필요하다. ④ 자유 경쟁 원리를 더욱 확산시키면 경기 침체가 극복된다. ⑤ 불황 극복을 위해 복지 제도 축소, 공기업 민영화가 요구된다.

7052-0144

124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5 다음을 주장한 사회사상가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분업은 노동의 생산력과 사회의 부(富)를 향상시키지만, 노동자를 기계로 전락시킨다. 노동은 자본의 집적 (集積)과 사회의 번영을 불러오지만, 노동자를 점점 더 자본가에게 의존하게 만든다. 또한 노동은 노동자를 더 심한 경쟁으로 몰아넣고, 노동자를 과잉 생산이라는 사냥터로 밀어 넣는데, 그러한 과잉 생산은 노동자 를 무기력하게 만든다. • 보다 높은 공산주의 사회의 단계에서는 노동 분업에 대한 개인의 노예적 복종과 더불어 정신노동과 육체노 동 간의 대립이 제거된다. 또한 노동이 삶의 수단일 뿐만 아니라 삶의 일차적 욕구가 된 후에 개인의 전면 적 발전과 더불어 생산력 또한 증가되고 공동의 부의 모든 원천이 풍요롭게 흘러넘친다. 오직 이러한 단계 에서 자본가의 권리만 보장되는 것을 멈추게 할 수 있다.

① 생산 수단을 사유화하게 되면 노동자와 사회의 부가 증대되는가? ② 생산력 향상은 노동자와 자본가의 연대 의식 고양으로 이어지는가? ③ 개인들이 이기심을 합리적으로 발휘하면 공익이 저절로 늘어나는가? ④ 분업의 원리를 철저히 따르면 경제적 평등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는가? ⑤ 이상 사회가 되면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재화가 분배되는가?

7052-0145

06 (가), (나) 사회사상의 공통적인 입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자본주의에서 노동은 부자를 위해서 경이적인 작품을 만들어 내지만, 노동자에게는 가난을 만들어 낸다. 자본가를 위해서는 궁전을 만들어 내지만, 노동자에게는 움막을 만들어 준다. 낡은 부르주아 사회를 전복 하여 각 개인의 자유로운 발전이 모두의 자유로운 발전의 조건이 되는 사회를 형성하지 않으면 안 된다. (나) 자본주의는 국민의 대다수를 생산의 지배로부터 소외시킨 대가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자본주의 대 신 사회주의는 공공 이익이 사적 이윤에 우선하는 제도로 대치하려고 노력한다. 이를 위해서는 경제의 효과적인 민주적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노동자는 경영에 민주적으로 참가하지 않으면 안 된다.

① 생산 수단을 공유화하여 능력에 따라 분배받는 사회를 실현해야 한다. ② 노동자 중심의 혁명적 계급 투쟁을 통해 자본주의를 붕괴시켜야 한다. ③ 구성원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기 위해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해야 한다. ④ 정치·경제적 민주주의의 발전을 위해 국가의 재분배 정책을 폐지해야 한다. ⑤ 개인의 경제 활동의 자유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사적 소유권을 보장해야 한다.

7052-0146

15.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125

정답과 해설 33쪽

07 (가)의 사회사상가 갑, 을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탐구할 때, A ~ C에 들어갈 적절한 질문만을 <보기>에서 있 는 대로 고른 것은?

(가)

갑: 자본주의에서 나타나는 실업, 불황, 공황 등의 문제들은 시장이 완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장의 결함은 정부가 공공사업을 통해 유효 수요를 창출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을: 자본주의의 문제들은 노동자에 대한 자본가의 착취 구조를 재생산하는 자본주의 체제에서는 결코 해결될 수 없다. 사회 전체의 필요를 고려하는 계획 경제를 바탕으로 하여, 공동으로 생산하고 분배하는 사회가 올 것이다.

(나)

윤사15-1

<범 례>

: 판단 내용 : 판단 방향 : 사상가의 입장 : 출발 조건

갑, 을 사상가들의 입장을 탐구한다.

아니요

을의 입장갑의 입장

예예

CB

A

ㄱ. A: ‘보이지 않는 손’을 전적으로 신뢰하는 경제 체제는 전면적으로 폐지되어야 하는가? ㄴ. B: 비효율적 자원 배분, 빈부 격차 등 시장 실패 문제는 적극적으로 해결되어야 하는가? ㄷ. B: 자유 시장 경제로 인해 발생한 계급 간 대립과 억압적 사회 구조를 변혁해야 하는가? ㄹ. C: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생산 수단이 공유화되고 통제되어야 하는가?

보기

① ㄱ, ㄴ ② ㄴ, ㄹ ③ ㄷ, ㄹ ④ ㄱ, ㄴ, ㄷ ⑤ ㄱ, ㄷ, ㄹ

7052-0147

08 다음은 어느 선언문의 일부이다. 이 선언문에 반영되어 있는 사회사상의 입장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우리가 추구하는 사회주의는 사람들이 생산 수단을 소유하거나 또는 관리하는 소수자에게 의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해방하는 것을, 그리하여 경제 권력을 국민 전체의 손에 넘겨주어 자유로운 사람들이 평등한 자 격으로 함께 일하는 사회를 만들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우리가 추구하는 사회주의는 자유 속에서 민주주의적인 수단에 의하여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려고 노력한 다. 민주주의는 둘 이상의 정당이 존재할 권리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민주주의는 민주주의를 파괴하려는 목적에서만 기회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에 대하여서는 스스로를 보호할 권리와 의무를 가진다. 정치적 민주 주의를 옹호하는 것은 국민의 중대한 관심사이며, 이것을 견지하는 것은 경제적·사회적 민주주의를 실현 하기 위한 조건이다.

① 정치, 경제, 사회의 전 영역에서 민주주의를 실현해야 한다. ② 의회 활동을 중심으로 점진적인 사회 개혁을 추구해야 한다. ③ 계급 및 국가가 소멸된 사회의 실현을 최종 목표로 삼아야 한다. ④ 인간을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상호 의존적인 존재로 보아야 한다. ⑤ 생산 수단의 공유를 기본으로 부분적인 사적 소유도 인정해야 한다.

7052-0148

126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09 갑, 을, 병이 서로에게 제기할 수 있는 반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우리는 부(富)의 편차보다는 시장 경제 아래에서 모두의 경제적 여건이 나아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 다. 왜냐하면 개인의 능력과 노력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부의 불평등은 존재할 수밖에 없는데, 정부가 분 배 쪽으로 개입을 하면 성장 잠재력을 낮추어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을: 우리는 완전 고용, 보다 높은 생산, 생활 수준의 향상, 사회 보장 및 소득과 재산의 공평한 분배로 경제적 민주주의를 실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생산은 근로 대중의 이익을 위해서 계획되 어야 하며, 소수에게 경제 권력이 집중되지 않게 효과적인 민주적 관리를 필요로 한다. 병: 우리는 노동자 혁명을 추구한다. 그 첫걸음은 프롤레타리아를 지배 계급으로 끌어올리는 것이다. 프롤레 타리아는 정치적 지배력을 이용하여 부르주아로부터 모든 자본을 빼앗아 모든 생산 수단을 국가의 수중 에, 즉 지배 계급으로서 조직된 프롤레타리아에게 집중시킨다. 이는 생산 양식을 변혁하기 위한 수단으로 서 불가피하다.

① 갑이 을에게: 사회 전체의 공동선 실현을 위해 사적 소유 권리를 제한해야 한다. ② 갑이 병에게: 노동자를 착취하는 자본가의 이익을 대변하는 국가를 폐지해야 한다. ③ 을이 갑에게: 자유 경쟁을 보장하기 위해 시장에 대한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④ 을이 병에게: 평화적이고 민주적인 방법을 통해 점진적으로 사회 전체를 개혁해야 한다. ⑤ 병이 갑에게: 정부의 규제를 최소화하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 정책을 축소해야 한다.

7052-0149

10 (가)의 사회사상가 갑, 을이 (나)의 질문에 제시할 답변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가)

갑: 자본주의 체제의 두드러진 결점은 완전 고용을 성취하지 못한다는 점과 부와 소득의 분배가 자의적이고 불평등하다는 점에 있다. 국민의 소비 성향을 증가시키는 정부 정책의 시행은 자본의 성장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을: 자본주의 체제에서 노동의 사회적 생산력을 높이는 모든 방법은 개별 노동자를 희생시킴으로써 성취된다. 생산의 발전을 도모하는 모든 수단이 생산자에 대한 지배와 착취의 수단으로 변한다. 자본이 축적될수록 노동자의 운명은 그의 보수와 무관하게 반드시 악화된다는 결론이 나온다.

(나) <질문> 자본주의 사회의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갑 을

① 노동 시장을 유연화한다. 생산 수단을 부분적으로 사유화한다.

② 사회 보장 제도를 확대한다. 업적에 따른 분배를 지향한다.

③ 계급 없는 사회를 실현한다. 정부가 공기업을 민영화한다.

④ 정부의 재정 지출을 증대시킨다. 사유 재산 제도를 폐지한다.

⑤ 토지나 기업 등의 생산 수단을 공유화한다. 계급 없는 사회를 실현한다.

7052-0150

15.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127

실전 모의고사 1회 제한시간 30분 | 배점 50점

문항에 따라 배점이 다르니, 각 물음의 끝에 표시된 배점을 참고 하시오. 3점 문항에만 점수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점수 표시가 없 는 문항은 모두 2점입니다.

정답과 해설 36쪽

7052-0151 1 다음을 주장한 한국 사상가의 입장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로 고른 것은?

• 사람의 성(性)은 단지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것이다. 선을 좋아함으로 해서 측은(惻隱)과 사양(辭讓)의 마음이 있 게 되며, 악을 싫어함으로 해서 수오(羞惡)와 시비(是非)의 마 음이 있게 되며, 그 네 가지 마음이 있으므로 해서 인의예지 (仁義禮智)의 덕을 이룰 수가 있다. •

인의예지의 이름은 실천한 이후에 성립되는 것이다. 사람을 사랑하는 행위가 있고 나서 그에 대해 ‘인(仁)하다’라고 부르 는 것이며, 사람을 사랑하기 전에는 ‘인’이라는 이름이 성립되 지 않는다.

ㄱ. 인간은 동물과 달리 자유 의지를 지니고 있다. ㄴ. 인간의 욕구는 절대적으로 제거해야 할 대상이다. ㄷ. 인간의 성은 지속적인 수양을 통해 변화시킬 수 있다. ㄹ. 사덕은 타고난 사단을 확충함으로써 얻게 되는 것이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7052-0152 2 ㉠과 ㉡을 수양 방법으로 제시한 고대 동양 사상가가 추구한 삶의 자세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 자기의 신체나 손발의 존재를 잊어버리고, 눈이나 귀의 움직 임을 멈추고, 형체가 있는 육체를 떠나 분별 작용[知]을 버린 다면 도(道)와 한 몸을 이루어 두루 통하게 된다. 이것을 ㉠ (이)라 한다. • 정신을 집중하여 귀로 듣지 말고 마음으로 들어라. 마음으로 듣지 말고 기(氣)로 들어라. 귀는 고작 소리를 들을 뿐이고 마 음은 기껏해야 수동적으로 인식할 뿐이지만 기는 텅 비어 있 어서 바깥 사물을 있는 그대로 맞아들인다. 도(道)는 오직 허 (虛) 속에만 모인다. 이렇게 비우는 것이 ㉡ (이)다.

① 옳음과 그름, 선과 악을 분별하는 지혜를 끊어 버린다. ② 사심과 주관을 버리고 사물의 자연스러운 변화를 따른다. ③ 어떠한 외물(外物)에도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살아간다. ④ 도(道)의 관점에서 만물을 보고 일체의 차별에서 벗어난다. ⑤ 오감(五感)을 통해 얻은 경험으로 지식의 확실성을 추구한다.

7052-0153 3 고대 서양 사상가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갑: 국가에서 통치자들이 지혜라는 덕을 필요로 하는 것과 마찬 가지로 개인 영혼 중 이성적 부분은 지혜를 갖출 때 탁월하 게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을: 행복은 덕에 따르는 영혼의 활동이다. 덕은 지성적 덕과 품 성적 덕으로 구별된다. 철학적 지혜, 실천적 지혜는 지성적 덕이라 부르고, 용기나 절제는 품성적 덕이라 부른다.

① 갑은 국가와 개인이 올바르게 되는 방식이 같다고 본다. ② 갑은 인격과 지혜를 겸비한 철학자가 나라를 다스려야 한 다고 본다. ③ 을은 의지의 나약함 때문에 악을 행할 수 있다고 본다. ④ 을은 지성적 덕이 품성적 덕의 형성에 기여한다고 본다. ⑤ 갑, 을은 진리의 근거를 초월적인 세계에서 찾을 수 있다 고 본다.

7052-0154 4 (가)의 관점을 지닌 스승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에 들어 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가)

단박에 깨치면 부처와 같지만 여러 생(生)의 습기(習氣)가 깊 구나. 바람은 그쳤으나 물결은 아직도 출렁이고, 이치는 나 타났으나 망념(妄念)은 아직도 스러지지 않는다. 깨친 뒤에 도 오래 비추고 살펴서 홀연히 망념이 일어나도 따르지 말고 덜고 덜어서 무위(無爲)에 이르러야 비로소 궁극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나)

스승님, 습기를 제거하려면 어떻게 수행해야 합니까?

① 불성(佛性)을 생성하기 위해 바라밀을 실천해야 하네. ② 마음의 본체[定]와 마음의 작용[慧]을 함께 닦아야 하네. ③ 분별적 지혜를 버리고 무명(無明)의 삶을 추구해야 하네. ④ 경전 공부를 배제하고 참선 수행을 지속적으로 해야 하네. ⑤ 쾌락을 멀리하고 고행(苦行)을 통해 깨달음을 얻어야 하네.

128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7052-0155 5 다음을 주장한 고대 서양 사상가의 입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 은?

우리가 ‘쾌락이 목적이다.’라고 할 때의 쾌락은 방탕한 자들의 쾌락이나 육체적인 쾌락이 아니다. 내가 말하는 쾌락은 몸의 고 통과 마음의 불안으로부터의 자유이다. 왜냐하면 넘칠 만큼의 음식이나 맛있는 생선 요리와 같이 풍성하게 차려진 식탁에 있 는 것들이 쾌락적인 삶을 만들어 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모든 욕구와 회피의 근거를 파악하고 영혼을 회오리바 람처럼 뒤흔드는 광기를 몰아내는 명료한 사고만이 쾌락적인 삶을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① 공동체의 정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② 자연적이며 필수적인 욕구를 최대한 충족시켜야 한다. ③ 세계 시민으로서의 명예와 명성을 추구하며 살아야 한다. ④ 평정심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모든 욕구를 제거해야 한다. ⑤ 쾌락의 적극적 추구보다 고통과 근심의 제거를 위해 힘써 야 한다.

7052-0156 6 (가) 사상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퍼즐 속 세로 낱말 (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가)

물질은 ‘영원하지 않다, 괴로움이다, 실체가 없다.’고 보아야 한다. 또 느낌, 인식, 의지, 의식은 ‘영원하지 않다, 괴로움이 다, 실체가 없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면 그에게 법(法)에 대 한 바른 이해가 생기게 된다.

(나)

(A)

(B)

[가로 열쇠] (A): 원한을 풀고 서로 살리며 함께 살아간다는 의미를 가진 증산교의 중심 사상 (B): 정해진 영역 또는 목적, 사상, 규범, 조직 따위로부터 벗 어남. 청소년들의 비행과  행위 예방

[세로 열쇠] (A): …… 개념

① 지극히 크고 굳세며 올곧은 도덕적 기개이다. ② 남을 사랑하고 남의 고통을 연민하는 마음이다. ③ 업(業)에 따른 윤회(輪廻)의 고통에서 벗어난 상태이다. ④ 깨달음을 얻기 위해 실천해야 하는 여덟 가지 수행 방법이다. ⑤ 모든 것은 다양한 인(因)과 연(緣)에 의해 생겨난다는 이론 이다.

[7~8] 갑, 을은 고대 동양 사상가들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갑: 명(名)이 바르지 않으면 말에 순서가 없게 되고, 말에 순서 가 없어지면 일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일이 이루어지지 않 으면 예악(禮樂)이 세워지지 않으며, 예악이 세워지지 않으 면 형벌의 집행이 공정하게 되지 않는다. 형벌의 집행이 공 정하게 되지 않으면 백성들은 손발을 둘 곳이 없게 된다. 을: 예(禮)는 어째서 생겨났는가?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욕망이 있다. 욕망이 있는데 얻지 못하면 추구하지 않을 수 없다. 추구하는 데 한계가 정해져 있지 않으면 다른 사람과 다투 지 않을 수 없다. 다투면 어지러워지고 어지러워지면 궁해 진다. 그러므로 선왕은 예의를 만들어 욕망에 한계를 짓고, 사람들의 욕망을 충족시켜 주고자 하였다.

7052-0157 7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① 갑은 예악을 강조한 통치가 백성들의 삶을 어렵게 한다고 본다. ② 갑은 존비친소(尊卑親疎)의 구별이 없는 사랑을 실천해야 한다고 본다. ③ 을은 왕도(王道) 정치보다 패도(覇道) 정치를 참된 정치로 본다. ④ 을은 덕과 능력에 따라 지위와 재화를 공정하게 분배하도 록 하는 사회 규범을 예(禮)라고 본다. ⑤ 갑, 을은 강력한 법(法)과 술(術)을 정치의 요체로 본다.

7052-0158 8 다음을 주장한 고대 동양 사상가가 을에게 제기할 수 있는 비 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은 인(仁)의 단(端)이고, 부끄러워하고 미 워하는 마음은 의(義)의 단이며, 사양하는 마음은 예(禮)의 단이 고,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마음은 지(智)의 단이다.

① 인간의 고유한 본성은 식욕과 성욕임을 간과하고 있다. ② 인간의 선한 본성이 왕도 정치의 기반이 됨을 모르고 있다. ③ 인간의 본성은 선과 악으로 나눌 수 없음을 무시하고 있다. ④ 인간의 본성을 따르면 사회가 혼란스러워짐을 부정하고 있다. ⑤ 인간의 덕은 후천적인 노력을 통해 형성됨을 경시하고 있다.

실전 모의고사 1회 129

정답과 해설 36쪽

7052-0159 9 (가)의 중세 서양 사상가 갑, 을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탐구 하고자 할 때, A ~ C에 들어갈 질문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가)

갑: 신은 이성적 인식을 넘어서 실존적으로 만나야 할 인격 적 존재이다. 우리는 믿기 위해 알려고 하지 말고 알기 위해 믿어야 한다. 을: 이성을 통해 인식되는 진리는 신앙에 의해 수용되는 진 리와 모순되지 않는다. 신앙의 빛과 이성의 빛은 모두 신 으로부터 온 것이다.

(나)

갑, 을의 입장을 탐구한다.

아니요

갑의 입장 을의 입장

<범 례>

: 판단 내용 : 판단 방향 : 사상가의 입장 : 출발 조건

A

B

C

① A: 신은 영원한 존재이자 완전한 선인가? ② A: 신의 은총에 의해 영혼의 구원이 가능한가? ③ B: 신앙을 통해 계시된 진리를 인식할 수 있는가? ④ C: 신앙과 이성은 대립하지 않고 조화를 이룰 수 있는가? ⑤ C: 영원한 행복에 이르기 위해서는 종교적 덕의 실현이 필 요한가?

7052-0160 10 한국 사상가 갑, 을 모두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옳은 것은?

갑: 사람의 마음에서 생생하게 활동하는 이치는 능히 밝게 깨달 을 수 있으며 만사에 두루 통하여 어둡지 않다. 그렇기 때문 에 측은(惻隱)·수오(羞惡)·사양(辭讓)·시비(是非) 어느 것이나 능히 못하는 것이 없게 된다. 이것이 그 고유한 덕으 로서 이른바 양지(良知)란 것이다. 을: 대개 치양지(致良知)의 학문은 본심을 직접 가리켜서 일반 백성들이 쉽게 성인(聖人)의 길로 들어서게 해 주며, 지행합 일(知行合一)은 내면을 성찰하는 데 긴밀하고 절실하며 현 실에 대응하는 데 있어 과감한 힘이 있다.

① 천주교와 서양 문물을 철저하게 배척해야 하는가? ② 마음 밖의 이치를 탐구하여 사회 혼란을 극복해야 하는 가? ③ 인간이 도덕적 주체임을 자각하고 양지를 발휘해야 하는 가? ④ 성리학적 가치 질서와 인륜 도덕을 보전하고 지켜야 하는 가? ⑤ 양지를 형성하여 도덕적 지식과 도덕적 실천을 일치시켜 야 하는가?

7052-0161 11 근대 서양 사상가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 은 것은?

갑: 삼단 논법은 명제로 구성되고 명제는 언어로 구성되며 언어 는 개념을 뜻한다. 그러므로 만일 개념 자체가 혼란스럽거 나 사실로부터 성급하게 추출된 것이라면 그 논리의 상부 구조는 확실성을 잃게 된다. 우리의 유일한 희망은 참된 귀 납법에 있다. 을: 이성을 온전히 사용하지 못하고 감각에 주어진 것들을 다양 하게 판단하기 때문에 우리는 진리를 모르고 있다. 진리를 알기 위해서는 조금이라도 불확실한 모든 것을 일생에 한 번은 의심해 보아야 한다.

① 갑은 관찰과 실험이 주관적이어서 지식의 근원이 될 수 없 다고 본다. ② 갑은 참된 지식에 이르기 위해 인간의 선입견과 편견을 제 거해야 한다고 본다. ③ 을은 방법적 회의를 통해 의심할 수 없이 확실한 명제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④ 을은 지식의 원천이 이성에 있다고 보고 논리적 추론을 중 시해야 한다고 본다. ⑤ 갑, 을은 참된 지식을 얻기 위한 학문적 탐구 방법이 필요 하다고 본다.

7052-0162 12 갑에 비해 을이 강조할 내용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마음 밖에 물(物)이 없고, 마음 밖에 일[事]이 없으며, 마음 밖 에 이(理)가 없고, 마음 밖에 선(善)도 없습니다.

마음은 성(性)과 정(情)을 통괄 합니다. 성은 곧 천리(天理)이 며, 만물은 그것을 부여받아서 이(理)를 갖추지 않은 것이 없 습니다.

갑 을

ㄱ. 앎과 행함은 함께해 나가야[竝進] 한다. ㄴ. 마음 밖에는 어떠한 이치도 없고 사물도 없다. ㄷ. 양지(良知)가 마음의 본체이고 하늘의 이치이다. ㄹ. 이치는 마음뿐만 아니라 개별 사물에도 내재되어 있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130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7052-0163 13 근대 서양 사상가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도덕적 선악은 인상들을 구별함으 로써 알 수 있으며, 인상들을 구별 하는 것은 특정한 고통과 쾌락이므 로 도덕성은 판단되기보다 느껴지 는 것입니다.

자기의 행복을 증진하려는 경향성 때문이 아니라 의무이기 때문에 그 행동을 하려고 할 때에야 비로소 그 행동은 엄격한 의미의 도덕적 가치 를 지닙니다.

갑 을

① 갑은 공감을 통해 쾌감을 느끼는 것을 선(善)이라고 본다. ② 갑은 이성이 도덕적 행위의 직접적 동기가 될 수 없다고 본다. ③ 을은 자연적 감정은 도덕의 근거가 될 수 없다고 본다. ④ 을은 도덕 법칙을 자율적으로 따르는 행위를 도덕적이라 고 본다. ⑤ 갑, 을은 사회적으로 유용한 행위를 도덕적 가치가 있다고 본다.

7052-0164 14 (가)의 한국 사상가 갑, 을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표현할 때, A ~ C에 해당하는 적절한 진술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른 것은? [3점]

(가)

갑: 본연의 성과 기질의 성을 나눌 수 없듯이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을 두 변(邊)으로 나눌 수 없다. 천리(天理)는 무위(無爲)이므로 반드시 기(氣)의 기틀을 타야 동(動)하 는 것이니, 기가 동하지 않고서 이(理)가 동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 을: 본연의 성과 기질의 성이 다르듯이 사단과 칠정에도 구 별이 있다. 주희는 “이에 동정(動靜)이 없다면 기가 어찌 스스로 동정하겠는가?”라고 말하였다. 대개 이가 동하면 기가 좇아서 생(生)하며, 기가 동하면 이가 좇아서 나타 난다.

(나)

윤사-모의0-1

A: 갑만의 입장 B: 갑, 을의 공통 입장 C: 을만의 입장 <범 례>갑 을갑 을

A A B B C C

ㄱ. A: 사단과 칠정의 연원은 다르지 않다. ㄴ. B: 사단과 칠정은 이와 기가 결합된 감정이다. ㄷ. B: 사단은 칠정의 순선한 측면을 가리키는 것이다. ㄹ. C: 사단은 이가 발한 성이고 칠정은 기가 발한 정이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7052-0165 15 갑은 긍정, 을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공리의 원리란 당사자의 행복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정도에 따라서, 또는 행복을 증진시키거나 억누르는 정도에 따라서, 어떤 행위를 승인하거나 부인하는 원리를 뜻한다. 이때 고려되는 유일한 요소는 행위에 의해 생겨날 행복과 불행의 양이다. 을: 공리의 원리는 어떤 종류의 쾌락이 다른 종류의 쾌락보다 훨씬 더 바람직하고 한층 더 가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다 른 모든 것을 평가할 때는 양 이외에 질도 고려하면서 쾌락 을 평가할 때는 양에만 의존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① 모든 쾌락은 질적으로 동일한 것인가? ②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의 원리를 따라야 하는가? ③ 행위의 도덕성을 결정하는 것은 행위의 동기인가? ④ 삶의 궁극적인 목적은 행복이며 행복은 쾌락인가? ⑤ 쾌락의 양만이 아니라 질적인 차이도 고려해야 하는가?

7052-0166 16 그림은 어느 고대 중국 사상가와의 가상 인터뷰 장면이다. ㉠에 들어갈 진술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3 4

1 2

선생님께서는 사회 혼란의 원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그렇다면 바람직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사람들은 어떠한 자세를 가져야 합니까?

인간의 그릇된 인식과 가치관 때문 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인간이 만 든 인위적인 규범과 제도가 사회 혼 란을 가져옵니다.

① 인위(人爲)를 버리고 자연의 흐름에 따라야 합니다. ② 도(道)의 실현을 위해 분별적 지혜를 갖추어야 합니다. ③ 사사로운 욕심을 버리고 예악(禮樂)을 회복해야 합니다. ④ 집의(集義)를 통해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길러야 합니다. ⑤ 모든 사람을 차별하지 않는 겸애(兼愛)를 실천해야 합니다.

실전 모의고사 1회 131

정답과 해설 36쪽

7052-0167 17 그림은 서술형 평가 문제와 학생 답안이다. 학생 답안의 ㉠ ~ ㉤ 중 옳지 않은 것은? [3점]

서술형 평가 ◎ 문제: 현대 서양 사상가 갑, 을의 입장을 비교하시오.

갑: 취득에서의 정의의 원리에 따라 소유물을 취득한 자는 그 소유물에 대한 소유 권리가 있다. 이전에서의 정의의 원리에 따라 한 소유물을, 이 소유물에 대한 소유 권리 가 있는 자로부터 취득한 자는 그 소유물에 대한 소유 권리가 있다. 어느 누구도 이 두 가지의 적용에 의하지 않고서는 그 소유물에 대한 소유 권리가 없다. 을: 분배적 정의와 관련된 모든 가치들은 사회적 가치들이 다. 가치들이 사회적 맥락과는 무관하게 그 자체로 평가 되지는 않는다. 또 그럴 수도 없다. 가치들은 상이한 사 회에서는 상이한 의미를 갖는다. 사람들은 자신들이 사 회적 가치들을 구상하고 창출하며 소유하고 채택하는 바 로 그 방식 때문에 구체적인 정체성을 갖는다.

◎ 학생 답안

갑은 ㉠ 개인의 소유 권리를 보호하고 존중하는 것이 정의이 며, ㉡ 자기 소유권 원칙에 입각하여 정당하게 소유물을 취득 했다면 그 소유물을 얼마든지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다고 보 았다. 이에 비해 을은 ㉢ 사회적 가치의 종류와 의미는 공동체 마다 다를 수 있으며, ㉣ 서로 다른 사회적 가치는 서로 다른 분배 기준과 절차에 의해 분배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한편 갑, 을은 공통적으로 ㉤ 정치 공동체의 구성원들을 위해 국가의 소득 재분배 정책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① ㉠ ② ㉡ ③ ㉢ ④ ㉣ ⑤ ㉤

7052-0168 18 다음은 어느 근대 서양 사상가의 가상 편지이다. 이 사상가 가 강조하는 삶의 태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삶에 대한 고민이 많은 자네에게 꼭 해 주고 싶은 얘기가 있네. 그것은 다름 아니라 삶에서 무엇보다 유익한 것은 가능한 한 지성을 완전하게 하는 것이며, 오로지 이것에 인간의 최고 행 복이 있다는 것이네. 진실로 최고의 행복은 신(神)에 대한 인 식으로부터 나오는 정신의 만족일 뿐이라네. 그런데 지성을 완 전하게 하는 것은 다름 아니라 신과 신의 본성의 필연성에서 따라 나오는 활동을 인식하는 것이라네.

① 신앙을 통해 인격신에게 절대적으로 귀의한다. ② 모든 사물의 궁극적 원인과 발생의 질서를 인식한다. ③ 자유 의지를 통해 자연의 필연적 질서에서 벗어난다. ④ 쾌락을 삶의 궁극적 목적이자 도덕적 기준으로 삼는다. ⑤ 세상의 모든 일은 우연히 발생한다는 점을 받아들인다.

7052-0169 19 (가)의 입장에 비해 (나)의 입장이 갖는 상대적 특징을 그림 의 ㉠ ~ ㉤ 중에서 고른 것은? [3점]

(가) 공산주의의 당면 목적은 프롤레타리아를 계급으로 형성시 키고, 부르주아의 지배를 뒤엎으며, 프롤레타리아의 손으 로 정치권력을 장악하는 것이다. (나) 전체주의적 방법과 달리 사회주의는 민중 스스로의 철저하 고도 적극적인 참여 없이는 결코 성공할 수 없다. 사회주의 는 가장 높은 형태의 민주주의이다.

높음

높음

낮음

높음

•X: 계급 투쟁을 강조하는 정도 •Y: 점진적인 사회 개혁을 추구 하는 정도 •Z`: 부분적으로 사적 소유를 인정 하는 정도

X

Y

Z

① ㉠ ② ㉡ ③ ㉢ ④ ㉣ ⑤ ㉤

7052-0170 20 다음을 주장한 서양 사상가의 관점에만 모두 ‘3’를 표시한 학생은?

• 우리의 생명과 영혼을 구제할 수 있는 것은 객관적인 진리가 아니고, 주체적인 진리이다. 내 앞에 있는 대상에 대한 인식 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나는 무엇을 해야 하며, 어떻게 살아 야 하는가.”라는 주체적인 자각과 행동이 중요하다. • 심미적 단계는 물론이고, 윤리적 단계의 삶에서도 절망한 인 간은 종교적 단계에 이르러 비로소 참된 실존을 회복하게 된 다. 즉 스스로 신을 믿고 따르는 결단을 내릴 때 그는 비로소 무력감과 허무감을 떨쳐 버리고 참된 삶을 살 수 있게 된다.

학생

관점

갑 을 병 정 무

진리는 개별적이고 주관적인 것이다. 3 3 3

인간은 신에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를 형 성해야 하는 존재이다.

3 3 3

참된 실존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신 앞 에 선 단독자’가 되어야 한다.

3 3 3

인간은 종교적 단계에서 불안과 절망을 극복하고 진정한 실존을 찾게 된다.

3 3 3

① 갑 ② 을 ③ 병 ④ 정 ⑤ 무

132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제한시간 30분 | 배점 50점

문항에 따라 배점이 다르니, 각 물음의 끝에 표시된 배점을 참고 하시오. 3점 문항에만 점수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점수 표시가 없 는 문항은 모두 2점입니다.

정답과 해설 39쪽

실전 모의고사 2회

7052-0171 1 다음을 주장한 고대 서양 사상가가 추구하는 삶의 태도로 가 장 적절한 것은?

아테네인들이여, 나는 여러분을 사랑합니다. 그러나 나는 여러 분에게 복종하지 않습니다. 나는 신에게 복종합니다. 나는 내 목숨이 붙어 있는 한 진리를 사랑할 것이며, 여러분에게 충언하 는 일을 그만두지 않을 것입니다. 지금 여러분의 정신 상태는 어떻습니까? 참된 명예에 대해서, 진리에 대해서, 그리고 고매 한 영혼에 대해서 아무도 신경을 쓰지 않는다면 이것이야말로 부끄러운 일 아니겠습니까?

① 유용성을 가치 판단의 기준으로 삼고 자기 삶에 도움이 되는 지식을 쌓아야 한다. ② 지식이 힘의 원천임을 깨닫고 다양한 지식을 통해 경제적 이 익과 부를 창출해야 한다. ③ 진리는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음을 알고 각자에 게 알맞은 진리를 찾아야 한다. ④ 자신의 무지를 자각하고 진리를 추구하며 이성을 바탕으로 선하게 사는 삶을 살아가야 한다. ⑤ 많은 사람들이 지지하며 많은 사람들에게 칭찬받을 만한 삶 을 자기 삶의 목표로 삼아야 한다.

7052-0172 2 다음을 주장한 고대 동양 사상가의 입장으로 옳지 않은 것은?

명예를 추구하지 말고 모략을 일삼는 자가 되지 말라. 일을 도 모하지 말고 지혜의 소유주가 되지 말라. 무궁한 도를 철저히 터득하여 무(無)의 경지에 노닐라. 하늘로부터 받은 본성을 다 하여 이득을 추구하지 말라. 언제나 마음을 텅 비울 따름이어야 한다.

① 인간의 오감(五感)에 의해 얻은 지식은 관계적·상대적이다. ② 만물이 하나라는 지혜와 정신적 자유의 경지를 추구해야 한다. ③ 나와 너의 대립을 해소하고 모든 사건이나 사물을 차별하 지 말아야 한다. ④ 주변 환경에 본심을 어지럽히지 말고 도(道)와 일치되는 삶을 살아야 한다. ⑤ 만물의 변화에 대한 경험적 지식을 쌓아 물아일체(物我一 體)의 경지에 도달해야 한다.

7052-0173 3 고대 동양 사상가 갑, 을, 병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은? [3점]

갑: 사람은 만약 어린아이가 물에 빠지는 상황을 당하게 되면 측은해 하는 마음을 갖게 된다. 그것은 어린아이의 부모와 친분을 맺으려고 해서도 칭찬을 바라서도 아니다. 을: 사람은 본래부터 이기적이며 욕망이 있다. 욕망이 있는데 얻지 못하면 구하고자 하고, 구하고자 하면 다투지 않을 수 없고, 다투면 혼란해지고 궁색해진다. 병: 사람의 본성은 식욕과 성욕이며 타고난 그대로가 본성인 것 이다. 사람의 본성을 선이나 악으로 규정지을 수 없는 것은 물에 동서의 구분이 없는 것과 같다.

① 갑은 모든 사람이 선한 본성을 타고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② 을은 사단(四端)을 확충할 때 이상적 삶을 살 수 있다고 본다. ③ 병은 후천적인 노력이 있어도 인간이 선해질 수 없다고 본다. ④ 갑, 을은 병과 달리 태어나면서부터 인성이 선 또는 악으 로 정해져 있다고 본다. ⑤ 갑, 병은 본성의 확충을 통해, 을은 본성의 변화를 통해 성인(聖人)이 될 수 있다고 본다. 7052-0174 4 고대 서양 사상가 갑과 근대 서양 사상가 을이 공통적으로 지 지할 내용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갑: 이 우주에는 숙명적인 필연성과 움직일 수 없는 질서, 또는 자비로운 섭리가 있을 뿐이거나 목적도 방향도 없는 혼란이 있을 뿐이다. 만일 숙명적인 필연성이 있을 뿐이라면 무엇 때문에 당신은 반항하는가? 만일 자비로운 섭리가 있을 뿐 이라면 신의 도움을 받을 만한 자가 되라. 만일 방향도 없는 혼돈이 있을 뿐이라면, 폭풍우 속에서도 자기 안에 이성이 지배하고 있음을 기뻐하라. 을: 삶에서 무엇보다 유익한 것은 가능한 한 지성을 완전하게 하는 것이며, 이렇게 할 때에만 인간은 지복(至福)을 누릴 수 있다. 지성을 완전하게 한다는 것은 신적 본성의 필연성 에서 생기는 활동을 파악하는 것이며, 지복이란 신을 직관 함으로써 생기는 정신의 만족을 가리킨다.

ㄱ. 세상의 모든 일이 필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아야 한다. ㄴ. 정념(情念)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인의 삶을 추구해야 한다. ㄷ. 자신의 운명에 굴복하지 말고 운명을 주체적으로 극복해야 한다. ㄹ. 참된 행복을 얻으려면 참된 실체(實體)인 인격신을 이성적 으로 관조해야 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실전 모의고사 2회 133

정답과 해설 39쪽

7052-0175

5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갑: 국가는 개인의 경제적·물질적 필요와 같은 생존의 차원뿐 만 아니라 개인의 자아실현과 같은 좋은 삶의 차원을 충족 할 수 있는 자족적인 공동체이다. 사물의 본성이 그 사물의 최후 형태 또는 궁극 목적의 실현을 의미하듯, 자족적인 국 가는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결사체의 최후 형태이자, 그 궁 극 목적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최선의 단계이다. 을: 국가에 대한 충성의 의무가 중지되는 순간은 충성의 원인인 이익이 중지되었을 경우이다. 물론 우리의 습관으로 발생하 는 충성의 책임이 얼마간 지속될 수는 있다. 하지만 원인이 중지된 상태에서 그런 책임이 지속되어야 한다는 명분은 없 다. 따라서 어떤 국가 내지 통치자로부터 공적 유용성을 발 견하지 못하는 것이 오래 지속될 경우 사람들은 충성의 의 무를 철회할 수 있다.

① 갑은 정치적 복종의 근거를 명시적 동의에서 찾아야 한다 고 본다. ② 갑은 국가와 시민 사이의 상호 계약으로부터 정치적 의무 가 비롯된다고 본다. ③ 을은 인간의 본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국가가 형성된다고 본다. ④ 을은 국가로부터 받는 혜택이 국가에 복종할 의무의 근거 가 된다고 본다. ⑤ 갑, 을은 국가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서라면 언제든지 개인 의 권리를 희생할 수 있다고 본다.

7052-0176 6 갑, 을은 고대 동양 사상가들이다. 갑이 을에게 제기할 수 있 는 적절한 반론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갑: 정치가 어수룩하면 백성이 순박해지고 정치가 빈틈없이 이 루어지면 백성은 교활해진다. 화(禍) 곁에는 복(福)이 기대 어 서 있고 복 속에는 화가 숨어 있다. 누가 그 끝을 알겠는 가? 올바름의 기준은 없다. 을: 정치란 바로잡는 것이다. 그대가 솔선해서 바르게 한다면 누가 감히 바르지 않겠는가? 위정자 자신이 올바르면 명령 을 내리지 않아도 잘 이행되고, 위정자 자신이 올바르지 못 하면 명령을 내려도 시행되지 않는다.

ㄱ. 백성들을 무지와 무욕의 상태에 있게 해야 한다. ㄴ. 재화의 고른 분배를 위한 정책과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ㄷ. 인위적인 제도를 버리고 무위(無爲)의 다스림을 실현해야 한다. ㄹ. 문명의 발달이 없는 소국과민(小國寡民) 사회를 지향해야 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7052-0177 7 (가), (나)는 사회사상이다. (가)의 입장에 비해 (나)의 입장이 갖는 상대적 특징을 그림의 ㉠ ~ ㉤ 중에서 고른 것은?

(가) 개인은 자신의 행위 중에서 타인과 관계되는 부분에 한해 서만 사회에 대해 책임을 지면 된다. 단순히 자신에게만 연 관된 부분에 한해서 개인의 자율성은 절대적이다. (나) 개인은 사회적·역사적인 역할과 지위로부터 분리될 수 없 다. 자신의 좋은 삶에 대한 탐색은 그가 속한 공동체의 전 통에 의해 규정되는 맥락 속에서 이루어진다.

•X: 국가가 개인들의 다양한 가치관 에 대해 중립을 유지해야 한다고 보는 정도 •Y: 개인의 정체성이 공동체와 상호 작용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고 보는 정도 •Z: 개인을 관계적•연고적인 존재로 보는 정도

높음

높음

낮음

높음

㉠ ㉡

㉤㉣

X

Y

Z

① ㉠ ② ㉡ ③ ㉢ ④ ㉣ ⑤ ㉤

7052-0178 8 (가)의 갑, 을, 병 사상가들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나타내고 자 할 때, A ~ D에 들어갈 옳은 진술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가)

갑: 우리가 식사를 할 수 있는 것은 정육점 주인, 양조장 주 인, 빵집 주인의 자비심 때문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이익 에 대한 그들의 관심 때문이다. 을: 재무성이 몇 개의 낡은 병에 지폐를 채워 폐광에 묻은 후, 자유방임의 원칙에 입각해 개인 기업들로 하여금 그 지폐를 다시 파내게 한다면 실업은 사라질 것이다. 병: 자생적 질서의 대표적 예는 시장 경제 질서이다. 전체적인 질서를 잡는 주체가 없어도 시장 경제에서는 이를 구성하 는 경제 주체들의 자율적 행동에 의해 질서가 형성된다.

(나)

A: 갑만의 입장 B: 을만의 입장 C: 갑, 을, 병의 공통 입장 D: 갑과 병만의 공통 입장 <범 례>

병을 병

A

B

A

B

C D D

ㄱ. A: 각 개인의 경제적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 ㄴ. B: 공공 정책을 통해 민간의 부족한 유효 수요를 보충해 주 어야 한다. ㄷ. C: 사적 소유를 인정하고 시장에서의 이윤 추구를 보장해야 한다. ㄹ. D: 시장의 원리를 신뢰하고 정부의 시장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134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7052-0179 9 다음을 주장한 한국 불교 사상가의 입장만을 <보기>에서 있 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깨친 뒤에도 오래 비추고 살펴서 홀연히 망념(妄念)이 일어나도 따르지 말고 덜고 덜어서 무위(無爲)에 이르러야 비로소 ‘궁극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으니, 천하의 모든 선지식이 깨달은 뒤에 ‘소[牛]를 기르는 수행’을 하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ㄱ. 점수(漸修)란 정(定)과 혜(慧)를 함께 닦는 것이다. ㄴ. 습기(習氣)는 돈오 이전에도 이후에도 존재할 수 있다. ㄷ. 자신의 본성을 단박에 깨치고[頓悟] 단박에 닦아야 한다. ㄹ. 부처의 말씀과 조사(祖師)의 마음이 서로 어긋날 수 없다.

보기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7052-0180 10 (가)의 갑, 을, 병 사상가들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탐구하 고자 할 때, A ~ D에 들어갈 적절한 질문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로 고른 것은? [3점]

(가)

갑: 쾌락은 행복한 삶의 시작과 끝이다. 이때의 쾌락이란 방 탕한 자들이 말하는 쾌락이 아니라 몸의 고통과 마음의 혼란으로부터의 자유[ataraxia]이다. 을: 공동체의 구성원인 개인들의 행복, 즉 그들의 쾌락과 안 전이야말로 입법자가 고려해야 할 유일한 목적이다. 최 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도덕의 원리로 삼아야 한다. 병: 공리의 원리는 어떤 종류의 쾌락이 다른 종류의 쾌락보다 훨씬 더 바람직하고 한층 더 가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나)

윤사-모의2-3

<범 례>

: 판단 내용 : 판단 방향 : 사상가의 입장 : 출발 조건

갑, 을, 병의 입장을 탐구한다.

아니요

아니요

을의 입장갑의 입장 병의 입장

C

B

A

D

ㄱ. A: 인간은 누구나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려는 존재인가? ㄴ. B: 공적인 일의 번잡스러움에서 벗어나 은둔자적인 삶을 살 아야 하는가? ㄷ. C: 더 많은 사람에게 더 많은 쾌락을 가져다주는 행위는 바 람직한 것인가? ㄹ. D: 쾌락을 평가할 때 질을 도외시한 채 양에만 의존하는 것 은 불합리한 것인가?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7052-0181 11 근대 한국 사상가 갑, 을, 병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갑: 강화(講和)가 이루어지면 사학(邪學)의 서적과 천주(天主)의 초상화가 교역 과정에서 들어올 것이며, 예의는 시궁창에 빠지고 인간들은 변하여 금수가 될 것이다. 을: 저마다 본래의 마음을 지키고[守心] 기운을 바로잡아[正氣] 한울님의 성품을 거느리고 가르침을 받으면 자연스럽게 교 화가 이루어질 것이다. 병: 천지도수(天地度數)를 뜯어고치고 신도(神道)를 바로잡아 만고의 원한을 풀고 상생(相生)의 도로써 백성을 변화시켜 세상을 고치리라.

① 갑은 서양뿐만 아니라 일본의 문물도 배척해야 한다고 본다. ② 을은 나랏일을 돕고 백성을 편안하게 해야 한다고 본다. ③ 병은 현세에서 이상 사회의 실현이 가능하다고 본다. ④ 갑은 을과 달리 유교적 신분 질서를 유지해야 한다고 본다. ⑤ 갑, 을, 병은 새로운 세상을 열어야 한다[後天開闢]고 본다.

7052-0182 12 사회사상 (가), (나)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가) 부르주아가 싫든 좋든 촉진하지 않을 수 없는 공업의 진보 는 경쟁에 의한 노동자들의 고립 대신에 연합에 의한 그들 의 혁명적 단결을 가져온다. 대공업의 발전과 더불어 부르 주아가 생산물을 생산하고 점유하는 기반 자체가 부르주아 의 발밑에서 무너져 가는 것이다. 부르주아는 다른 무엇보 다도 자신의 무덤을 파는 일꾼을 생산하는 셈이다. (나) 사회주의의 달성은 필연적인 것은 아니다. 그것은 사회주의 를 추구하는 모든 사람들의 직접적 기여를 필요로 한다. 전 체주의적 방법과는 달리 사회주의는 민중들로 하여금 수동 적인 역할에 머물게 하지 않는다. 오히려 정반대다. 사회주 의는 민중 스스로의 철저하고도 적극적인 참여 없이는 성공 할 수 없다. 사회주의는 가장 높은 형태의 민주주의이다.

ㄱ. (가)는 사유 재산과 계급, 국가가 완전히 소멸된 사회를 지 향한다. ㄴ. (나)는 자본주의의 붕괴와 공산주의의 도래를 역사적 필연 성 차원에서 이해한다. ㄷ. (가)는 생산 수단의 전적인 공유를 추구하고, (나)는 일부 생 산 수단의 사적 소유를 인정한다. ㄹ. (가)는 의회와 선거 제도를 통해, (나)는 폭력적 계급 혁명을 통해 사회주의를 실현하고자 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실전 모의고사 2회 135

정답과 해설 39쪽

7052-0183 13 다음을 주장한 서양 사상가의 관점에만 모두 ‘3’를 표시한 학생은? [3점]

여성들에 대한 연구에 중점을 두고 여성들의 삶으로부터 발달 이 론을 구성해 나간다면 콜버그의 관점과는 다른 도덕관이 형성될 것이며, 발달도 달리 묘사될 것이다. 이 새로운 관점에서는 도덕 문제들이 일어나는 원인으로 권리의 충돌이 아니라 책임의 충돌 을 들 것이며, 그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으로 형식적·추상적인 사고방식이 아니라 맥락적·서사적인 사고방식을 들 것이다.

학생 관점 갑 을 병 정 무

정의 윤리는 여성을 도덕적으로 열등한 존재로 규정하는 문제점이 있다.

3 3 3

정의 윤리는 남성 중심적이며 타인에 대 한 보살핌과 책임을 소홀히 다룬다.

3 3 3

여성은 남성과 달리 성장 과정에서 ‘어머니 로부터의 독립’을 통해 여성성을 형성한다.

3 3 3

공감을 중시하는 배려 윤리는 합리성을 중시하는 정의 윤리와 조화를 이룰 수 없다.

3 3 3

① 갑 ② 을 ③ 병 ④ 정 ⑤ 무

7052-0184 14 갑은 긍정, 을은 부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종교적 실존은 영원과 관계있다. 신을 부정함으로써 자신이 신을 버린 죄인이었다는 것을 몸소 깨닫는다. 단독자는 모 든 죄가 전적으로 자신의 오만한 행위 때문이었다고 인정하 고 뉘우친다. 이때 인간은 비로소 자신을 주체로서 새롭게 규정한다. 을: 인간은 자유롭도록 선고받았다. 왜냐하면 그 자신이 세계 속에 던져진 이상 인간은 자신이 하는 모든 것에 책임이 있 기 때문이다. 인간은 자신을 인도할 어떤 방향이나 이정표 도 갖고 있지 않으므로 매 순간 스스로를 발명하도록 선고 받았다.

① 완성된 삶을 살기 위해 스스로 신에게 나아가 귀의해야 하 는가? ② ‘신 앞에 선 단독자’로서 신의 뜻을 거역하여 주체적으로 결단해야 하는가? ③ 인간의 합리적 이성을 근거로 실존적 상황에서 불안과 절 망에서 벗어나야 하는가? ④ 신에게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자신의 모든 것을 선택하고 그에 대해 책임져야 하는가? ⑤ 참된 실존의 회복을 위해 인간의 본질을 정해 줄 신이 존 재하지 않음을 깨달아야 하는가?

7052-0185 15 갑, 을은 중국 유학 사상가들이다. 갑이 을에게 제기할 수 있는 반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몸을 주재하는 것은 마음이고 마음이 드러난 것이 바로 의 (意)이며 의의 본체가 바로 지(知)이고 의가 있는 곳이 곧 물 (物)이다. 의가 부모를 섬기는 데 있다면 부모를 섬기는 것 이 바로 하나의 물이고, 의가 백성을 사랑하고 아끼는 데 있 다면 백성을 사랑하는 것이 바로 하나의 물이다. 을: 만물은 천리(天理)를 부여받았으므로 이(理)를 갖추지 않은 것이 없다. 마음은 한 몸을 주재하는 것이고 의(意)는 마음 이 발현한 것이며, 정(情)은 마음이 움직인 것이고, 지(志)는 마음이 지향하는 것으로 정과 의보다 더 중요하다.

① 이치는 마음 안에도 마음 밖에도 존재함을 알아야 한다. ② 치지(致知)와 역행(力行)에 선후와 경중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③ 인격 완성을 위해 사물에 나아가 그 사물의 이치를 끝까지 궁구(窮究)해야 함을 알아야 한다. ④ 성인이 되기 위해 천리(天理)를 보존하고 인욕(人欲)을 제 거하는 수양이 필요함을 알아야 한다. ⑤ 격물치지(格物致知)가 뜻이 있는 곳의 일을 바로잡아 본체 를 온전히 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7052-0186 16 갑, 을은 중세 서양 사상가, 병은 근대 서양 사상가이다. 이들의 입장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갑: 두 개의 사랑에 의해 두 개의 나라가 형성된다. 지상의 나라는 자신을 사랑하고 심지어 신을 경멸함으로써, 천상의 나라는 신을 사랑하고 심지어 자신조차도 경멸함으로써 형성된다. 을: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완성을 향한 욕구를 갖고 있기 때문 에 그 최종적 목적인 자신의 완전함과 자신의 선을 만족스 럽게 성취하기 위해 움직인다. 우리에게 궁극적인 목적이란 창조되지 않은 선, 곧 신이다. 병: 돈을 주고 영혼을 연옥에서 구해 내거나 참회의 자격증을 산 사람에게는 참회(懺悔)가 필요치 않다고 가르치는 사람 들은 결코 기독교 교리를 전하는 것이 아니다. 진심으로 회 개하는 그리스도인은 면죄부 없이도 죄에서 완전히 해방될 수 있다.

ㄱ. 갑은 신을 실존적으로 만나야 할 인격적 존재로 본다. ㄴ. 을은 신앙보다 이성을 우위에 두어야 한다고 본다. ㄷ. 병은 교회의 예배 의식보다 개인의 신앙이 더 중요하다고 본다. ㄹ. 갑, 을, 병은 모두 신의 은총을 통해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136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7052-0187 17 갑, 을 사상가들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갑: 인간은 완전한 자유와 자연법상의 권리 및 특권을 간섭받지 않고 누릴 수 있는 자격을 다른 사람과 더불어 평등하게 가 지고 태어났다. 그리고 인간은 본래 타인의 침해와 공격으 로부터 그의 생명, 자유, 재산을 보존할 권력뿐만 아니라 다 른 사람들이 그 법을 위반한 것을 심판하고 처벌할 수 있는 권력도 가지고 있다. 을: 인간은 외부의 침입과 상해로부터 보호받고, 번성하고, 만족 스럽게 살아가기 위해 모두의 권력과 힘을 절대 군주가 통치 하는 국가에 양도해야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목소리가 하나 의 의지로 통합된다. 우리는 우리의 의지가 그의 의지에, 우 리들의 판단이 그의 판단에 복종하도록 해야 한다.

① 갑은 자연 상태에서의 인간이 자신의 생존과 이익만을 추구 하는 이기적 존재라고 본다. ② 을은 신탁(信託)을 위반하는 정부에 대해 저항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본다. ③ 갑은 을과 달리 국가를 구성원들의 합의에 의한 계약의 산물 이라고 본다. ④ 을은 갑과 달리 국가를 자연권을 양도받은 절대적 권력 기 구로 본다. ⑤ 갑, 을은 자연 상태에서 모든 사람이 자연권을 온전히 향유할 수 있다고 본다.

7052-0188 18 갑, 을이 각각 서로에게 제기할 반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 은? [3점]

갑: 이성 혼자서는 그 어떤 의지 작용의 동기가 될 수 없으며, 이성은 의지를 지도함에 있어 감정에 반대할 수 없다. 이성 은 감정에 봉사하고 복종하는 것 말고 다른 어떤 임무도 요 구할 수 없다. 을: 이성적 존재자인 경우에 한해서만 도덕성이 법칙으로서 작 용하므로, 도덕성은 이성적 존재자 모두에 대해 타당성을 갖는 것이 분명하다.

~이 ~에게 반론

① 갑 을

이성은 인간의 도덕적 판단에 어떠한 역 할도 수행할 수 없음을 모르고 있다.

② 갑 을

도덕은 행복이나 다른 무엇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없음을 모르고 있다.

③ 을 갑

이성이 아니라 감정이 도덕적 실천의 주 된 동인(動因)임을 모르고 있다.

④ 을 갑

동정심이나 공감과 같은 감정이 도덕의 기반이 될 수 없음을 모르고 있다.

⑤ 을 갑

선악은 사회적 시인(是認)이나 부인(否 認)의 감정을 표현한 것임을 모르고 있다.

7052-0189 19 갑의 입장에서 을에게 제기할 견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사회적 가치들은 사회적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우리는 이 러한 의미들에 대한 해석을 통해 분배적 정의를 모색한다. 두 가치가 서로 무관함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가치를 다른 가치로 전환하는 것은 다른 부류의 사람들이 적절히 통치하 고 있는 영역을 침해하는 것과 같다. 다른 가치들을 얻기 위 해 경제력이나 정치권력을 사용하는 것은 그것을 전제적으 로 사용하는 것이다. 전제는 우리가 추구하는 다원적 평등 체제와 반대된다. 을: 공정으로서의 정의관에 있어서 사람들은 서로의 운명을 함 께하는 데 합의한다. 그리고 제도를 수립함에 있어서 공동 의 이익을 가져오는 경우에만 자연적·사회적 여건의 우연 성을 이용하기로 합의한다. 원초적 입장에서 도출된 정의의 두 원칙은 운명의 임의성을 처리하는 공정한 방식이며 이들 두 원칙을 만족시키는 제도는 정의롭다.

① 사람들의 타고난 재능의 분포가 사회의 공유 자산임을 알아야 한다. ②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소득 재분배 정책이 필요함을 알아 야 한다. ③ 가상적 상황에서 도출된 단일한 정의의 원칙은 실제 삶에서 실 현될 가능성이 적음을 알아야 한다. ④ 재화의 분배는 전적으로 개인의 자유에 위임해야 하며 최소 국가를 지향해야 함을 알아야 한다. ⑤ 어떤 영역에서 우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람이 다른 영역의 재화까지도 쉽게 소유해야 함을 알아야 한다.

7052-0190 20 한국 유교 사상가 갑, 을, 병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갑: 사단(四端)은 이(理)가 발하여 기(氣)가 이를 따른 것이고, 칠정(七情)은 기가 발하여 이가 기를 탄 것이다. 을: 사단은 오직 이만을 말한 것이고 칠정은 이와 기를 겸(兼)하 여 말한 것이니, 두 갈래의 정(情)이 있는 것이 아니다. 병: 사단의 ‘단’은 시작[始]을 뜻한다. 백성을 자애롭게 대한 후 에 인(仁)이라 하고 자신을 올곧게 한 후에 의(義)라 한다.

① 갑은 사단과 칠정의 연원이 다르지 않다고 본다. ② 갑은 을과 달리 사단은 성(性), 칠정은 정(情)이라고 본다. ③ 을은 갑과 달리 사단만이 순선한 정(情)이라고 본다. ④ 갑, 을은 병과 달리 사단뿐만 아니라 사덕도 선천적인 것 으로 본다. ⑤ 병은 갑, 을과 달리 사단을 사덕이 내재함을 알게 해 주는 실마리라고 본다.

실전 모의고사 2회 137

제한시간 30분 | 배점 50점

문항에 따라 배점이 다르니, 각 물음의 끝에 표시된 배점을 참고 하시오. 3점 문항에만 점수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점수 표시가 없 는 문항은 모두 2점입니다.

정답과 해설 44쪽

실전 모의고사 3회

7052-0191 1 다음의 가상 편지를 쓴 고대 서양 사상가가 강조하는 삶의 태 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에게 최근 자네가 여러 가지 고통스러운 일들로 인해 어려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들었네. 힘들겠지만 자네에게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담담하게 받아들이게나. 자네가 자네에게 생긴 일에 대해 불만을 품는다면, 그것 은 모든 것이 우주의 본성에 따라 일어난다는 사실과, 일어나는 모든 일은 항상 그렇게 일어나게 되어 있다는 사실을 잊고 있는 것이라네. 또한 그것은 인류가 이성을 지닌 동족(同族)이라는 것을 잊고 있는 것 이기도 하다네. …(후략)…

① 마음의 평정과 몸의 편안함을 얻기 위해 검소하게 생활한다. ② 공적인 삶을 멀리하고 한적한 곳에서 벗들과 우정을 나눈다. ③ 모든 감정과 욕망을 제거하고 철저하게 이성에 따라 행동한다. ④ 불필요한 정념에서 벗어나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며 살아 간다. ⑤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기 위해 주체적으로 선택하고 결단 한다.

7052-0192 2 다음의 입장을 지닌 현대 서양 사상가가 지지할 주장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진리를 소유하는 것은 그 자체가 목적일 수 없고 중요한 다른 만족을 얻기 위한 수단입니다. 가령 산에서 길을 잃어버려 굶어 죽을 위험에 처한 경우 소가 다닌 길을 보고 그 길을 따라 가면 사람들이 살고 있으리라 생각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입니 다. 이 경우 참된 생각이 유용한 것은 그 생각의 대상인 집이 유 용하기 때문입니다. 그런즉 참된 관념이 실제적 가치를 지니게 되는 까닭은 다른 무엇보다 먼저 그 대상이 우리에게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ㄱ. 인간의 삶에 이로운 것이 곧 옳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ㄴ. 실제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다주는 관념이 진리이다. ㄷ. 지식은 인간이 처한 상황과 관계없이 그 자체로 가치를 갖 는다. ㄹ. 언제 어디서 누구든지 지켜야 할 절대적인 규범은 존재하지 않는다.

보기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7052-0193 3 다음은 고대 서양 사상가의 주장이다. ㉠에 들어갈 진술로 가 장 적절한 것은? [3점]

덕 있는 사람이 되려면 실천적 지혜와 함께 자제력이 필요하다. 자제력이 없는 사람은 자기의 행위가 나쁘다는 것을 알면서도 정념 때문에 그렇게 행동한다. 그러나 자제력이 있는 사람은 자 신의 욕구가 나쁘다는 것을 알게 되면 자신의 이성적 원칙 때문 에 그 욕구를 따르기를 거부한다. 그런데 어느 사상가는 선이 무엇인지 아는 사람은 어떤 경우에도 나쁜 행동을 하지 않는다 고 주장하였다. 누군가의 안에 지식이 자리 잡고 있는데 다른 무엇이 그것을 노예처럼 이리저리 끌고 다닌다면 그것은 참으 로 황당한 일이라는 것이다. 내가 보기에 이 사상가는 ㉠

① 모든 악행은 선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모르고 있다. ② 지식이 도덕적 행동을 보장한다는 것을 올바르게 파악하 고 있다. ③ 도덕과 이성이 불가분의 관련을 맺고 있다는 것을 부정하 고 있다. ④ 도덕적 행동을 하려면 정념을 제거해야 한다는 것을 잘 알 고 있다. ⑤ 도덕적 행동을 위해서는 실천 의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간 과하고 있다.

7052-0194 4 (가)의 갑, 을 사상가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표현할 때, A ~ C에 해당하는 진술로 옳은 것은? [3점]

(가)

갑: 자성(自性)은 단박에 깨치고 단박에 닦는 것이다. 법(法) 을 세워 점차 수행하지 않음은 어느 한 가지 법이라도 세 우면 더디게 되기 때문이다. 을: 단박에 깨치면 부처와 같지만 여러 생(生)의 습기(習氣) 가 깊구나. 깨친 뒤에도 덜고 덜어 무위(無爲)에 이르러 야 궁극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나)

윤사-모의0-1

A: 갑만의 입장 B: 갑, 을의 공통 입장 C: 을만의 입장 <범 례>갑 을갑 을

A A B B C C

① A: 마음 바깥에서 부처를 찾으려고 해서는 안 된다. ② B: 마음의 번뇌를 없애야 정(定)과 혜(慧)를 닦을 수 있다. ③ B: 완전한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서는 경전 공부가 필요하다. ④ C: 점수(漸修)를 위해 규범을 버리고 자연의 흐름을 따라 야 한다. ⑤ C: 부처의 마음인 선(禪)과 부처의 말씀인 교(敎)는 본래 하나다.

138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7052-0195 5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의 관점에만 모두 ‘3’를 표시한 학생은?

모든 사회적 가치들은 고유한 분배 영역을 구성한다. 각각의 분 배 영역에서는 오직 특정한 기준과 제도들만이 적절하다. 예를 들어 돈은 성직의 영역에서는 부적절하며, 만약 돈으로 성직을 살 수 있다면 이는 다른 영역에 대한 침해라고 할 수 있다. 돈은 시장의 영역에 한정되어야 한다. 이는 경건성이나 신앙심이 시 장에서 특별한 역할을 해서는 안 되는 것과 같다.

학생 관점 갑 을 병 정 무

모든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분 배의 기준을 정립해야 한다.

3 3 3

분배의 대상인 재화의 특수한 사회적 의 미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3 3 3

분배 영역의 독립성과 자율성이 존중되 는 다원주의 사회를 지향해야 한다.

3 3 3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보장되면 분배적 정의가 실현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3 3 3

① 갑 ② 을 ③ 병 ④ 정 ⑤ 무

7052-0196 6 다음은 중국 사상가들의 가상 대화이다. ㉠에 들어갈 진술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갑: 마음의 본체가 성(性)이며 성은 곧 이(理)입니다. 그러므로 부모에게 효도하는 마음이 있으면 곧 효의 이치가 있고 효 도하는 마음이 없으면 곧 효의 이치가 없습니다. 임금에게 충성하는 마음이 있으면 곧 충의 이치가 있고 충성하는 마 음이 없으면 충의 이치가 없습니다. 을: 마음은 본래 한 사람의 몸을 주재하는 것이지만 허령(虛靈) 한 그 체(體)는 천하의 이치를 모두 아우를 수 있습니다. 이 치는 비록 온갖 일들[萬事]에 산재(散在)해 있지만 미묘한 그 용(用)은 실로 한 사람의 마음 바깥에 있지 않습니다. 사 람이 추구해야 할 학문의 대상은 마음[心]과 이치[理]뿐입 니다. 갑: 제가 보기에 당신의 입장은 ㉠

① 도덕적 실천에 비해 이론적 탐구를 소홀히 할 수 있습니다. ② 도덕적 실천과 무관한 도덕적 지식이 있음을 부정할 수 있 습니다. ③ 마음이 성(性)과 정(情)의 주재자라는 사실을 무시할 수 있 습니다. ④ 마음과 이치를 분리시켜 지행(知行)의 괴리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⑤ 인격 완성과 관련하여 사물에 대한 지식의 축적을 경시할 수 있습니다.

[7~8] 갑, 을은 현대 서양 사상가들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갑: “나는 무엇을 해야만 하는가?”에 대한 답은 그것에 선행하는 물음인 “나는 어떤 이야기의 일부인가?”에 대답할 수 있을 때 찾을 수 있다. 내 삶의 이야기는 공동체의 이야기 속에 편 입되어 있다. 나는 하나의 특수한 사회적·역사적 정체성을 소유한 사람으로서 선을 탐구하고 덕을 실천해야 한다. 을: “나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은 나 혼자 논리 적으로 생각해 낼 수 없으며, 나의 행동을 정당화해 줄 일반 적이고 보편적인 어떤 원칙도 찾을 수 없다. 나는 배려의 관 계 속에 있는 상대방의 요구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가 인정 하는 방식으로 행동해야 한다.

7052-0197 7 갑, 을 사상가의 입장을 그림과 같이 탐구하고자 할 때, A ~ C에 들어갈 질문으로 적절한 것은? [3점]

갑, 을의 입장을 탐구한다.

아니요

갑의 입장 을의 입장

<범 례>

: 판단 내용 : 판단 방향 : 사상가의 입장 : 출발 조건

A

B

C

① A: 인간의 사회성보다 자율성과 독립성을 중시해야 하는가? ② A: 도덕 판단을 할 때 상황과 맥락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는가? ③ B: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도덕 법칙에 따라서 행위해야 하는가? ④ B: 남성과 여성의 도덕적 관심의 차이를 충분히 존중해야 하 는가? ⑤ C: 보편화 가능성을 지닌 도덕적 원칙의 정립을 추구해야 하 는가?

7052-0198 8 갑, 을 사상가가 다음의 입장에 대해 제시할 수 있는 적절한 견해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모든 이성적 존재자에게 있어서 도덕적 필연성은 강요이자 강 제이다. 그리고 거기에 근거한 모든 행위는 의무로 생각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덕 법칙은 모든 이성적 존재자의 의지에는 의무 의 법칙이자 도덕적 강요의 법칙이다.

ㄱ. 갑: 도덕적 선을 지향하는 성품의 중요성을 가볍게 여기고 있다. ㄴ. 을: 공감이나 동정심이 도덕의 중요한 요소임을 간과하고 있다. ㄷ. 갑, 을: 연대성이나 관계성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 ㄹ. 갑, 을: 도덕에 있어서 감정보다 이성이 더 중요함을 모르고 있다.

보기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실전 모의고사 3회 139

정답과 해설 44쪽

7052-0199 9 다음은 한국 사상가의 주장이다. ㉠, ㉡에 들어갈 진술이 바 르게 짝지어진 것은? [3점]

마른나무에는 마른나무의 기(氣)가 있고, 식은 재에는 식은 재의 기가 있다. 마른나무와 식은 재의 기는 산 나무와 살아 있는 불의 기가 아니지만, 마른나무와 식은 재의 이(理)는 산 나무와 살아 있는 불의 이이다. • 사람의 이(理)가 곧 사물의 이이니, 이것은 ㉠ , 사람 의 성(性)이 사물의 성이 아니니, 이것은 ㉡ . 모나고 둥근 그릇은 같지 않으나, 그릇 속의 물은 한가지요, 크고 작 은 병은 같지 않으나 병 속의 빈 공간은 한가지이다.

㉠ ㉡

① 이가 통하기 때문이요 기가 국한되기 때문이다

② 기가 국한되기 때문이요 이가 통하기 때문이다

③ 이가 작용이 있기 때문이요 기가 작용이 없기 때문이다

④ 기가 작용이 있기 때문이요 이가 작용이 없기 때문이다

⑤ 이가 발하는 것이기 때문이요 기가 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7052-0200 10 (가)를 주장한 중국 사상가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퍼즐 속 세로 낱말 (A)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가)

정치가 모자란 듯하면 백성이 순박해지고 정치가 영리하 면 백성이 순박함을 잃어버린다. •

큰 도(道)가 사라지자 인의(仁義)가 있게 되었고, 지혜가 나타나자 커다란 거짓이 있게 되었다.

(나)

(A)

(B)

[가로 열쇠] (A): 이황이 유학의 개요를 열 개의 그림으로 설명한 책 (B): ‘자신을 닦아 남을 편안하게 한다’는 유교의 기본 입장

[세로 열쇠] (A): …… 개념

ㄱ. 자연을 이론적으로 탐구하여 물아일체(物我一體)를 실현한다. ㄴ. 이상 사회를 이루기 위해 인의에 기반을 둔 정치를 펼친다. ㄷ. 백성들이 분별적 지식과 욕심을 버리고 마음을 비우게 해 준다. ㄹ. 무위(無爲)로써 모든 일을 처리하고 말 없는 가르침을 실천 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201 11 다음은 근대 서양 사상가의 주장이다. ㉠에 들어갈 진술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절박한 상황에 처했을 때 나는 지킬 생각이 전혀 없으면서도 거 짓 약속을 해도 되는가? 이 물음에 대한 답을 가장 빠르고 확실 하게 찾으려고 하면 나는 자신에게 이렇게 물어보면 된다. “ ㉠ ” 그러면 나는 다른 방 법을 통해서는 벗어날 수 없는 곤경에 처해 있는 사람은 누구나 거짓 약속을 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리하여 나 는 비록 내가 거짓말을 하는 것은 원할 수 있을지라도 거짓말을 하는 것을 보편적인 법칙으로 만드는 것은 결코 원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왜냐하면 그와 같은 법칙에 따르게 되면 약속이라는 것은 아예 성립조차 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① 나의 행위의 결과가 최대 다수에게 최대의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가? ② 나의 이성과 함께 감각적 경험을 가치 판단의 기준으로 삼 을 수 있는가? ③ 나의 준칙이 보편적인 법칙으로 통용되더라도 나는 만족 할 수 있겠는가? ④ 나의 행위의 원천을 인간의 자연적 경향성인 동정심으로 보아야 하는가? ⑤ 나를 비롯한 모든 사람은 언제나 오로지 목적으로만 대우 받아야 하는가?

7052-0202 12 그림의 강연자는 근대 서양 사상가이다. 이 사상가가 긍정 의 대답을 할 질문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사람의 기술은 자연 중에서도 가장 이성적이고 훌 륭한 창작품인 인간을 모방하기에 이르렀습니다. 바야흐로 사람들은 인조인간이라고 할 수 있는 위 대한 리바이어던을 만들어 낸 것입니다. 그들은 평 화와 자기 보존을 위해 시민법이라는 인공적인 구 속의 사슬도 만들었습니다. 그들은 상호 계약을 통 해 사슬의 한쪽 끝은 자신들이 통치 권력을 부여한 사람 혹은 집단의 입술에, 다른 한쪽 끝은 자신의 귀에 단단하게 고정시켜 놓았습니다.

ㄱ. 인간은 이기적이지만 합리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가? ㄴ. 국가는 구성원의 합의에 의해 만들어진 권력 기구인가? ㄷ. 평화를 위한 통치자의 권력은 신에게서 위임받은 것인가? ㄹ. 자연 상태의 혼란은 인간의 자기 보존 본능에서 비롯되는가?

보기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140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7052-0203 13 ㉠을 실천하는 적절한 자세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 른 것은?

ㄱ. 내가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 시키지 않는다. ㄴ. 모든 사람을 무조건적으로 똑같이 사랑한다. ㄷ. 이기심을 극복하고 보편적인 규범을 따른다. ㄹ. 사람을 대하거나 일을 할 때에 정성을 다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7052-0204 14 위의 밑줄 친 ㉡에 대해 갑, 을 사상가가 제시할 견해로 가 장 적절한 것은? [3점]

갑: 사람의 성(性)은 우리가 인위적으로 만들어 내는 것은 아니 지만 교화할 수는 있다. 길거리의 백성이라고 하더라도 선 을 쌓기를 온전하게 다하면 그를 성인(聖人)이라고 한다. 을: 사람의 성(性)은 선을 좋아하고 악을 부끄러워한다. 그렇기 때문에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고 하는 것을 보면 측은해 한다. 이 마음을 확충하면 인(仁)이 천하를 뒤덮게 된다.

ㄱ. 사양지심(辭讓之心)의 확충을 통해서 형성되는 덕이다. ㄴ. 인간의 성정(性情)을 교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규범이다. ㄷ. 인의(仁義)가 상실되자 나온 것으로 혼란의 주된 원인이다. ㄹ. 인간의 본성[性] 가운데 있는 이(理)의 명칭의 한 가지이다.

보기

① ④

갑 ㄱ ㄷ

을 ㄴ ㄹ

② ⑤

갑 ㄴ ㄹ

을 ㄱ ㄷ

갑 ㄷ

을 ㄱ

7052-0205 15 갑, 을은 서양 사상가들이다. 을이 갑에게 제기할 수 있는 적절한 반론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갑: 인간이 추구하는 최고선은 신에 대한 지적인 사랑을 통해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신에 대한 지적인 사랑은 우리가 어떤 사물을 신의 본성의 필연성에 따라서 생겨나는 것으로 인식 할 때 생겨난다. 을: 인간이 추구하는 최고선은 인간이 신과 접촉하고 인간을 위 한 신의 계획을 완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인간 자신의 완전 성이다. 완전한 행복은 자연적 덕을 갖추고 믿음, 소망, 사 랑을 실천해야 누릴 수 있다.

ㄱ. 인간이 신 또는 자연의 유한한 양태임을 모르고 있다. ㄴ. 신이 세상 만물을 창조한 인격적 존재임을 모르고 있다. ㄷ. 완전한 행복을 위해서는 종교적 덕이 필요함을 모르고 있다. ㄹ. 인간이 자유 의지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존재임을 모르고 있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7052-0206 16 사회사상 (가)에 비해 사회사상 (나)가 갖는 상대적 특징을 그림의 ㉠ ~ ㉤ 중에서 고른 것은? [3점]

(가) 시장에 나오는 상품량은 자연스럽게 유효 수요에 적응한 다. 공급량이 유효 수요를 초과할 때에는 낮은 수준의 가격 이, 반대의 경우일 때에는 높은 수준의 가격이 형성된다. 이렇게 가격은 끊임없이 ‘보이지 않는 손’이 이끄는 자연 가 격으로 향해 간다. (나) 소비 성향의 하락과 투자 성향의 저하는 유효 수요의 부족 현상을 가져온다. 정부는 조세 체계나 이자율 조정을 통해 소비 수요를 확대하고, 공공 정책을 통해 정부 투자를 확대 해야 한다. 이로써 민간의 부족한 유효 수요를 보충해 줄 수 있다.

•X: 시장의 자율적 기능을 신뢰하 는 정도 •Y: 정부의 적극적 역할을 중시하는 정도 •Z: 국가로부터의 자유를 중시하는 정도

높음

높음

낮음

높음

㉡ ㉢

㉤㉣

X

Y

Z

① ㉠ ② ㉡ ③ ㉢ ④ ㉣ ⑤ ㉤

[13~14] 다음은 고대 중국 사상가의 주장이다. 물음에 답하 시오.

• 어진 사람은 자신이 서고자 할 때 남이 서게 해 주며, 자신이 이루고자 할 때 남이 이루게 해 준다. 가까이 자기 마음을 취 하여 살펴 남을 이해할 수 있다면 ( ㉠ )을/를 실천하는 길 이라고 할 수 있다. • 공손하되 ㉡ 예(禮)가 없으면 수고스러울 뿐이고 신중하되 예 가 없으면 두려워하게 되고 용맹하되 예가 없으면 어지럽게 되고 강직하되 예가 없으면 상처를 입히게 된다. • 사람이면서 어질지 않다면[不仁] 예는 해서 무엇 하며, 사람 이면서 어질지 않다면 악(樂)은 해서 무엇 하겠는가!

실전 모의고사 3회 141

정답과 해설 44쪽

7052-0207 17 근대 서양 사상가 갑이 고대 서양 사상가 을에게 제기할 수 있는 반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갑: 모든 인간은 계약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하나의 정부하에 있기로 동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은 다수의 결정에 승복하고 구속될 의무를 부여받게 된다. 을: 모든 인간은 본성적으로 정치 공동체를 구성하는 동물이다. 국가가 없이 생존할 수 있는 자는 인간 이하이거나 인간 이 상이다. 자급자족하여 국가 공동체의 필요를 느끼지 못하는 자는 들짐승이거나 신(神)인 것이다.

① 국가는 본질적으로 인간 본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다는 점을 모르고 있다. ② 국가 권위의 근거가 각종 제도나 법률과 같은 관행의 혜택 에 있다는 것을 모르고 있다. ③ 국가의 핵심 역할이 국방, 도로, 공원 등과 같은 공공재를 제공하는 것임을 모르고 있다. ④ 국가가 국민에게 부과하는 정치적 의무를 이행하는 것은 인간으로서 당연한 일임을 모르고 있다. ⑤ 국가는 개인들의 자발적인 합의에 의해 구성되며, 이에 근 거해서 정치적 의무가 발생함을 모르고 있다.

7052-0208 18 (가)를 주장한 고대 중국 사상가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에 들어갈 진술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왕도를 실현한 자[王者]의 백성들은 깨끗하고 소박하다. 죽 여도 원망하지 않고 이롭게 해 주어도 신경을 쓰지 않는다. 날마다 선해지더라도 누가 그렇게 해 주는지를 모른다. 군자 가 지나가는 곳은 교화되고 머물러 있는 곳은 신묘해져서 윗 사람과 아랫사람이 천지와 더불어 흐른다.

(나)

통치자는 백성의 생업(生業)을 관장할 때 반드시 부모와 처 자식을 부양하기에 부족함이 없게 해 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

① 백성의 물질적 이익을 증진시키는 것이 곧 의(義)이기 때 문이다. ② 백성은 항산(恒産)이 없으면 항심(恒心)을 지니기 어렵기 때문이다. ③ 백성을 다스리는 궁극적인 목적은 후생(厚生)의 실현이기 때문이다. ④ 백성은 생업을 보장받아야 본성[性]의 변화를 추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⑤ 백성의 생업이 보장되어야 무위지치(無爲之治)가 가능해 지기 때문이다.

7052-0209 19 사회사상 (가)의 입장에서 사회사상 (나)의 입장에 대해 제 기할 수 있는 반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생산 수단을 소유한 소수에게 의존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사람들을 해방시켜야 한다. 생산은 완전 고용, 사회 보장 등을 위해 계획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회주의적 계획화는 모든 생산 수단의 공유화를 전제하지 않는다. (나) 생산 수단을 소유한 소수가 임금 노동으로 살아가는 다수 를 착취하는 부르주아 사회는 전복되지 않을 수 없다. 착취 로 인해 비참한 처지로 내몰린 프롤레타리아가 단결하여 혁명을 통해 낡은 생산관계를 청산하게 된다.

① 이상 사회는 혁명을 통해 필연적으로 도래하는 것이 아님을 모르고 있다. ② 인간의 기본적 필요는 재화 분배의 기준이 될 수 없음을 모르고 있다. ③ 역사 발전의 최종 단계에서는 계급이 존재하지 않게 됨을 모르고 있다. ④ 국가에 의한 경제 관리는 어떤 상황에서도 인정될 수 없음 을 모르고 있다. ⑤ 의회 중심의 점진적 개혁으로는 사회주의가 달성되지 않 음을 모르고 있다.

7052-0210 20 그림은 서술형 평가 문제와 학생 답안이다. ㉠ ~ ㉤ 중 옳 지 않은 것은?

서술형 평가 ◎ 문제: 서양 사상가 갑, 을의 입장을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갑: 쾌락은 행복한 삶의 시작이자 끝이다. 이때의 쾌락은 방탕한 자들의 쾌락이나 육체적인 쾌락이 아니라 몸 의 고통과 마음의 혼란으로부터의 자유를 가리킨다. 을: 쾌락의 양과 질 모두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다른 것 들을 평가할 때에는 양 외에 질도 고려하면서 쾌락을 평가할 때에는 양에만 의존하라는 것은 불합리하다.

◎ 학생 답안

갑은 ㉠ 쾌락은 유일한 선이고 고통은 유일한 악이라고 주장 하였으며, ㉡ 쾌락을 얻기 위해서는 검소하고 절제하는 생활 자세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비해 을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도덕의 기본 원리로 보았으며, ㉣ 쾌락은 한 종 류뿐이고 양적인 계산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갑, 을은 모두 ㉤ 고상한 정신적 쾌락이 육체적 쾌락보다 더 가치 있다고 보았다.

① ㉠ ② ㉡ ③ ㉢ ④ ㉣ ⑤ ㉤

142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제한시간 30분 | 배점 50점

문항에 따라 배점이 다르니, 각 물음의 끝에 표시된 배점을 참고 하시오. 3점 문항에만 점수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점수 표시가 없 는 문항은 모두 2점입니다.

정답과 해설 48쪽

실전 모의고사 4회

7052-0211 1 갑, 을 사상가의 인간관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갑: 스승의 교화와 예의의 법도가 없이 타고난 성정(性情)대로 하면 반드시 서로 싸우고 빼앗아 사회 질서를 파괴하고 세 상을 혼란에 빠뜨릴 것이다. 을: 사회 상태 이전에는 항상 모든 사람에 대한 모든 사람의 전 쟁이 존재한다. 즉 인간이 그들 모두를 두렵게 하는 공통의 힘이 없이 사는 때에는 만인의 만인에 대한 전쟁인 것이다.

ㄱ. 갑은 인간은 본질적으로 이기적 존재라고 본다. ㄴ. 을은 자연 상태의 인간은 혼란 속에 산다고 본다. ㄷ. 갑은 을과 달리 인간에게 사회 질서를 만들어 내는 능력이 있다고 본다. ㄹ. 을은 갑과 달리 강제적 규범을 통해서만 선행을 할 수 있다 고 본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212 2 고대 동양 사상 (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가) 성인(聖人)은 그 몸을 뒤로 함으로써 도리어 그 몸이 앞서 게 되며, 그 몸을 잊음으로써 도리어 그 몸을 보존한다. 성 인은 사사로움이 없기 때문에 그 사사로움을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나) 성인은 신선의 수명을 얻었기에 속인들에 앞서 복을 얻게 되니 이것이 바로 몸이 앞서는 것이며, 그 몸을 잊음으로써 도리어 그 몸을 보존한다. 장생의 도(道)를 알지 못하면 죽 을 것이니 도를 행하지 않으면 모두 죽을 것이다. 도를 행 하는 사람은 신선의 수명을 얻기에 일반인과 달리 죽음으 로 가지 않는다.

① (가)는 인의(仁義)는 상덕(上德)이 아니라고 본다. ② (가)는 인위적 다스림이 없는 정치[無爲之治]를 좋은 정치라 고 본다. ③ (나)는 죄를 짓지 않겠다고 신에게 맹세할 것을 강조한다. ④ (나)는 신선(神仙)이 되는 것이 수련의 최고 목표라고 본다. ⑤ (나)는 (가)를 계승하여 인의(仁義)를 부정한다.

7052-0213 3 갑, 을 사상가가 공통으로 지지할 견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① 이성을 신뢰할 때 지식과 가치의 실천적 유용성을 발휘할 수 있다. ② 모든 사람이 공통으로 가진 본질이 아니라 각자의 주체성 이 중요하다. ③ 실존적 상황은 보편적인 법칙이나 원리에 따라 주체적으 로 해결해야 한다. ④ 어머니와 자녀 사이의 관계에서 발견되는 배려를 윤리적 배려로 확장해야 한다. ⑤ 도덕적으로 모범이 될 만한 인격 모델을 본받음으로써 도 덕적 행위를 할 수 있다.

7052-0214 4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가 갑 사상가에게 제기할 수 있는 비판 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자유로운 사람은 전혀 죽음을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고 자유로 운 사람은 죽음에 대한 명상이 아니라 삶에 대한 명상을 한다. 다시 말하면 이성만의 명령에 따라 사는 사람은 죽음에 대한 두 려움에 의해서 인도되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으로 선(善)을 욕망 한다. 자연 안에는 어떤 것도 우연한 것은 없으며, 모든 것은 신 적 본성의 필연성에 의해 어떤 방식으로 존재하고 작용하게끔 결정되어 있다. 정신의 최고의 덕은 신을 인식하는 것이다.

① 주체성이 진리이며 진리는 개별적이고 주관적인 것이다. ② 신을 인식하는 것은 자연의 필연적 법칙을 인식한다는 것이다. ③ 윤리 규범만으로는 실존을 자각하고 인생을 올바르게 살 아갈 수 없다. ④ 신의 사랑 안에서 신의 명령에 따라 살아갈 때 참된 자신 이 될 수 있다. ⑤ 인간은 신에 의지하지 않고 자유 의지를 통해 모든 것을 선택하고 그에 대해 전적인 책임을 져야 하는 존재이다.

[3~4] 갑, 을은 서양 사상가들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갑: 아브라함이 한 일을 윤리적으로 표현한다면 이삭을 죽이려 고 한 것이고, 종교적으로 표현한다면 이삭을 바치려고 한 것이다. 그런데 바로 이 모순 속에 사람들이 잠을 이루지 못 하게 하는 불안이 있는 것이다. 불안을 극복하고 참된 실존 을 회복하기 위해서 ‘신 앞에 선 단독자’로서 생각하고 행동 해야 하는 것이다. 을: 인간은 처음에 아무것도 아닌 존재이며 나중에야 비로소 그 는 무엇이 될 수 있으며, 스스로 되고자 하는 존재를 만들어 가게 될 것이다. 이처럼 인간의 본성이란 본래부터 있는 것 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을 인식할 신이 없기 때문이다.

실전 모의고사 4회 143

정답과 해설 48쪽

7052-0215 5 근대 한국 사상가 갑, 을의 공통된 입장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갑: 우습다. 저들은 자신의 부모 죽은 후에 신(神)도 없다 하고 제사도 안 지내며, 오륜(五倫)에서 벗어나서 오직 빨리 죽을 것을 원한다. 마음을 지키고 기운을 바르게 하고 한울님 성 품을 거느리면 자연스럽게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을: 지금 국론이 둘로 나뉘어 다투고 있는 바, 양적(洋賊)을 공 격하자는 것은 우리 쪽 사람의 주장이고, 양적과 화친하자 는 것은 저쪽 사람의 주장이다. 전자를 따르면 나라 안에 예 법과 풍속을 보존할 수 있지만, 후자를 따르면 인류가 금수 의 지경으로 빠지게 될 것이다.

ㄱ. 서학(西學)은 인륜을 해치는 주장을 하고 있다. ㄴ. 전통 사상을 기반으로 할 때 국난 극복이 가능하다. ㄷ. 신분 차별이 철폐된 평등한 새로운 세상이 올 것이다. ㄹ. 유교 질서의 고수와 서양 기술의 수용은 양립할 수 있다.

보기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ㄱ,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7052-0216 6 고대 서양 사상가 갑, 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갑: 세계는 지성을 통해 알 수 있는 범주와 가시적인 범주가 있 다. 보이는 범주에는 모방물, 실물 또는 인공적인 물체들이 있다. 지성을 통해 인식되는 것들의 한쪽에는 수학 또는 기 하학적인 것들이 있고, 다른 한쪽에는 감각적인 것은 전혀 해당되지 않는 모든 것의 근원으로서의 이데아 자체만의 영 역이 있다. 을: 실제로 존재하는 것과 그것이 실재하는 바로 그것이 되도록 하는 것, 즉 이데아가 어떻게 실제 존재하는 사물과 분리되 어 존재할 수 있겠는가. 이상적인 실재에 대한 앎보다 인간 에 의해 성취 가능한 좋음[善]에 대한 앎이 중요하다.

① 갑은 이데아를 이데아이게 하는 최고의 이데아가 있다고 보았다. ② 갑은 이데아를 인식할 수 있는 자가 통치자가 되어야 한다 고 보았다. ③ 을은 인간 행위의 궁극적 목적인 최고선을 행복이라고 보 았다. ④ 을은 선(善)의 이데아를 가장 유사하게 모방해야 최고의 선을 실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⑤ 갑, 을은 모두 철학자의 지혜를 갖추는 것을 최고의 행복이 라고 보았다.

7052-0217 7 (가)의 갑, 을 사상가들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탐구하고자 할 때, A 〜 C에 들어갈 옳은 질문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가)

갑: ‘공정으로서의 정의’에 의해 보장된 권리는 어떤 거래나 사회적 이득의 계산에 좌우되지 않는다. 부정의는 그보 다 큰 부정의를 피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만 참을 수 있 는 것이다. 을: 일부 시민들로 하여금 다른 시민들을 돕게 할 목적으로, 또는 국가가 시민들 자신의 선과 보호를 위해 특정 행위 를 금지할 의도로 행해지는 정책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

(나)

<범 례>

: 판단 내용 : 판단 방향 : 사상가의 입장 : 출발 조건

갑, 을의 입장을 탐구한다.

아니요

을의 입장갑의 입장

예예

B

A

C

ㄱ. A: 다수의 이익을 위해 개인의 기본적 자유가 제한되어야 하는가? ㄴ. A: 부의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국가의 재분배 정책을 긍 정하는가? ㄷ. B: 서로 다른 영역의 가치는 서로 다른 기준에 의해 분배가 이루어져야 하는가? ㄹ. C: 정의로운 사회에 경제적 불평등이 있을 수 있는가?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218 8 다음을 주장한 동양 사상가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사랑이 흘러나오는 것은 차근차근 이루어지는 것이다. 사랑이 끊이지 않는 것은 그 발단처가 있어야 가능하다. 나무에 비유하 면 씨가 발단처가 된다. 그런 연후에 가지와 잎사귀가 있는 것 이다. 부자(父子)와 형제간의 사랑이 사람 마음의 발단처다.

ㄱ. 가정에서의 사랑과 사회관계의 사랑의 근원은 다른가? ㄴ. 나의 집과 남의 집을 구별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감정인가? ㄷ. 사회 혼란의 원인은 사람들이 서로 사랑하지 않기 때문인가? ㄹ. 사랑은 부모, 이웃, 국가로 순차적으로 확대되어야 하는가?

보기

① ㄱ, ㄴ ② ㄷ,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144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7052-0219 9 다음 현대 서양 사상가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사람이 지성적이란 말은 고정된 원리에 관한 제1의 확정적이 고 논증적인 진리를 파악하는 이성을 갖기 위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평가에 따라 행동하는 능력을 갖는 것이다. •

이전에 아무리 선했던 사람이라도 타락하기 시작하는 사람, 즉 이전보다 덜 선하게 되는 사람은 나쁜 사람이다. 선한 사 람이란 이전에는 도덕적으로 별 볼 일 없는 사람이었을지라 도 이것과는 무관하게 더욱 나아지고자 하는 사람이다. 성장 그 자체가 유일한 목적이다.

① 도덕은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화되지 않는 것이라고 본다. ② 인간은 죽음에 대한 자각을 통해 실존을 성찰하게 된다고 본다. ③ 지식은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될 때 가치를 갖는다 고 본다. ④ 어머니가 자녀를 보살피듯이 배려의 범위를 자연까지 확 대해야 한다고 본다. ⑤ 도덕적으로 모범이 될 만한 이상적 인격 모델을 통해 우리 는 도덕적 인간이 될 수 있다고 본다.

7052-0220 10 고대 서양 사상가 갑, 을 모두가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 로 옳은 것은?

갑: 신들과 더불어 산다는 것, 신과 함께 산다는 것은 언제나 운 명에 만족하고, 자연이 주신 몫을 행하며 신이 이끄는 대로 살고 있음을 항상 보여 주는 것이다. 이 신의 섭리가 각자의 보호자이니, 그것은 바로 영혼과 이성이다. 을: 가장 적은 것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가장 사치스러운 큰 기쁨 을 느낀다. 모든 자연적인 것은 얻기 쉽지만, 모든 공허한 것 은 얻기 어렵다. 결핍에 따른 고통이 제거된다면, 물과 빵처 럼 단순한 음식도 사치스러운 음식처럼 쾌락을 줄 수 있다.

① 쾌락이 넘치는 삶이 바람직한 삶인가? ② 마음의 평온을 위해 욕망을 절제해야 하는가? ③ 신이 정한 운명에 순응하는 것이 윤리적 삶인가? ④ 모든 욕구는 고통을 유발하므로 억제되어야 하는가? ⑤ 결과의 좋음보다 의무에 따르는 행위를 해야 하는가?

7052-0221 11 사회사상 (가), (나)의 입장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가) 개성의 자유로운 발달은 인간 행복의 중요한 요소이며 문 명, 지식, 교육의 필수 조건이다. 자신의 신체와 정신에 대 해서는 개인 각자가 주권자인 것이며, 공동체는 자아 정체 성 형성의 수단일 뿐이다. (나) 개인의 정체성은 자신의 선택이 아니라 공동체적 관계와 가치에 뿌리를 둔다. 공동체에 의해 자신이 규정되기에 자 신을 이해하기 위해 공동체의 성격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는 것이다.

ㄱ. (가)는 공동체가 추구하는 가치가 개인의 자유보다 중요하 고 본다. ㄴ. (가)는 개인에게 가족이나 신 등의 억압에서 벗어날 권리가 있다고 본다. ㄷ. (나)는 공동체를 개인의 권리 보장을 위한 수단으로 본다. ㄹ. (나)는 개인이 공동선을 실현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본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222 12 고대 동양 사상가 갑, 을, 병이 서로에게 제기할 반론으로 옳은 것은? [3점]

갑: 인(仁)이 나에게 말미암는 것이지, 남에게 말미암는 것이겠 는가. 덕(德)으로 다스리는 것은 마치 북극성이 제자리에 있 고 여러 별들이 이를 떠받들어 돌고 있는 것과 같다. 을: 사람이 태어난 그대로라면 예의(禮義)도 없으며, 예의를 알 지도 못한다. 그래서 성왕이 예의를 제정하여 분계(分界)를 짓고 사람의 욕망을 정도에 맞게 길러 잘 다스려지는 데로 나아가게 한 것이다. 병: 천하를 있는 그대로 놓아둔다는 말은 들었어도 천하를 다스 릴 수 있다는 말은 들어 보지 못했다. 있는 그대로 놓아두는 것은 천하가 그 성(性)을 망치거나 그 덕을 바꿀까 두려워서 이다.

~이 ~에게 반론

① 갑 을 문명 질서가 자연 세계보다 바람직하다.

② 갑 병 이기적 본성을 교화하는 규범이 필요하다.

③ 을 갑 예의가 없으면 세상이 혼란해진다.

④ 을 병

편견에서 벗어나 만물을 평등하게 바라보아 야 한다.

⑤ 병 갑, 을 인위적 규범으로는 사회 안정을 이룰 수 없다.

실전 모의고사 4회 145

정답과 해설 48쪽

7052-0223

13 갑, 을의 주장으로 옳은 것은?

① 갑: 공리의 원리는 개별적 행위가 아니라 행위의 규칙에 적용 하는 것이다. ② 갑: 행위의 궁극 목적은 양과 질이라는 두 측면 모두에서 쾌 락을 충분히 향유하는 것이다. ③ 을: 절대적인 것처럼 보이는 도덕 원칙도 상식과 직관에 따라 유보될 수 있다. ④ 을: 도덕과 행복은 양립할 수도 있지만, 도덕이 행복의 수단 이 되어서는 안 된다. ⑤ 갑, 을: 도덕적 행위는 조건부적 명령이 아니라 무조건적인 명령을 따르는 것이다.

7052-0224 14 다음을 주장한 서양 사상가가 을에게 제기할 수 있는 비판 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정의 윤리가 모든 사람이 동등하게 대우받아야 한다는 평등의 전제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 배려 윤리는 어떤 사람도 해를 입 어서는 안 된다는 비폭력의 전제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한 행위자가 도덕적 성숙에 이르기 위해서는, 불평등한 관계에서 당사자 모두가 그 관계의 불평등성으로 인해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는 것과, 어떤 관계에 폭력이 개재될 때에 그 폭력은 관련 된 모두에게 파괴적일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① 개인적 정감을 버리고 합리성에 기초하여 도덕 문제를 해결 해야 한다. ② 개개인을 원칙에 따라 공정하게 대우하기 위해 동정심을 배 제해야 한다. ③ 개인의 존엄성과 권리의 보장만으로 도덕 공동체가 이루어지 는 것이 아니다. ④ 모든 관련된 당사자들의 행복을 공평하게 고려하여 개인과 사회의 행복을 조화시켜야 한다. ⑤ 다른 이유 때문이 아니라 그것이 옳다는 이유만으로 마땅히 해야 할 의무에 따르는 것만이 도덕적 행위이다.

7052-0225 15 다음을 주장하는 사상가의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1. ㉠ 은/는 정의의 제1원칙인 평등한 자유의 원칙에 대 한 심각한 위반이나, 제2원칙의 두 번째 부분인 공정한 기회 균등의 원칙에 대한 현저한 위배에 국한된다. 2. ㉠ 은/는 정상적인 정치적 호소가 이미 진지하게 이 루어졌는데도 불구하고, 실패했을 경우에 시도될 수 있는 최 종적인 대책이어야 한다. 3. ㉠ 은/는 체제를 파멸로 이끌어 불행한 결과를 초래 해서는 안 된다.

① 시민 공통의 정의관에 호소하는 것이어야 한다. ② 정의로운 사회 속에 안정을 가져다주는 역할을 한다. ③ 부정의에 항거하여 발생하는 처벌을 감수하는 것이다. ④ 공공적이면서도 법률에 반하는 비협조적 정치 행위이다. ⑤ 보다 큰 폭력을 방지하기 위한 폭력을 정당한 수단으로 인 정하는 것이다.

[13~14] 그림은 근대 서양 사상가 갑, 을의 가상 대화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한 행위가 가져다주는 쾌락의 총 량과 고통의 총량을 계산해 보십 시오. 이 둘을 비교하여 차감했을 때 쾌락 쪽이 남는다면 그 행위는 관련자 전체 또는 개인들이 모인 사회와 관련해서 좋은 성향을 지 닌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행복의 원리와 도덕의 원리를 구 분하는 것은 둘 사이의 대립을 의 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순수한 실 천 이성은 우리가 행복에 대한 요 구를 포기할 것을 의욕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의무가 문제시될 때 행복을 전혀 고려하지 말아야 한 다는 것입니다.

갑 을

7052-0226 16 그림은 서술형 평가 문제와 학생 답안이다. 학생 답안의 ㉠ ~ ㉤ 중 옳지 않은 것은?

◎ 학생 답안 경제 체제에 있어서, ㉠ 갑은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를 전제한 경제 체제를 강조하고, ㉡ 을은 생산 수단의 공동 소유를 전제 한 경제 체제를 강조하고 있다. 자원 분배에 있어서, ㉢ 갑은 시장에 대한 국가 개입의 최소화를 주장하고, ㉣ 을은 각자의 필요에 따른 분배를 실현하기 위해 계획 경제 체제를 주장한 다. 한편, ㉤ 갑, 을은 사회 구성원들의 경제적 격차 해소를 위 해 복지 정책 강화를 주장하고 있다.

서술형 평가 ◎ 문제: 사회사상가 갑, 을의 특징을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갑: 개인은 정의의 법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신 의 방식으로 이익을 추구하고, 자신의 노동과 자본을 가지고 다른 어떤 사람 또는 다른 어떤 계급의 노동 이나 자본과 완전히 자유롭게 경쟁하도록 방임되어야 한다. 을: 부르주아가 싫든 좋든 촉진시키지 않을 수 없는 공업 의 진보는 경쟁에 의한 노동자들의 고립 대신에 연합 에 의한 그들의 혁명적 단결을 가져온다. 부르주아는 다른 무엇보다도 자신의 무덤을 파는 일꾼을 생산하 는 셈이다.

① ㉠ ② ㉡ ③ ㉢ ④ ㉣ ⑤ ㉤

146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7052-0227

17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① 갑은 마음이 도덕 판단의 최종 준거라고 본다. ② 을은 선행은 이가 발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이라고 본다. ③ 갑은 을과 달리 도덕성 구현에 지식 확충은 필요없다고 본다. ④ 을은 갑과 달리 기는 이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라고 본다. ⑤ 갑, 을은 기의 불완전성으로 인해 도덕적 불완전함이 생긴 다고 본다.

7052-0228 18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가 갑, 을 모두에게 공통으로 제기할 수 있는 적절한 반론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기질(氣質)의 성(性)은 요순(堯舜)이 맑고 밝은 것을 받아 성현 이 된 것이 아니며, 걸주(桀紂)가 탁하고 더러운 것을 받아 악인 이 된 것이 아니다. 기질 때문에 선악이 나누어진다면 요순은 저절로 선한 것이고 걸주는 저절로 악한 것이다. 선은 주체적 선택과 실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ㄱ. 사람만이 기호(嗜好)로서의 성을 지니고 있다. ㄴ. 성이 없으면 사람은 그 어떤 선도 행할 수 없다. ㄷ. 기질의 맑고 밝은 것을 선의 근원이라고 할 수 없다. ㄹ. 덕(德)은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후천적 행위의 결과이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229 19 다음을 주장한 중세 서양 사상가의 입장을 <보기>에서 고 른 것은? [3점]

영원한 법은 모든 것을 주관하는 신의 지혜이다. 그리고 인간이 이성을 통해 이 영원한 법에 참여하는 것을 자연법이라고 한다. 인간이 자연적 성향을 갖는다는 말은 자연법에 귀속된다는 뜻 이다. 따라서 인간이 이성에 따라 행동하려는 성향을 갖는 것은 올바르다.

ㄱ. 신학적 체계를 완성하는 데 철학을 활용할 수 있다. ㄴ. 신과 자연은 이성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불변의 실체이다. ㄷ. 생명, 생식, 지식, 사회성은 인간의 본성에 내재하는 가치이다. ㄹ. 직업 노동을 통해 부를 축적한 것은 신의 소명에 응한 것 이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7052-0230 20 (가) 사상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퍼즐 속 세로 낱말 (A)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모든 정신적, 물질적 현상은 무상(無常)하다. 모든 정신적, 물 질적 현상은 고(苦)이다. 모든 사물은 고정된 자아가 없다. 지 혜를 통해 이것을 깨달을 때 그는 고에 흔들리지 않게 된다.

(나)

(A)

(B)

[가로 열쇠] (A): 예배의 대상인 부처를 시각적인 조형 매체로 표현한 조 각상 (B): 범할 수 없이 높고 엄숙한 성질.  인간 의 이념 은 다양한 윤리 이론에서 발견된다.

[세로 열쇠] (A): …… 개념

① 인의예지로 표현되는 도덕적인 본성이다. ② 자신의 욕망을 충족하고자 하는 선천적인 성향이다. ③ 감정과 욕구의 영향을 받아 악으로 흐를 수 있는 품성이다. ④ 신분과 계층을 넘어 누구나 지니고 있는 깨달음의 본성이다. ⑤ 달이 차면 기울듯 처음의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자연적인 성향이다.

[17~18] 갑은 중국 사상가, 을은 한국 사상가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갑: 이(理) 없는 기(氣)는 없고, 기 없는 이도 없다. 기로써 형체 가 이루어지면 이 또한 거기에 품부된다. 사람의 성(性)에 대해서는 밝고 어두움을 논하고, 사물의 성에 대해서는 치 우치고 막힌 것을 논하는 것이다. 을: 이가 아니면 기는 뿌리를 내릴 곳이 없고 기가 아니면 이는 의지할 데가 없다. 발(發)하는 것은 기이며, 발하는 소이(所 以)는 이이다. 이는 무위(無爲)이고 기는 유위(有爲)이다. 사 물은 치우치거나 막혀 변화될 수 없으나, 사람은 기가 탁할 지라도 묻고 배우는 데 힘쓰면 명석해질 수 있다.

실전 모의고사 4회 147

제한시간 30분 | 배점 50점

문항에 따라 배점이 다르니, 각 물음의 끝에 표시된 배점을 참고 하시오. 3점 문항에만 점수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점수 표시가 없 는 문항은 모두 2점입니다.

정답과 해설 52쪽

실전 모의고사 5회

7052-0231 1 다음 사상에서 강조하는 삶의 태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출가자는 쾌락과 고통의 양극단에 치우쳐서는 안 된다. 욕망과 쾌락에 사로잡히는 것은 열등한 것이며, 비천한 것이며, 속된 것이며, 성스러운 것이 아니며,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 그리 고 스스로 고행을 실천하는 것은 고통이며, 성스러운 것이 아니 며,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 이들 두 가지 극단에 다가가지 않 는 중도(中道)는 적정(寂靜)을 향해, 뛰어난 지혜를 향해, 정각 (正覺)을 향해, 열반을 향해 작용한다.

① 세속에서 벗어나 예술적 사유를 중시한다. ② 세상 만물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중시한다. ③ 마음을 비우고 고정불변한 자아를 확립한다. ④ 고통과 쾌락에 치우치지 않는 수행에 힘쓴다. ⑤ 깨달음을 얻기 위해 무위와 무욕을 생활화한다.

[3~4] 갑, 을은 조선 시대 사상가들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갑: 사단의 정(情)은 이(理)가 발함에 기(氣)가 따르는 것으로 본 래 순선하며 선하지 않음이 없다. 반드시 이가 발하여 그대 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기에 가리어진 뒤에야 흘러서 불선 (不善)이 되는 것이다. 칠정은 기가 발함에 이가 탄 것으로 이 역시 선하지 않음이 없다. 만약 기가 발하여 절도에 맞지 않아서 이를 멸하게 되면 방종하여 악이 된다. 을: 이기가 서로 떨어질 수 없다면 그 발용(發用)은 하나이며, 서로 발용한다고 할 수 없다. 이기가 서로 떨어질 수 있다면 이가 발용할 때 기가 미치지 못할 수 있으며, 기가 발용할 때 이가 미치지 못할 수 있을 것이다. 상호 발용이 있으면 이와 기는 떨어졌다 합치했다 할 것이며, 선후가 있을 것이 며, 동정에 단초가 있을 것이며, 음양에 시작이 있을 것이니 그 착오가 적지 않을 것이다.

7052-0232 2 을이 갑에게 제기할 적절한 비판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갑: 인간은 만물의 척도로서 그러한 것에 대해서는 그러하다는 것의, 그렇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의 척도 이다. 을: 덕 있는 사람이 되려면 먼저 덕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아 야 한다. 예를 들어 용기가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은 용기 있 는 사람이 되기 어렵다.

ㄱ. 도덕에 대한 다양한 판단 기준을 존중해야 한다. ㄴ. 모든 사람들에게 보편타당한 가치를 찾아야 한다. ㄷ. 세속적 가치보다 정신적 가치를 우선시해야 한다. ㄹ. 도덕이란 언제 어디서나 같은 것임을 알아야 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7052-0233 3 을에 비해 갑이 강조하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사단은 선한 감정이며, 칠정은 악한 감정이다. ② 사단과 칠정은 같은 정(情)으로 그 연원이 같다. ③ 사단은 칠정의 선한 측면을 달리 부르는 이름이다. ④ 마음의 작용에서 사단과 칠정이 구분되기는 어렵다. ⑤ 사단은 본연지성, 칠정은 기질지성이 발현된 정이다.

7052-0234 4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에서 위의 갑, 을 모두에게 제기 할 반론으로 옳은 것은? [3점]

인(仁)은 두 사람[二人]이다. 부모를 효도로써 섬김이 인인데 아 들과 아비 두 사람이다. 임금을 충성으로 섬김이 충인데, 임금 과 신하 두 사람이다. 백성을 자애로움으로 기름이 자(慈)인데 목(牧)과 민(民) 두 사람이다. 사람과 사람이 그 본분을 다하여 인을 얻기 때문에 “힘써 서(恕)를 행하는 것이 인을 구하는 가장 가까운 길이다.”라고 하였다. 마음속의 이치[理]가 어찌 인이 되 겠는가?

① 인간의 마음에는 하늘의 이치가 담겨 있다. ② 인간과 자연의 경계를 구분해서는 안 된다. ③ 인간과 동물, 식물의 본성에는 차이가 없다. ④ 인간의 성에는 선을 좋아하는 경향성이 있다. ⑤ 인간의 욕구를 긍정적으로 파악하면 안 된다.

148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7052-0235 5 (가)의 갑, 을 사상가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표현할 때, A ~ C에 들어갈 진술로 옳은 것은? [3점]

(가)

갑: 사람의 본성은 태어나면서부터 이익을 좋아하며, 이를 좇으므로 쟁탈이 생겨서 사양함이 없다. 나면서부터 질 투하고 미워하며, 이를 그대로 좇으므로 진실과 믿음이 없다. 사람의 성과 정을 좇으면 반드시 쟁탈이 일어나 이 치를 어지럽혀 폭동이 일어난다. 사람의 본성이 선해지 는 것은 후천적 인위 때문이다. 을: 성인(聖人)은 백성을 다스림에 있어 백성의 근본 이익을 헤아려야 한다. 그래서 백성들이 자신들의 본성대로 하 지 못하게 하는 것과 백성들에게 이롭게 하는 것을 바랄 따름이다. 따라서 형벌로 다스려야 하는 이유는 근본적 으로 백성을 이롭게 하기 위한 것이다.

(나)

윤사-모의0-1

A: 갑만의 입장 B: 갑, 을의 공통 입장 C: 을만의 입장 <범 례>갑 을갑 을

A A B B C C

① A: 예(禮)를 통해 인간의 본성을 교화해야 한다. ② A: 지속적인 수양을 통해 본성을 함양해야 한다. ③ B: 하늘을 인간의 도덕적 근원으로 간주해야 한다. ④ C: 민본의 실현을 위해 왕도 정치를 시행해야 한다. ⑤ C: 이로움[利]보다 의로움[義]의 실천을 중시해야 한다.

7052-0236

6 다음 사상의 입장에만 모두 ‘3’ 표시를 한 학생은?

• 지혜가 없는 사람에게는 선정(禪定)이 없고, 선정이 없는 사 람에게는 지혜가 없다. 선정과 지혜를 갖춘 사람에게 열반은 가까이에 있다. • 이 몸은 물거품과 같고 신기루와 같은 것이라고 깨닫는 사람 은 악마의 화살을 꺾어 버리고 염라대왕에게 보이지 않는 곳 으로 가게 될 것이다. • 굶주림은 최고의 병이고, 내 몸은 최고의 괴로움이다. 이것을 있는 그대로 안다면, 최상의 즐거움인 열반이 있다.

학생 입장 갑 을 병 정 무

자아란 본래 변하지 않는 고정된 실체를 가진다.

3 3 3

원인과 조건이 없으면 그에 상응하는 결과 도 없다.

3 3 3

이 세상 모든 존재는 상대적이고 일시적인 것이다.

3 3 3

오온(五蘊)을 지닌 인간은 윤회에서 영원 히 벗어날 수 없다.

3 3 3

① 갑 ② 을 ③ 병 ④ 정 ⑤ 무

7052-0237 7 다음을 주장한 한국 사상가의 입장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 로 고른 것은?

돈오라는 것은, 자신의 본래 성품이 참 법신(法身)인 줄 모르고 자기의 신령스러운 지혜가 참 부처인 줄 모른 채 마음 밖에서 부 처를 찾아 물결 따라 여기저기를 헤매다가 홀연히 자기 본래의 성품을 보는 것이다. 점수라는 것은, 비록 본래의 성품이 부처와 다름이 없음을 깨달았으나 오랫동안 익혀 온 습기(習氣)를 갑자 기 없애기 어렵기 때문에, 깨달음에 의지해 닦아서 점차 그 공 (功)을 이루는 것이다.

ㄱ. 깨달음을 얻은 후에도 지속적으로 수행에 힘써야 한다. ㄴ. 세속을 벗어나 청정한 불성의 형성을 위해 힘써야 한다. ㄷ. 자기 자신이 곧 부처라는 깨달음을 단박에 얻어야 한다. ㄹ. 지혜의 축적을 통해 자신이 본래 부처임을 깨달아야 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7052-0238 8 (가), (나) 사회사상의 입장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가) 사회주의는 자본주의에서 공공의 이익이 사적 이윤보다 우 선하는 제도로 대치하려고 노력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하여 생산은 근로 대중의 이익을 위해서 계획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와 같은 계획화는 소수의 수중에 경제 권력이 집중되는 사태와는 양립할 수 없다. 그것은 경제의 효과적인 민주적 관리를 필요로 한다. (나) 외국 노동보다 본국 노동의 유지를 선호하는 것은 오로지 자기 자신의 안전을 위해서이고, 노동 생산물이 최대의 가 치를 갖도록 노동을 이끈 것은 오로지 자기 이익을 위해서 이다. 어떤 사람이 의도하지 않았던 것이라고 해서 반드시 사회에 좋지 않은 것은 아니다. 그는 사회의 이익을 증진시 키려고 의도한 경우보다 자신의 이익을 증진시킴으로써 사 회의 이익을 더욱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ㄱ. (가): 민주적 방법에 의해 사회주의의 이상을 실현해야 한다. ㄴ. (나): 이익을 추구하는 개인들 간의 자유 경쟁을 보장해야 한다. ㄷ. (나): 시장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정부의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 ㄹ. (가), (나): 국가가 자원을 분배하는 계획 경제 체제를 수립 해야 한다.

보기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실전 모의고사 5회 149

정답과 해설 52쪽

7052-0239 9 갑, 을은 동양 사상가들이다. 갑의 입장에서 을에게 제기할 비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마음이란 텅 비었지만 영묘하고 밝으며, 모든 이(理)가 갖추어져 있고 만 가지 일이 여기에서 나온다. 마음 밖에 이는 있지 않으며, 마음 밖 에 일이 있는 것이 아니다.

사물과 나는 동일한 이 (理)를 갖추고 있다. 저 편이 밝혀지면 이편도 분명해진다. 이것이 내 외합일(內外合一)의 도 (道)이다. 갑 을

①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이 병행함을 깨달아야 한다. ② 세상의 모든 이치를 마음 안에서 궁구해야 한다. ③ 인간의 마음에 부여된 천리(天理)를 보존해야 한다. ④ 성인(聖人)의 가르침을 가볍게 여기지 말아야 한다. ⑤ 도덕성 문제보다 현실 문제를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

7052-0240 10 갑, 을 사상가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갑: 나라가 작고 백성이 적어[小國寡民] 열 사람 백 사람 몫의 그릇이 있어도 사용할 필요가 없고, 백성들로 하여금 죽음 을 중히 여기게 하여 멀리 옮겨 가지 않게 해야 합니다. 비 록 배와 수레가 있어도 탈 일이 없으며, 갑옷과 병기가 있어 도 쓸 일이 없어야 합니다. 을: 프롤레타리아는 자신의 정치적 지배를 이용하여 부르주아로 부터 모든 자본을 차례차례 빼앗고 모든 생산 수단을 국가 의 손안에 집중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배 계급으로 조 직된 프롤레타리아는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생산력을 높이 게 될 것입니다.

① 갑은 도덕적 덕목을 갖추기 위해 선행을 반복해야 한다고 본다. ② 갑은 자연의 도를 따르는 소박한 삶이 이상적인 삶이라고 본다. ③ 을은 모든 사회 계급들이 절제의 미덕을 갖추어야 한다고 본다. ④ 을은 차등적 분배가 이루어지는 복지 사회를 이상 사회로 본다. ⑤ 갑, 을은 도덕규범의 부재로 인해 사회가 혼란에 빠진다고 본다.

7052-0241

11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그리스 시대의 어느 철학자는 정의의 참된 의미를 이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정의로운 사람의 삶이 정의 롭지 못한 사람의 삶보다 더 좋고 행복한 것이라는 점과 정의롭 지 못한 사람의 삶은 사실상 매우 비참하다는 점을 여실히 드러 낸다. 그가 추구하는 나라는 통치자, 군인, 생산자 계층이 각각 그들이 속한 계층에게 요구되는 덕, 즉 지혜와 용기와 절제를 갖추고 그들의 본분을 다하는 ‘아름다운 국가’이다. 그의 입장에 서 볼 때, 정의는 ㉠ 에서 발휘되는 덕목이라고 할 수 있다.

① 모든 구성원들에 의해 의사 결정이 이루어진 상태 ② 모든 계층들이 덕을 발휘하고 직분을 다하는 상태 ③ 절제를 갖춘 생산자에게 최대의 이익이 되는 상태 ④ 모든 사람들이 자연의 섭리에 따라 살아가는 상태 ⑤ 부귀와 명예의 획득에 최고 가치를 부여하는 상태

7052-0242 12 (가)의 현대 사회사상가 갑, 을, 병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탐구할 때, A ~ D에 들어갈 질문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가)

갑: 사람들은 사회 제도 내에서 구성원들의 기본적 권리와 의무를 할당합니다. 사회 구성원들은 합리적인 행위자로 서 사회적 협동의 이득과 부담의 적절한 분배를 결정해 줄 정의의 원칙에 합의하게 됩니다. 을: 소유되지 않은 대상물에 자신의 노동을 가함으로써 가치 가 발생했을 때 정당한 소유 권리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이때 타인의 이익을 훼손하지 않기 위하여 같은 품질의 좋은 것이 남겨져 있어야 합니다. 병: 모든 사회적 가치는 공동체의 문화적·역사적 맥락에서 의미가 부여됩니다. 다양한 영역의 서로 다른 사회적 가 치는 서로 다른 분배 기준과 절차, 그리고 다른 주체에 의해 분배되어야 합니다.

(나)

<범 례>

: 판단 내용 : 판단 방향 : 판단 결과 : 출발 조건

갑, 을, 병의 입장을 탐구한다.

아니요

아니요

을의 입장갑의 입장 병의 입장

예예

예예

B

A

C D

윤사-모의5-1

① A: 타고난 재능의 분포를 공동 자산으로 여길 수 있는가? ② A: 최소 수혜자에게 최대 이익이 되는 분배가 바람직한가? ③ B: 사회적 맥락과 관계없이 개인의 소유권을 인정해야 하는가? ④ C: 모든 사회 영역에서 필요를 기준으로 재화를 분배해야 하 는가? ⑤ D: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적 가치들의 자율적 분배 원칙이 필 요한가?

150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

www.ebsi.co.kr

7052-0243 13 갑, 을은 중세 서양 사상가들이다. 갑, 을 모두 부정의 대답 을 할 질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갑: 두 개의 사랑에 의해서 두 개의 국가가 형성된다. 지상의 국 가는 자신을 사랑하고 심지어 신을 경멸함으로써 형성된다. 천상의 국가는 신을 사랑하고 심지어 자신조차도 경멸함으 로써 형성된다. 지상의 국가는 인간으로부터 영광을 찾으 며, 천상의 국가는 신으로부터 영광을 찾는다. 을: 자연적 성향들은 우리로 하여금 선을 향하게 하고 신이 우 리에게 선한 것으로 규정한 목적들을 향하게 하는데 그것은 인간의 본성을 완성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이러한 자연적 성향에 대해 성찰함으로써 우리는 신이 우리에게 무엇을 원 하는지 깨닫게 된다.

① 인간은 신앙을 통해 참된 행복을 누릴 수 있는가? ② 인간의 자유 의지에 따라 구원에 도달할 수 있는가? ③ 신의 존재를 인간의 이성에 의해 논증할 수 있는가? ④ 신과 하나가 되어야 완전한 행복에 도달할 수 있는가? ⑤ 영원한 행복을 얻기 위해 종교적 덕을 실천해야 하는가?

7052-0244 14 근대 서양 사상가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은? [3점]

갑: 어떤 대상이 쾌락을 주는가 아니면 고통을 주는가에 대한 정보들이 우리에게 그 대상에 대한 정서적인 반응을 불러 일으킨다. 선과 악이란 우리가 어떤 행위를 바라볼 때 느끼 는 쾌감이나 불쾌감을 표현한 것에 불과하다. 우리는 대체 로 사회적으로 유용한 행위에 대해 쾌감을 느끼며, 이는 우 리가 타인의 행복이나 불행을 마음속으로 함께 느끼는 공감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을: 신은 물리적 사물들의 전체 집합이며 동시에 관념들의 전체 집합이다. 우리는 좋은 운명과 나쁜 운명 모두를 태연한 마 음으로 기다리고 인내해야 한다. 왜냐하면 삼각형의 본질로 부터 세 각의 합은 2직각과 같다는 점이 필연적으로 도출되 는 것과 마찬가지로 모든 것은 필연적으로 신의 영원한 결 정으로부터 생겨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① 갑은 의무 의식만이 도덕적 행위의 동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② 갑은 논리적 추론 과정을 통해 진리를 연역할 수 있다고 본다. ③ 을은 자연법칙에 대한 인식에 의해 행복해질 수 있다고

본다. ④ 을은 관찰과 경험을 통해 자연의 질서를 파악할 수 있다고 본다. ⑤ 갑, 을은 유용성의 원리에 따라 선악을 판단할 수 있다고 본다.

7052-0245 15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가 <문제 상황>의 A 씨에게 해 줄 수 있는 조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내 것이든 다른 사람의 것이든 경향성 그 자체는 존경할 수 없 다. 존경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결코 결과가 아니라 단순히 근거로서만 나의 의지와 연결되어 있는 어떤 것이다. 그 것은 나의 경향성에 기여하지 않지만 경향성보다 중요한 그것 자체로서의 법칙이다.

<문제 상황> A 씨는 친구와의 약속을 지키면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제대로 마무리할 수 없고, 약속을 어기면 친구가 계획했던 일들이 엉망 이 되리라는 것을 알고서 친구와의 약속을 지켜야 할지 말아야 할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① 네 행위가 친구에게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약속을 지키렴. ② 인간으로서 지녀야 할 의무를 다하기 위해 약속을 지키렴. ③ 네 친구와 지속적인 우정을 유지하기 위해 약속을 지키렴. ④ 자신과 친구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렴. ⑤ 자신과 친구 모두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행위를 선택하렴.

7052-0246 16 다음을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작위로 선택된 어느 한 구성원에게 스스로 설정한 목적을 성 취할 수 있는 최대의 기회를 제공하는 행위 규칙 체계는 정의롭 다. 시장 질서는 가격 메커니즘을 통하여 무작위로 선택된 사회 의 어떤 불특정 개인에게 그가 누릴 수 있는 최대의 기회를 제 공한다. 따라서 시장 질서를 생성하고 유지시키는 행위 규칙 체 계는 정의롭다. 시장 질서가 초래한 결과에 체계적으로 개입하 려는 시도는 개인들의 창의력을 억눌러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나아가 전체주의적인 닫힌 사회로의 퇴보를 조장할 것이기 때 문에 정의롭지 못하다.

① 자신의 타고난 재능을 사회적 자산으로 여겨야 한다. ② 국가가 적극 개입하여 인간다운 삶을 보장해야 한다. ③ 사회적 약자를 위해 불평등한 분배를 시정해야 한다. ④ 사익의 추구는 공익 실현을 전제로 정당화해야 한다. ⑤ 자유 경쟁의 원리에 입각하여 분배가 이루어져야 한다.

실전 모의고사 5회 151

정답과 해설 52쪽

7052-0247 17 갑, 을 사상가들의 입장에서 모두 긍정의 대답을 할 질문으 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자아는 목적에 앞서고 목적은 오직 자아에 의해 확정될 수 있다. 가장 유력한 목적이라도 수많은 가능성을 고려하는 가운데 선택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리는 목적론적 신념이 제안하는 권리와 선의 관계를 뒤집어 권리를 앞세워야

한다. 을: 우리는 누구나 특정한 사회적 정체성을 지닌 사람으로서 자 신을 둘러싼 환경을 이해한다. 나는 내 가족, 내 도시, 내 부 족, 내 나라의 과거에서 다양한 부채, 유산, 적절한 기대와 의무를 물려받는다. 이는 내 삶에서 기정사실이며 도덕의 출발점이다.

① 개인의 선택적 선호보다 공동체의 목적을 중시해야 하는가? ② 독립적 자아보다는 관계적 자아의 형성을 우선시해야 하는가? ③ 타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에 대한 규제를 수용해야 하는가? ④ 공동체는 개인의 신념에 대해 중립적 입장을 유지해야 하는가? ⑤ 공동선이 실현되어야 사익의 실현도 가능하다고 보아야 하는가?

7052-0248 18 갑, 을은 고대 서양 사상가들이다. 이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갑: 당신이 바라는 대로 어떤 사건이 일어나기를 바라지 말고 사건이 일어나는 대로 거기에 당신의 바람을 맞추도록 하 라. 우리의 의지가 실제적이고 필연적인 사건의 흐름과 조 화를 이룰 때 우리는 자연과 일치하는 삶을 살게 되며 완전 한 덕과 완전한 평화, 완전한 행복에 도달하게 된다. 을: 우리가 적극적인 쾌락을 추구해도 좋은 유일한 경우는 오직 그러한 쾌락이 현존하면서도 아무것도 방해하지 않으며 육 체나 정신 또는 이들 둘 모두에게 어떤 고통도 일으키지 않 는 경우뿐이다. 최선의 삶은 공적인 삶으로부터 벗어나 가 까운 친구들과 함께 서로의 생각을 주고받으며 살아가는 것 이다.

① 갑은 자연과 인간이 이성의 지배를 받는다고 보았다. ② 갑은 쾌락의 획득과 고통의 회피를 행복과 동일시하였다. ③ 을은 인류 전체를 사랑하는 세계 시민주의를 강조하였다. ④ 을은 자연법에 따르는 삶이 바람직한 삶이라고 주장하였다. ⑤ 갑, 을은 객관적 관찰과 실험에 의해 진리를 찾고자 하였다.

7052-0249 19 (가)를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에 들어 갈 진술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가)

인간의 본성이란 존재할 수 없다. 그것은 인간 본성을 구상 하는 신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람은 다만 그가 스스 로를 생각하는 그대로일 뿐 아니라, 또한 그가 원하는 그대 로이다. 그리고 사람은 존재 이후에 스스로를 원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은 스스로가 만들어 가는 것 이외에 아무것도 아 니다.

(나)

㉠ 그러면 참된 실존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① 스스로 선택한 모든 결정에 대한 책임을 자각하라. ② 절대자의 은총을 받기 위해 종교적 덕을 실천하라. ③ 합리적 선택에 의한 도덕 판단과 실천을 중시하라. ④ 자신의 죽음을 피하지 말고 먼저 달려가 체험하라. ⑤ 과학과 지식을 도구로 삼아 삶의 편의를 도모하라.

7052-0250 20 (가)의 갑, 을 사상가의 입장에서 볼 때, (나)의 ㉠에 들어갈 진술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가)

갑: 밝은 왕[明王]은 그의 공이 천하를 뒤덮어도 그것이 자기 로부터 나오지 않은 듯이 하고, 만물에게 화육을 베풀어도 백성들이 그에게 의지하지 않게 한다. 그의 이름이 거론되 는 일 없이 만물로 하여금 스스로 기뻐하게 한다. 헤아릴 수 없는 곳에 자신을 세우고 없음의 경지에서 노닌다. 을: 백성들을 정치적 법령으로 인도하고 형벌로써 다스리면, 백성들은 법망을 뚫고 형벌을 면하려고만 할 뿐이요 부 끄러움을 모르게 된다. 그러나 백성들을 덕으로 인도하 고 예로써 다스리면, 백성들이 부끄러움을 알게 될 뿐만 아니라 바른길로 나아갈 것이다.

(나)

㉠ 그러면 바람직한 사회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갑 을

① 정치적 삶의 구속에서 벗어나라. 백성들이 예의를 회복하게 하라.

② 옳은 일을 반복적으로 실천하라.

시비와 선악을 분명하게 구분 하라.

신분과 지위에 맞게 역할을 다 하라.

타고난 성정을 예법으로 교화 하라.

인의로 다스리는 정치를 시행 하라.

사회적 재화를 공정하게 분배 하라.

존비와 친소의 구별에서 벗어 나라.

백성들이 무지의 상태에 있게 하라